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포털들 영악해졌다?

포털들이 블로거 간담회라는 걸 하는가 보다. 그리고 간담회 갔다가 온 블로거는 자신의 블로그에 이런 저런 이야기를 적었다고 한다. 특별히 뽑힌 사람들이고 밥도 먹여주고 기념품도 주니, 나라도 신나서 몇자 적을 것이다. 그리고 모두 사람인지라 나쁜 이야기 하기는 참 어렵다.

 

여기까지가 포털들이 영악하게 생각한 것이다. 영향력 있는 개인을 잡아 '객관' 또는 '주관'을 가장한 자사 홍보를 기대한다는 생각, 너무 뻔한 생각이다. 이 정도 마케팅을 이제서야 한다는 건 사실 몰라서가 아니라 그만큼 영향력있는 블로거가 없었기 때문일 것이다. 이 현상은 결국 이 땅에서도 블로그가 상당한 영향력을 지니게 됐다는 걸 뜻한다.

 

그런데 포털들의 이 영악한 생각은 사실 한치 앞을 내다보지 못하는 바보짓이다. 효과보다 부작용이 더 클 가능성이 높다. 아니면 적어도 부작용이 효과보다 작더라도 부작용의 강도 곧 포털에 대한 반감의 깊이가 훨씬 깊어질 것이다. 그러니 괜히 블로거간에 별로 건설적이지 않은 논쟁 일으키지 말고, 지금까지 하던 대로 하면서 살기 바란다. (물론 들은 척도 안하겠지만.)

 

블로거들끼리 오고 가는 이야기가 어떤 건지 알고 싶다면 이 글과 이 글에 트랙백으로 연결된 글들을 보면 된다. 주관과 객관이 뒤섞인 논의가 벌어지고 있다. 객관을 강조하는 논의는, “훌륭한 블로거라면 좀더 객관적으로 써야하지 않겠는가”라는 식의 비판에 대해 “내가 볼 때 객관적으로 괜찮은 기능이나 서비스라고 판단해서 리뷰성으로 썼을 뿐이다”라는 반론이 제기되는 식이다. 드물지만 주관을 강조하는 주장도 있는데, 대강 “블로그는 주관적인 것이고 내가 보기에 그냥 좋아서 썼다”는 식의 반론이 있다. 모두 일리가 있는 말들이다. 진짜 문제는 포털의 얄팍함이다.

 

그래도 “내 주관적으로 그리고 내 생각에 객관적으로” 이 글이 가장 끌린다. 특히 마지막 구절.

 

밥 한끼를 얻어먹어도 결국엔 그것이 판단에 영향을 미친다(적어도 내가 경험한 바에 의하면 그렇다). 블로그 저널리즘이 존재한다면 - 혹 그 저널리즘의 엄격한 기준에 맞추어 글을 올리시는 분이라면, 이런 아주 사소한 문제라도 그냥 넘어가선 안된다고 본다. 블로그가 워낙 사적인 매체인 만큼, 밥 한끼의 위력이 더 클 수도 있으니까 말이다. 세상에는 공짜가 없다는 금언이 새삼 마음에 와 닫는다.

 

이 지적은 비단 이번 일에만 해당하는 게 아니다. 나야말로 항상 기억해야 할 이야기다.

2005/12/23 19:17 2005/12/23 19:17
댓글0 댓글
트랙백0 트랙백

자료의 보고

콩의 원산지에 관한 논쟁을 다룬 논문이 있다는 걸 아십니까? 그것도 중국이 원산지라는 기존 학설에 대해 한국 학자가 반박하는 내용이라면?

 

웬만한 사람들은 거의 관심이 없는 분야의 논문부터 학술 기사에 이르기까지 온갖 논문과 자료가 쌓여있는 블로그가 있습니다. 정말 감탄할 지경입니다. 개밥바라기가 그곳입니다.

2005/12/23 15:53 2005/12/23 15:53
댓글0 댓글
트랙백0 트랙백

어떤 사태에 대한 짧은 기록

대략 지난 일주일동안은 먹고 살기 위해(?) 읽어야 하는 책들까지 모두 제쳐놓고 브릭에 들어가 살았다. 이 사태를 이해하는 건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제 진상조사에 착수했으니 일단은 한 고비를 넘긴 듯 하다. 그래서 그동안 느낀 걸 간단하게 정리해두기로 했다.

 

첫째, 사람들이 생각보다 논리적 이해에 취약하다는 걸 절감했다. 원인 가운데 하나는 인터넷 게시판의 긴 글을 컴퓨터 화면을 통해 본다는 환경적 요인이라고 생각한다. 내 경험을 볼 때, 종이에 인쇄해서 읽어보면 훨씬 논리적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인터넷과 컴퓨터를 매개로 한 공공 논의(비전문가와 전문가 모두 마찬가지다) 틀에 많은 회의를 느끼게 된다. 보통 심각한 게 아니다. 여론의 왜곡과 조작 가능성이 너무 크다. 생각과 글쓰기도 완전 인스턴트 시대에 접어들었다. 물론 이해를 못하거나 거부하는 데는 이외에도 많은 원인들이 있으나, 이런 원인들은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인 것같다. 아마 여기에 비유할 수 있는 사건이 유서대필 사건 같은 게 아닐까 싶다.

 

둘째, 과학자라는 사람들이 여론에 호소하기 위해 과학을 배반하는 데 너무 큰 실망과 충격을 느꼈다. 해명이라고 내뱉는 말들을 보면 모멸감마저 느껴진다. 과학을 하는 사람이 아닌 내가 이럴진대 과학자들은 어떨까? ”※※※ 죽이기”라고 이름붙여 내놓은 4가지 의혹에 대한 반박 글이 역시 백미다. 죽이기라니... 과학은 과학적으로 접근해야 된다고 점잖게 거들던 분들은 다 어디갔나?

 

그래도 진실이 모든 걸 앞선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아직 꽤 있다는 게 소득이라면 소득이다. 아니, 소득 정도가 아니라 이것이야말로 희망이다.

 

맥락은 전혀 다르지만, 리오 후버만의 글 한 구절을 음미해볼 필요가 있다.

 

모호한 태도를 취하지 않고, 일부를 잘라내 버리지도 않고, 겁을 내 피하지도 않으면서, 우리가 본 데로 이야기할 때 이 일을 가장 잘 수행할 수 있다.

우리가 사는 세상의 진실을, 전체 진실을 이야기하자.

 

'뎁스의 방식'이라는 글의 한 대목이다.

2005/12/12 18:30 2005/12/12 18:30
5 댓글
트랙백1 트랙백

앞으로 뒤로

외국 진보 진영의 글을 번역해 공개하는 걸 주 목적으로 하지만 요즘은 잡글이 더 많습니다. maris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