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3 불 정책" 논란 - 입시 경쟁과 교육 불평등을 심화하려는 우익들

맞불 37 호 (기사 입력일 : 2007년 03월 28일)

 

입시 경쟁과 교육 불평등을 심화하려는 우익들  

 



△‘3불정책’ 폐지는 교육의 양극화, 부의 대물림을 고착화할 것이다  

 

우익들이 ‘3불정책(본고사·고교등급제·기여입학제 금지)’에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반동의 신호탄은 서울대가 쏘아 올렸다. 3월 21일 서울대 장기발전계획위원회 위원장 장호완은 3불정책이 “대학의 발전을 저해하는 암초”라고 비난했다. 다음 날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가 “3불정책 폐지”를 주장했고, 이명박과 박근혜도 “학생 선발은 대학 자율에 맡겨야 한다”며 맞장구쳤다.

 

이들은 OECD가 3불정책 폐지를 지지했다고 강조했지만, 정작 OECD는 “3불정책과 다른 규제들을 서둘러 없애지 말라”고 경고했다.

우익들이 3불정책을 폐지해 얻으려는 바는 명백하다. 교육의 양극화, 부의 대물림을 더 고착화하겠다는 것이다.

 

고교등급제는 그나마 유지돼 온 고교평준화를 해체해 끔찍한 입시 경쟁을 중학교·초등학교까지 확대할 것이다. 여기에 본고사까지 도입되면 사교육이 더욱 기승을 부릴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기여입학제는 형식적으로라도 존재했던 ‘동등한 기회’라는 신화마저 무너뜨릴 것이다.

그런데도 “‘3불’ 이후 사교육이 더 늘었”고, “평준화 아래선 가난한 집 아이들이 경쟁에서 살아남기 힘들다”며 짐짓 소외 계층을 위하는 척하는 <조선일보>의 위선은 정말 역겹기 짝이 없다.

 

 

위선

 

 

노무현 정부 하에서 사교육이 늘어난 것은 3불정책 때문이 아니다. 우익의 압력에 타협하고, 더 나아가 “대학은 산업”(노무현)이라며 교육 시장화 정책을 꾸준히 밀어붙여 온 데 진정한 원인이 있다.

 

노무현 정부는 자립형사립고·국제학교·공영형혁신학교 등 ‘귀족학교’를 양산해 사실상 평준화를 근간부터 흔들었다.

 

또, 이른바 ‘일류 대학’들이 ‘통합형 논술’을 도입해 사실상 본고사를 부활시키고 특목고 등을 대상으로 암암리에 고교등급제를 시행해 왔는데도 모르는 척하거나 솜방망이 처벌에 그치기 일쑤였다.

 

급기야 노무현 정부는 대학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며 국공립대 축소·통폐합·법인화를 앞장서 추진해 대학간 ‘우수학생 유치’ 경쟁을 부추겼다.

 

무엇보다 한미FTA는 노무현 정부가 추진해 온 교육 시장화 정책의 결정판이다. 한미FTA에서 고등교육은 이미 공공부문에서 제외된 지 오래다. 한미FTA가 체결되면 입시 경쟁이 더욱 극심해지고 교육은 더 노골적으로 돈벌이 수단이 될 것이다.

 

 

한미FTA

 

 

따라서 “학생을 획일적 입시 경쟁으로 내모는 … 정책을 할 수 없다”는 노무현의 말은 위선일 뿐이다.

 

이른바 범여권의 대선후보라는 자들은 더 가관이다.

정운찬은 “교육부는 고등교육에서 손을 떼야 한다”며 서울대 총장 시절부터 일관되게 ‘대학 자율’과 ‘3불 폐지’를 예찬해 왔다. 천정배도 기여입학제 도입을 검토해 볼 수 있다며 거들었다.

 

열우당은 “3불정책 유지”가 당론이라지만 정운찬에 대해 “교육 정책에 이견이 있어서 (통합신당을) 같이 못한다고 할 수는 없다”며 “3불정책 폐지를 고집할지, [3불정책을] 유지할지는 신당에서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얼버무렸다.

 

노무현과 열우당(과 그 후신) 모두 대학 서열 구조 자체를 근본적으로 혁파할 능력도 의지도 없다. 이들과 한나라당 같은 우익들 사이에는 교육 개방·시장화의 폭과 속도를 둘러싼 사소한 이견이 있을 뿐이다.

 

반면, 민주노동당 권영길·심상정 의원은 “서울대 독과점 폐지”, “대학평준화” 등 진정한 대안을 제시했다. 이 대안은 교육 시장화, 대학 서열화 정책에 고통받아 온 대중의 투쟁을 통해서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평준화가 학력을 하향 평준화시킨다?

 

<조선일보> 등 우익들은 “평준화가 학력의 하향 평준화를 낳고 … 교육의 다양성·창의성을 해친다”며 고교평준화 해체를 주장한다.

 

그러나 평준화가 학력의 하향 평준화를 낳는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OECD 회원국들의 ‘학업 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pISA)’는 한국 학생들의 종합적인 학업 성취도를 핀란드에 이은 2위로 평가했다. 1위를 차지한 핀란드는 장애 학생들과 비장애 학생들을 한 학교에서 가르치는 평준화 정책을 펴는 나라다. 반면, 명문 사립고가 많고 수준별 수업을 하고 있는 미국과 영국은 순위가 한참 뒤처졌다.

 

 

비평준화

 

 

평준화 지역과 비평준화 지역의 학생들을 비교 평가한 국내 연구 결과를 봐도 상위권 학생들은 큰 편차가 없는 반면, 하위권 학생들은 평준화 지역보다 비평준화 지역에서 성적이 더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중등교육에 평준화가 도입되기 전의 중·고등학교 풍경을 떠올려 보면 평준화 해체의 결과가 얼마나 재앙적일지 상상하기는 어렵지 않다.

 

평준화가 해체되면 학력의 상향 평준화는커녕 경기고-서울대 식의 ‘귀족’들만 양산되고, 끔찍한 입시 경쟁이 중학교까지 확대될 것이다.

 

무엇보다 “하향 평준화” 운운하는 우익들의 주장은 시험 점수 하나로 학생들을 재단해 줄세우는 것과 교육을 동일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교육은 학생들이 자신의 다양한 재능과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

 

진정으로 “교육의 다양성·창의성을 해치는” 것은 이처럼 ‘학력’을 잣대로 한 줄세우기식 입시 교육 자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