마음을 움직여

일상 2023/12/23 21:04

뭔가를 쓰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다.
여유라는 시간.

여유를 갖기 위해서는 마음을 붙잡아 둘 정신의 힘이 필요하다.
정신이 몸을 완전히 장악하고 통제하기 위한 힘.
마음은 몸에 휘둘린다. 뇌가 보내는 신호에 민감하고 복종한다.
마음과 정신을 이런 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 건지는 모르겠다.
정신이 마음보다 고차적이라던가 정신은 몸이나 마음과 독립적이라는 말은 아니다.
그래도 마음이 몸에 더 가깝게 느낀다.
몸이 불편하면 마음도 불편하다.
몸이 편하면 마음도 편하다.
몸이 가볍고 부드러우면 마음도 활기차고 평온하다.
몸이 무겁고 힘들 때 억지로 몸을 움직여 몸을 흔들면 마음도 금방 몸의 움직임에 반응한다.
이런 걸 보면 몸과 마음은 정신보다 훨씬 더 가깝다고 생각할 수 있다.
뭔가를 쓰기 위해서는 역시 몸이 편안하고 사지가 부드러워야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23/12/23 21:04 2023/12/23 21:04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고등학생이었던 3년과 20대 초반까지 매년 신춘문예 당선작을 읽기 위해 1월 1일자 발행되는 신문을 샀다. 부산일보, 경향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등 부산일보를 제외하고 대개 여섯 개 정도 서울 신문사에서 발행하는 소위 중앙지를 샀던 것 같다.

지금도 기억에 남는 소설이 한 편 있는데, 어느 해 어느 신문인지 모르고, 작가의 이름도 모른다. 소설에서 주인공이 '아프락사스'라는 새에 대해 이야기하는 부분이 나오는데 대략 다음과 같다.

 

록키 산맥(혹은 히말라야 산맥) 꼭대기에 아프락사스라는 새가 살고 있는데, 이 새는 집이 없다. 그래서 눈보라가 치는 추운 밤 이 새는 집이 없어 바위 틈에 머리를 처박고 "내일은 집을 지어야지"라고 속삭이면서 아침을 기다린다. 그러나 아침에 해가 뜨면 어젯밤 바위 틈에서 한 자신의 다짐을 잊어버리고 따듯한 햇살이 비치는 높은 창공을 날아다닌다. 그리고 다시 추운 밤이 되면 집이 없어 또 바위 틈에 머리를 처박고 "내일은 반드시 집을 지어야지" 하고 다짐을 하는 것이다.

내 기억이 정확하게 맞는지는 모르겠다. 그래도 나는 이 이야기를 잊지 않고 있는데, 아마 소설의 주인공이 자신을 아프락사스에 비유한 것처럼 나 역시 나를 아프락사스와 같다고 생각했기/하고 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아프락사스는 <데미안>에서 고통스럽게 알을 깨고 나오는 새의 이름이다. 그런데 나는 나이가 들어 작가가 "아프락사스"를 'Praxis'에 접두사 a를 붙여 'apraxas'로 변형하여 만든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다. 말하자면 '실천하지 않는' 이라는 의미로 말이다.

최근 계속 아프락사스라는 새가 머리에서 떠나지 않는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23/12/14 15:46 2023/12/14 15:46

일기든 블로그든 글을 쓰지 않으면 계속 쓰지 않게 된다.
마치 눈에서 보이지 않으면 마음이 멀어지는 것과 같다.
논문도 마찬가지다. 매일 조금이라도 계속 써야 끝을 볼 수 있다.
글을 쓰면 생각이 떠오르고 생각을 정리할 수 있고, 생각을 연결할 수 있다. 글을 쓴다는 것은 화초에 물을 주고 언제나 햇볕이 잘 드는 곳을 찾아 화분을 옮기고 꽃이 피기를 기다리는 것과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23/11/27 15:40 2023/11/27 1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