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내 가난하던 26살의 12월

실로 오래간만에 블로그를 돌아보는 지금 이 시간, 나는 시적인 의미가 아니라 정말로, 라면이라도 먹고 살 수 있다는 것을 감지덕지 해야 할 정도로 나는 지금 이 순간 돈이 없다. 그러나 돈이 있고 없음 자체보다도, 내가 지금 가난하게 느끼는 것은 내 마음이겠다.

 

쓸데없이 센치해지는 것은 무엇 때문인지 나는 알 길이 없다. 노사관계 로드맵의 통과를 알았을 때 내 머리에 떠오르는 것은 한 사람의 얼굴이었다. 내가 집회 현장에서 스쳐가듯 만났던 비정규직 노동자들 모두의 비통한 얼굴보다도, 한 사람의 얼굴이었다. 하지만 그에게 나는 그 어떤 의미에서도 제대로 된 후배이지 못했다. 그리고 그 사람에게만이 아니라 그 누구에게도, 나는 어떤 의미에서도 제대로 살고 있다고 느껴지지 않았다.

 

조금이라도 나를 필요로 했던 사람이 있었던 시절, 나는 상처 받기도 주기도 싫어서 나를 필요로 하는 사람을 피하려 했다. 그 사람은 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나에게 맞추어야 했다. 하지만 그 어떤 길을 선택했어도, 그 사람이 상처받은 것은 똑같다.

 

이 학교에서 동지라고 말할 수 있는 몇 명이 있다. 어떻든 지금 이 순간 가장 소중한 사람들이다. 그러나 내 스스로가 그들에게 어떤 사람이었는지를 되돌아보아야 하지 않을까 한다. 나는 예전에 했던 실수를 그대로 하고 있는 지도 모른다.

 

일에 치여 살려고 노력했다. 일하지 않는 단 하나의 시간은 내 사적인 공부던, 아니면 이론을 쌓는 과정으로 삼건 여유있어 보이는 그 어떤 작태도 내 삶의 움직임 그 자체를 멈춤으로서 무용해지는 것 같은 모든 것이 싫었다. 하지만 그 다짐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채, 일단의 강박관념이 남은 것이 아닐까 싶었다. 예전에 그랬듯, 그래서 나는 인간적인 사람이 되지 못했고 그 당시 함께 했던 동지에게 냉정하기 그지없는 인간으로 인식된 것이 아닐까 싶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주의에 아주 작은 항거를 하려고 할 때, 내 마음이 가난하다면 그 항거는 가난한 항거로 밖에 자리매김 되어지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화를 내고 신경이 날카로워지는 것이 아니라 그저 가난하게 느껴지는 내 마음부터 조금 풍족하게 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 가난하던 26살의 12월아, 이제는 가난하지 않을 수 있도록 지금의 가난한 마음을 잊을 수 있도록, 그래서 어느 샌가 깨달았을 때 더 이상 내 마음이 가난하게 느껴지지 않을 수 있도록, 조금씩 조금씩 너를 보내려 한다. 너와 이별을 준비하려 한다.

 

 

문제는 추상에서 구체로, 도대체 어떻게, 라는 것이지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