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이렇게 커진데에는 사람들이 구글에 대해 가진 이미지가 큰 역할을 했을 것이다. '구글'이라면 뭔가 더 개방적이고, 사용자편에 있을 것 같다. 화려하지 않지만 군더더기 없다. 실용적이고 합리적이다. 이런 이미지들.

 

그런 구글이 내놓고 있는 상품들을 둘러보다 보니, 구글 하나로 정보통신 산업이 귀결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 섬찟했다. 검색에서 시작했지만, 지금은 유투브, picas 같은 스토리지 공간, 구글독스 같은 오피스, 아웃룩을 대체할 캘린더, 쥐메일과 구글 메신져, 크롬 브라우져  - 보통 인터넷 사용자들이 쓰는 모든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구글 appz 엔진 서비스에는 웹에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도록 개발자들을 모으고 있다. 자신의 프로그램을 테스트해볼 수 있는 환경을 무료로, 트래픽 걱정없이 제공받을 수 있다는 게 개발자들에게는 매력적인 일일 것이다.

 

하지만 어쨋든 구글도 수익을 만들어내는 기업이다. 주 수익원은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광고일 것이다. 개방성 때문에 많은 개발자들이 참여하고, 그들이 만든 프로그램이나 구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방문한다.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광고.(문득 떠오르는데, 조정환 같은 이들은 이런 장면을 두고 소비와 생산(노동)의 구분이 사라졌다며, 상품을 소비하는 이들이 이미 생산에 참여한다는 이야기를 떠들지만 생산적 노동/비생산적 노동에 대한 기본적인 정의조차 무시하는 망설이다.) 구글 안에서 처리할 수 있는 것들이 늘어가면 늘어갈 수록 구글에 모이는 자본의 양도 늘어날 것이다. 컴퓨터에서 구글 홈페이지만 열수 있으면 다른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없이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구글의 OS가 개발되고 있다는 이야기도 들었다.(이미 모바일OS는 상용화 되었잖아.) 구글 OS에서 구글 Chrome을 실행시키고, 그 안에서 영상을 보고 음악을 듣고 메신져로 채팅을 하고, 오피스 작업을 한다.

 

구글이 컴퓨터 사용자들을 장악하면 할수록 IT부문에서 독점적으로 얻어낼 이윤이 늘어나는데, MS가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 자신의 상품을 팔아 이윤을 남기는 것과 본질적으로 다른게 뭐가 있을까? MS의 제품에 대해서는 마지못해 쓰는 것이고 무언가 부당하다는 거부감을 가지면서도, 구글은 IT산업의 산타 마냥 추켜세우는 것을 보면 오히려 더 무섭다. 구글이 사회적 통제를 받지 않는 이상, 구글의 성장이 인터넷 공간의 개방성, 자유로움으로 연결되지는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