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블로그

1. 블로그 대문을 열면, 우선 참, 건강하구나, 하면서 그 건강함, 이면에는 그 건강함이 일정한 자존과 결부되어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가령, 여성에 대해 존귀한 의식을 가지면서도 한 편으로는 여성에 대한 남성의 차별과 각 개인의 자존과 구별이 들지 않는 부분이 있다. 이 부분이 바로 여성주의자들과 진보주의적 남성과의 대립각을 이루는 부분을 많이 보게 된다. '그래서 나는 그것이 싫다'와 '그렇게 싫은 건 좀 다른 것이다'의 차이다.

 

다른 이야기.

 

2. 인간은 정치적인 동물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이라고 하는데. 아리스토텔레스가 정치적이라는, 그것도 인간이 그렇다는 이유는 두 가지 의미다. 내 생각에는, 하나는 인간은 '정치적'이라는 하나의 관념이 권력의 상하좌우 수직수평관계에서 분명한 자존, 즉 나는 어디에 어떤 입장이냐 이것을 찾겠다는 의미이고, 또 하나는 그래서 정치적, 특히 정치를 움직이는 자들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라는 것으로 해석한다.  물론 정치적 과잉, 거대담론 속에 매몰되는 우리들을 비판하기도 한다. 그런데 정치적 과잉과 거대담론 속에서 허우적대는 민중들의 일반적인 삶이 자신의 생계적 욕구와 당면한 개별 경제적 상황과 때로는 무관하게 진행되지만 그렇다고 그것이 전혀 관계없다고 할 수 없다. 자신의 삶을 압도하는 정치적 의식, 다시 말하면 '정치과잉'이라고 비판하는 자들의 논거 속에서 인간이 어떻게 그러한 정치적 의식이 작동하고 있는지를 되살펴보지 않으면 안된다.

 

유럽의 그 이들과 우리와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선진, 이라는 말은 굉장히 모호한 개념이다. 모호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누구에게든 자신의 논리를 공고화하는데 쉽게 사용될 수 있으며, 설사 유럽에 갔다오지 않아도, 비록 1-2개국만 갔다와도 그것을 일반화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해보라. 그들이 정치적인 과잉, 거대담론에 전혀 관심이 없는가를. 관심있다. 그러나 우리와는 그 관심에 대한 태도가 다르다. 그들은 정치적인 태도와 입장을 분명히 하는데 익숙하다. 그러한 태도와 입장을 제법 긴 시간동안, 왕모가지 잘라가면서, 혹은 그런 소식을 전해들으면서, 훈련된 인간들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렇지 못하다. 이미 그럴 기회를 잃어버렸고, 게다가 그렇게 할 시기나 상황이, 더구나 지금은 더욱더 안된다. 그러한 동력은 고스란히 집단 속에 있는 개인에게 전달되고, 그 전달된 의식이 잠재되어 있다가, 순간적으로 발현된다. 일상에서도, 혹은 거대한 사건 속에서도 그렇다.

 

나는 이것이 과도적인, 순수히 한국만의 과도적인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우리의 경우, 정치적 과잉이나 거대담론에 매몰되어 밥 먹고 살지도 못하면서 한나라당 지지하는 것을 비참하게 본다. 그러나 반대의 경우, 좌파의, 더욱더 좌파의 삶은 한국자본주의 내에서 그리 추천할 것이 못된다. 그들도 정치과잉에 거대담론에 매몰된 자들이다. 문제는 관점의 차이일뿐, 그러한 의식이 역사적으로 사회적으로 어떻게 발현되었는가 보다는 현재 당신들이 옳은가 그른가에 더욱 혈안이 되어 있을 뿐이다.

 

적어도 한국사회 내에서 정치적 과잉, 거대 담론에 대한 흡수는 정신적인 영양분이다. 실제 입 속으로 넘어가는 양분만을 말하기에는 우리는 여전히 하고 싶은 말이 많으며, 불확실한 삶을 살고 있다.  그래서 더욱더 역동성을 가질 수 밖에 없다. 일본인처럼 우리와 비슷하면서도 정권을, 자신들이 지지한 정권을 욕하고 비난하는데 익숙하지 않다. 한국사회의 역동성은 불확실성이면서도 확실한 사회, 분명하고 일관되게 수렴되는 어떠한 한 사회를 원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의 모습의 근저에는 과거 오랫동안 군부독재의 진한 녹색물이 배여있다는 점도 부인하지 못한다. 그러나 그 사회로의 회귀를, 혹은 그 사회로의 회귀를 온 몸으로 부정하는 이 사회의 대립된 입장과 태도가 바로 역동성으로, 자유롭게 양자를 비판할 수 있는 힘으로, 비공식적으로, 혹은 공식적으로 대립화된 모습을 가지게 만든다. 자칫 유럽의 '선진화'라는 담론에 매몰될 때, 나는 분명 이러한 지식인들의 사고가 우리의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 형성된 역동성성을 빼앗고, 결과적으로 어떠한 방식이든 간에 '안정화'된 형태의 국가지향성을 만든다고 생각한다.

 

불확실성과 안정되지 못한, 과도적 상황에서 한국만의 독자적인 회생방안 보다는 유학생 출신의, 국제적이라는 빌미하에 자행되는 검증되지 못한 이론과 쉽게 이식될 수 없는 제도를 받아들에 될 때, 우리는 미국식의 안정화 기류와 유럽식의 안정화 기류 속에서 방황하게 될 것이다. 미국의 안정화는 소수의 삶을 망각함으로서, 위만 바라보고 아래를 보지 않게 함으로서, 즉 아래를 전혀 인식치 못하게 하는 것이라면, 유럽의 안정화는 정치적 과잉과 혁명, 혁명에 대한 실패와 그에 대한 예방 등에 대한 각종 대책들 속에서 사회적인 안정화를 통해 제도적으로 불확실성과 불안정성을 제거해 나가는 것이 차이다.

 

그러나 양자의 차이는 분명하지만 그것이 한국의 상황에 곧이 들어 맞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 이유가 앞서 설명한 것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렇다면 한국은 이대로 둘 것인가. 일단 여기까지가 오늘의 고민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