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현실론

나침반님의 [요즘 고민] 에 관련된 글.

 

나도 고민. 고민. 고민.

엊그제는 머리가 터져버릴 것 같아서 열심히 떠들면서 술을 왕창 마셨다.

 

늘 나오는 "현실론" 얘기 말이다.

어쩔 수 없는 현실, 당장의 대안이 없는 현실, "그러니까...."라고 시작되는 그것.

근데 그 현실에 대한 판단에서부터, 대안으로 등장하는 현실론이라는 건

너무나 자의적인 생각인 것 같다.

 

우리은행 직군제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고 있었다.

여성주의의 '딜레마'-한계와 가능성이라고도 표현되면서 말이다.

하지만, 직무급 평가는 그렇다치더도,

애초에 연대임금제와 같은 발상에 대해서는 도대체 동의할 수가 없었다.

그게 어떻게 비정규직화를 막을 수 있다는 걸까?

설사 노사가 합의해서 연대임금제를 해서, 비정규직 임금이 올라간다 한들

그게 비정규직의 empowerment와 도대체 무슨 상관이란 말인가.

내가 볼 땐 그들의 현실론이 전혀 현실론이 아니었다는거다.

"노동운동의 힘이 없으니까.."라는게  이유라면

차라리 "노동운동의 힘을 기르자.."고 해야 되는 거 아닌가?

물론 답답한 부분이 있다.

당장에 눈에 보이지 않고, '구체화된 계획' 은 커녕 '의지'조차 없어보일때,

희망이란 현실이 아닌 것이다.

"여성노동자를 조직화하자." -어떻게? 어떤 방식으로? 누가?

이런 질문들.

 

또 한가지는 상품화와 소비에 대한 것이었다.

자본주의가 고도로 발달하면 할수록 거의 모든 것들이-친밀성의 영역까지도 '상품화'되고 있다.

제사대행, 베이비시터부터 시작해서, 애인대행 서비스까지.

주로 여성의 감정노동, 돌봄노동에 해당되었던 영역의 상품화를

소비와 소외로 연결시켜 악순환이라고 보는 건 당연하다.

Hochschild라는 학자는 '감정의 제국주의적 지배'라고도 했는데

선진국의 중산층에서 사라진 감정, 돌봄노동들이

'제 3세계' 여성들의 이주를 통해, 그녀들의 노동으로 전가된 현상 말이다.

하지만  이런 상품화에 대한 비판을 어떻게 (정규직 남성)노동자들의 '구매력'과 연결을 시킨단말인가.

완전히 수요-공급론에 맞춰서, 구매력이 있으니까 소비한다. 사는 사람이 있으니까 또 파는거지.

남성노동자들은 사게 되고, 여성노동자들은 팔게 되고. 그러니까 결론은..구매력을 줄이자?

만약 내가 결국 자본주의적 생산의 문제와 분리해서 볼 수 없는 문제다, 라고 한다면

"넌 정말 비현실적이라고" 할까? "그래서 니 대안이 뭔데?" 라고 할까?

할 수 있는게 뭐야.

 

답.답.해.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