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끝 여자친구' 소설집에 실려 있는 걸 읽었다.

 

우연과 우연의 중첩이, 실은 한치의 어긋남 없는 필연이라는 것.

그래서 1982년 권투선수의 죽음과 2001년 쌍둥이빌딩이 무너진 일은,

모든 이의 삶을 좌지우지 한다는 것.

누군 가의 고통은 웃을 일이 아니라는 것.

하지만 그것이 웃을 일이 아니기 위해서는, 그 고통을 이해해야 한다는 것.

'우리 인생의 이야기'란 목소리와 목소리 사이, 기침이나 한숨 소리, 혹은 침 삼키는 소리 같은 데 담겨 있다는 것.

듣는 사람이 없으면, 세계는 침묵이고 암흑이라는 것.

보이지 않으면, 존재가 사라진다는 것.

그리하여 세계의 그 어느것도 이해할 수 없게 된다는 것.

하지만.... 보이지 않아도, 들리지 않아도.. 이해할 수 있다는 것.

이해한다는 건, 세계 그 자체. 세계의 전부라는 것.

그곳에는 나 혼자뿐이지만, 혼자뿐이지 않다는 것.

그것은 사랑?

 

 

//

 

 

이 소설집에 실린 다른 단편 '당신들 모두 서른살이 됐을때'에서는

양들은 평화롭게 풀을 뜯고, "아빠, 나는 아빠가 보고 싶어. 지금은 이 마음 하나 뿐이야. 아빠가 너무 보고 싶어. 꿈속에서라도 한 번 나와줘. 나는 아빠를 힘껏 끌어안고 놔주지 않을 거야. 떠나지 못하게 절대 놔주지 않을 거야. 그리고 아빠한테 말할거야. '아버지 사랑합니다'라고"로 끝나는 편지의 구절들, 세상에는 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는지 확인하는 일이 어떻게 자신을 위로했는지, 어느 날 새벽에 본 불길은 얼마나 무시무시했는지, 얼마나 참혹했는지, 또 자신의 미래는 얼마나 어두운지에 대해서, 얘기한다.

저 편지는 윤용헌 열사의 아들이 쓴 편지글..

용산참사가.. 3주기가 내일인가.. 읽으면서 울컥거렸다. 이런 세상에 살고 있지만, 역시 김연수 어법에 따르면, 누군가의 이야기를, 한마디도 빼놓지 않고 들으려고 무척 귀를 기울이며, 또 그의 두려움을 이해하려고 애쓰기 때문에, 살만한 곳이다.

 

소설집 제목과 같은 단편, '세상의 끝 여자친구'는, 세상의 끝 메타세쿼이어 이야기다. 함께 보냈기에, 그곳은 세상의 끝. 그 메타세쿼이어는 수 억년을 살며, 이야기를 기억할 게다.

 

 

작가는 누군가를 사랑하는한, 우리는 노력해야만 한다고 얘기한다.

이해라는 건, 죽을만큼의 노력이 있어야 가능하다.

이런 이야기를 읽을 때마다 나의 사랑이란 건, 내 감정의 도취에 불과할 뿐이었다는 자각에 깊숙이 아리다.

그랬었고, 지금도 그렇다.

 

김연수의 소설은 눈으로 훑듯이 읽어서는 뭉텅뭉텅 찢겨진 책을 읽는 기분이 든다.

단어 하나 허투로 쓰는 게 없어서 꼼꼼히, 기억하며 읽어야 아귀가 맞춰진다.

하지만 아무리 꼼꼼히 읽어도 그 활자를 다 외울 수 없기  때문에, 결국 최소한 한 번은 다시 읽게 된다.

처음으로 되돌아가면, 역시, 허투로 쓰인 단어가 없었구나,라는 감탄이 나온다.

음.. 그리고 이렇게 얘기하는 게 어떨지 모르겠지만, 김연수는 똑똑하다. 많이. 부럽도록.

 

 

 

 

세계의 끝 여자친구
세계의 끝 여자친구
김연수
문학동네,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