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2008/03/26

3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8/03/26
    체불임금 지급 요구하던 건설노동자 폭행당해 숨져
    해방누리
  2. 2008/03/26
    백화점 입점 수수료 ‘거품’…소비자 부담
    해방누리
  3. 2008/03/26
    광고산업 규모 GDP의 1% 수준
    해방누리

체불임금 지급 요구하던 건설노동자 폭행당해 숨져

체불임금 지급 요구하던 건설노동자 폭행당해 숨져

강릉시 건설현장에서 4개월 간 수억 원 임금 체불

최인희 기자 flyhigh@jinbo.net / 2008년03월25일 13시39분

건설 현장에서 일하던 일용직 노동자가 체불임금 지급을 요구하다 현장소장이 휘두른 둔기에 맞아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강원도 강릉시 포남동 H오피스텔 공사현장에서 일하던 이모 씨는 4개월째 임금이 지급되지 않자 지난 21일 동료 20여 명과 함께 시공업체인 D건설 현장소장을 찾아가 임금 체불에 대해 항의하고, 3개월치 임금 450여 만원의 지급을 요구했다. 이에 앙심을 품은 현장소장 김 모씨가 강릉시 경포동에 있는 건설노동자 숙소까지 찾아와 이 씨를 폭행, 죽음에 이르게 한 것.

 

이 씨는 현장소장이 휘두른 스탠드형 옷걸이에 가슴과 옆구리 등을 가격당해 갈비뼈가 부러졌고, 춘천 한림성심병원에서 치료를 받다 24일 오전 장기 파열과 과다출혈로 숨졌다.

 

문제가 된 건설현장에서는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건설일용노동자 40여 명에 대해 총 2억여 원의 임금을 체불한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측은 전국건설노동조합과 협의를 벌여 3월 20일까지 임금을 지급하기로 약속했으나 이는 지켜지지 않았다.

 

강릉경찰서는 현장소장 김모 씨를 붙잡아 상해치사 혐의로 입건하고, 정확한 사인 규명을 위해 25일 이 씨의 시신을 부검한 후 구속영장을 신청할 방침이다.

 

민주노총 강원지역본부와 건설노조 강원건설기계지부 등은 긴급 대책회의를 열어 진상조사와 강도높은 처벌, 특별근로감독을 요구하는 등 적극 대처하기로 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백화점 입점 수수료 ‘거품’…소비자 부담

백화점 입점 수수료 ‘거품’…소비자 부담

<이 백화점이 입점업체로부터 떼는 여성복 브랜드의 수수료는 판매액의 37% 수준입니다.

 

결국 입점업체가 10만 원짜리 옷을 팔면 백화점 측에 3만7천 원을 떼줘야 한다는 것입니다.

 

<인터뷰>입점업체 관계자 : "37% 넘어가 버리면 업체가 힘들어지더라고요. 더 이상 오르면 업체를 운영할 수 있는 여력이 안 되거든요."

 

여성복의 경우 지난 2000년 초까지만 해도 백화점 수수료는 많아야 30% 정도였습니다.

 

그러나 10년도 안 돼 수수료가 7% 올랐습니다.

 

인터넷 장터의 평균 수수료 7%는 물론 대형마트의 평균 수수료 20%과 비교해도 지나치게 높아진 것입니다.

 

이렇게 수수료가 대폭 인상된 것은 유통 강자인 백화점의 일방통행식 인상 요구 때문입니다.

 

백화점들은 거의 해마다, 짧게는 6개월마다 수수료를 올려줄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입점업체 관계자 : "적게는 1~2%, 많게는 2~4%씩 올려달라고 해요. 사정사정해서 겨우 절반으로 깍기도 해요. 올려달라고 하면 거의 따라가야죠. 합의 안 되면 바로 내쫓기는 거니까요."

 

백화점 간의 자존심 경쟁 때문에도 수수료가 올라갑니다.

 

<인터뷰> 입점업체 관계자 : "롯데가 더 받으면 현대는 우리도 같이 받아야 된다고 올리고, 현대가 올리면 롯데도 우리가 어떻게 현대보다 더 적게 받느냐고 또 올리죠. 그러면 악순환이에요."

 

하지만 백화점들은 해외 명품 브랜드에 대해서는 수수료에 특혜를 주고 있습니다.

 

이렇다 보니 해외 명품 브랜드의 수수료는 국내 브랜드의 3분의 1 정도에 불과합니다.

 

게다가 해외 명품 브랜드는 국내 업체와는 달리 인테리어비용도 부담하지 않고 매장도 가장 좋은 위치를 차지합니다.

 

<인터뷰> 이봉의(서울대 법대 교수) : "국내 입점업체가 그에 비해서 현저히 높은 수준의 수수료 부담하고 있다면 공정거래법상 부당한 차별 취급에 해당될 소지가 충분하다고 봅니다."

 

문제는 지나치게 높게 책정된 수수료 가운데 상당액이 옷값에 반영돼 소비자 부담으로 돌아온다는 겁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광고산업 규모 GDP의 1% 수준

광고산업 규모 GDP의 1% 수준

국내 광고 산업의 규모가 GDP 즉 국내 총생산의 1%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화부가 발표한 광고 산업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06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광고산업 규모는 9조1천억 원으로 국내총생산의 1.07%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같은 광고 산업 규모는 전년도에 비해 금액상으론 8%가량 성장했지만 관련 회사는 2%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밖에 올해 광고경기 전망지수는 광고업체는 109,광고주는 107로 나타나는 등 모두 100을 넘어 전반적으로 좋을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