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은 운동을 재는 척도에 붙인 이름이다.
운동의 전과 후를 구분하기 시작한 것은 오직 유용성 때문이다.
오늘과 어제를 구분하고, 봄과 여름, 가을, 겨울을 구분하고 유년기와 청년기, 중년기, 노년기를 구분한다. 피부의 노화와 신체 장기의 퇴화를 시간 탓으로 돌리는 것이다.
우리는 시간을 사실 물질 명사가 아닌데도 물질 명사처럼 실제 존재하는 어떤 사물처럼 생각한다. 마치 창 밖에 있는 저 나무 의자처럼 있다고 말한다.
"어디 한 번 보세."
안 보여.
시간은 보이지 않는다.
시간은 우리 머리 속에 존재하는 관념이다.
근대 과학은 13세기 공공 건물에(당시 교회 건물의 전면) 등장한 해시계를 기점으로 성립했다. 시계의 등장은 시간을 머리 속에서 끄집어냈다. 산업혁명은 시간을 하루 단위에서 점점 세분해 한 시간, 삼십 분 단위로 구분했다.
근대 과학이 공간을 중심으로 사물의 운동을 탐구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 사물의 운동은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운동은 공간에서의 위치 이동, 이동 운동으로 정의된다. 코페르니쿠스, 케플러, 갈릴레이, 뉴턴으로 이어지는 근대 과학은 모두 공간에서의 운동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그런데 시간은 어떻게 등장했을까?
근대 과학에 시간이 등장하면서 근대 과학은 현대 과학으로 전환된다.
재미있는 것은 시간이 과학에서 한 자리를 차지하면서 과학은 물리적인 대상에 대한 탐구에서 관념의 영역으로 들어갔다는 점이다.
21세기에도 과학자들은 이 관념의 영역을 물리적 실체로 구현하기 위해 애쓴 나머지 스스로 물리적 영역과 관념의 영역을 뒤섞어 버렸다. 어떤 물리학자의 말처럼 과학은 마음과 통합되었다.
이런 걸 보면 현대 과학자들은 헤겔주의자들이다.
헤겔은 주체 밖의 물리 세계가 궁극적으로 정신의 운동에 의해 실현되었다고 주장한다.
그 이름 위대한 절대정신. 물리 세계는 절대정신의 자기 운동의 결과다.
만세 헤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23/08/23 16:01 2023/08/23 16:01

학교

일상 2023/08/14 21:23
이 사태도 곧 가라앉는다.

교사와 학부모 사이의 갈등
교사의 자살과 교권
학부모의 악성 민원
...
이 모든 사태의 근원에는 교사와 학교에 대한 불신이 깔려 있다.
심지어 교사들도 학교를 신뢰하지 않는다.
법 개정으로 이 문제들이 해결될까?
절대로 해결되지 않을 것이다. 마치 한여름 태풍처럼 지나 갈 것이다.
매년 태풍이 분다. 심하거나 덜 심하거나.

또 하나
교사들 사이의 반목과 대립은 어떤가?
공립교사와 사립교사
정규직 교사와 기간제 교사
방과후 교사

공립교사들은 사립교사들을 비하한다.
자신들은 임용고시에 합격해서 정식 교사가 되었는데 사립교사는 임용교시에 합격하지 못한 (열등한) 교사라는 것이다. 내심 자신들이 사립교사보다 우월하다고 여긴다.
수십 년 전부터 그랬는데 지금은 좀 다를까?
정규직 교사와 기간제 교사, 방과후 교사 문제는 더 최악이다.
이런 계층 구조는 노동현장에서 정규직과 비정규직, 하청 노동자들 사이의 위계와 똑같다.
정규직 노동조합이 이러한 위계를 보장하고 온존하고 재생산한다.
기간제 교사를 정규직 교사로 전환하는 문제에 공개적으로 반대했던 전교조의 행태를 보라.

다시, 이 모든 문제들이 해결될까?
해결 불가능하다.
초등교육과 중등교육이 먼저 몰락하고,
이어 고등교육이 몰락한다.

물론 환자가 3개월 안에 죽는다는 걸 알지만 죽기 전까지 의사는 치료를 계속해야 하는 것처럼 한국 교육 문제도 그럴 것이다. 하지만 어영부영, 어중간하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23/08/14 21:23 2023/08/14 21:23

생각에 대한 생각

일상 2023/07/17 10:36
생각을 하면서 산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사실 생각을 하지 않고 사는 것도 아니지만 매 순간 생각을 하는 건 쉬은 일이 아니다.
습관이 생각을 지워버린 탓이다. 습관을 깨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생각은 습관을 거스른다. 생각을 한다는 것은 주어진 것에 바로 반응하지 않고 일정한 거리를 두는 것이다.
생각은 작용과 반응 사이에 틈을 만든다.

틈, 간격, 거리.
멈춤과 부정, 거부하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23/07/17 10:36 2023/07/17 1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