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多soo개dog/청산이더딘역사

4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10/12/07
    서울시청 성탄트리, 십자가 왜 달렸나 했더니
    ♨성애의혁명
  2. 2010/12/07
    이상득 의원 ‘천황 폐하 탄신 축하파티’ 참석
    ♨성애의혁명
  3. 2010/12/06
    李대통령 "한일, 과거 딛고 미래 향해야"-_-
    ♨성애의혁명
  4. 2010/11/21
    반국가 친북좌파 사이트 2차 공개by 대한민국어버이연합(1)
    ♨성애의혁명

서울시청 성탄트리, 십자가 왜 달렸나 했더니

 

서울시청 성탄트리, 십자가 왜 달렸나 했더니

[취재수첩]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십자가 달린 성탄트리 탄생 배경

김태일, info@humanpos.kr

등록일: 2008-12-02 오전 7:01:16


해마다 12월이 되면 대한민국의 도시 번화가와 주요 공공장소에 성탄트리(크리스마스트리)가 세워진다. 그런데 해마다 성탄트리의 아름다운 불빛 위에 매달려 있는 십자가가 왠지 어색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어 여러 자료를 찾던 중에 재미있는 사실들을 알게 되었다.

  

▲ 서울시청 앞과 부산역 앞에 설치된 2008년 십자가 달린 성탄트리

★ 재밌는 사실 하나 - 부활절도 아닌 성탄절 기념 트리에 웬 십자가?



성탄트리 꼭대기에 십자가가 매달려 있는 것에 대해 과거에 많은 논란이 있었는데 보통의 사람들이 느끼는 생각은 아기 예수가 탄생한 성탄절 기념 트리에 왜 예수 부활을 의미하는 십자가를 매달아 놓았는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다. 쉽게 말해 생일 축하하는데 고통 받고 죽은 사람의 상징을 걸어 놓았다고나 할까?

성탄트리는 보통 예수가 태어났을 때 동방박사들이 별을 따라서 베들레헴에 간 것을 기념하기 위해 별 모양의 장식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래서 전세계적으로 성탄트리 꼭대기에는 별 모양을 달고 있다.

기독교인들 사이에도 십자가 매단 성탄트리에 대해 비판이 일고 있는 가운데 한기총은 "성탄트리에 십자가 달지 말라는 법은 없다"고 말해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 재밌는 사실 둘 - 서울시청 십자가 성탄트리는 2002년 이명박 시장 때부터?

그렇다. 2002년 32대 서울시장으로 당선된 당시 이명박 시장이 취임하면서 12월 서울시청 앞 성탄트리가 화려해지고 꼭대기에 십자가가 걸렸다.

내용을 들여다 보니 이렇다. 60년대 말부터 30년 가까이 서울시 예산으로 성탄트리를 만들었는데 특정종교 상징물을 국민의 세금으로 만드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하여 한동안 서울시에서 성탄트리를 세우지 않았다. 아마 98년부터 재직한 고건 시장 시절인 것 같다. 이것은 2001년 겨울까지 지속된 것으로 보인다.



물론 그 이전 서울시에서 예산을 들여 만들때에도 위의 1997년 사진처럼 ‘근하신년’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등의 글자를 넣고 꼭대기에는 별을 달아 특정종교 지원 시비를 피하려했다.



그런데 2002년 당시 이명박 서울시장 때부터 한기총이 예산을 들여 직접 성탄트리를 만들었고 서울시가 서울시청 앞에 설치하는 것을 허가했다고 한다. 그때부터 화려하면서 꼭대기에 십자가가 매달린 성탄트리가 탄생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지금의 오세훈 서울시장까지 이어지고 있다.


★ 재밌는 사실 셋 - 서울시청 십자가 성탄트리의 최초 제안자가 뉴라이트?

그렇다. 이것도 취재하다보니 알게된 사실이다. 두레교회 남민우 목사(뉴라이트전국연합 상임대표)가 한기총에 요청해서 현재와 같은 성탄트리가 세워졌다고 한다.


★ 재밌는 사실 넷 - 십자가 걸린 성탄트리는 대한민국에만 있다?

  
▲ 미국, 영국 등 서방국가들의 성탄트리

그런것 같다. 구글과 국내 포털사이트에 올라와 있는 세계 각국의 성탄트리를 2시간 넘게 검색해봐도 십자가를 매달은 성탄트리는 찾아 볼 수가 없었다. 전세계를 모두 다녀보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인터넷상에서 확인 할 수 있는 사실만으로는 그렇다. 혹시라도 세계여행 하면서 십자가 매달은 성탄트리를 보았다면 제보해 주세요. 꼭 후속기사를 쓰겠습니다. 000에도 십자가 매달은 성탄트리가 있더라.......


취재하면서 느낀것이 있다면 넌센스에 가까운 십자가 매달린 성탄트리는 서울을 봉헌하겠다던 당시 이명박 서울시장과 기독교 복음전파만 생각했지 비기독교인들과 함께 축제 같은 연말을 생각하지 않는 한국 기독교의 생각이 맞아 떨어진 결론이지 않을까 싶다.

2008년 12월, 이제는 서울 뿐만아니라 부산, 광주, 전주....등 전국 곳곳에 넌센스에 가까운 십자가 매달린 성탄트리는 계속 설치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연말과 겹친 크리스마스 시즌은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이 새해를 맞이하는 기대와 설레임 그리고 희망을 나누는 축제 시즌이다. 그러나 유독 대한민국 기독교만 복음 전파 시즌으로 생각해 유별남을 나타내는 것은 그리 보기 좋은 모습이 아닌 것 같다.

또한 이명박 정부 들어 특정종교 차별과 관련하여 잡음이 계속되는 현실에서 십자가를 매단 성탄트리가 1개월 넘게 정부 공공기관 앞을 지키고 서 있는 것 또한 그리 좋은 모습은 아니지 않을까.



출처: http://www.humanpos.kr/news/article.html?no=1764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이상득 의원 ‘천황 폐하 탄신 축하파티’ 참석

6일 저녁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주한일본대사관이 주최한 ‘천황 폐하 탄신 축하파티’에 이상득 의원 등 국내 정치인들이 참석했고, 일부 기업들은 축하화환을 보낸 것으로 드러났다. ‘뷰스앤뉴스’는 “아키히토 일왕의 생일(23일)을 기념한 이날 파티에 이명박 대통령의 형 이상득 한나라당 의원을 비롯해 한나라당 박종근, 김태환 의원이 참석했다”고 보도했다. 파티장 입구에는 롯데그룹, LG, 하나금융 등에서 보낸 대형 화환이 세워져 있었는데, 롯데그룹에서 보낸 화환에는 “천황폐하 탄생축하”라는 문구가 쓰여 있었다고 <뷰스앤뉴스>는 전했다.

 행사가 시작된 지 40여 분 뒤에 파티장에 도착한 이상득 의원은 어떻게 오게됐냐는 ‘뷰스앤뉴스’ 기자의 질문에 “한일교류협회 회장인데 한일 친선 교류를 위해서 당연히 와야지”라고 답했다고 전했다. 이 의원은 “그래도 국민 감정이 있지 않냐”라는 질문을 받자 “사람들이 사과하고 그랬으면 우리도 노력하고 해야지. 난 그렇게 생각한다”며 서둘러 파티장 안으로 입장했다. 이 의원은 이날 행사참석 뒤 ‘뷰스앤뉴스’와 재차 만나서도 “어느 나라든 간에 내셔널 데이(national day)가 있다. 나라마다 딱 하루 정해서 하는 건데 한일 교류 협회장으로 참석했다”고 거듭 문제될 게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는 “일본이 사과하고 하니까 (참석) 해야지. 일본이 정중히 사과했고 자진해서 문화재도 돌려주려고 하니까. 외교상…”이라며 “축하해주고 나왔다. 축사는 안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내가 할 일이고 그동안 지난 (한일의원연맹) 협회장들도 다들 참석하셨다고 하더라”고 말한 뒤, 자신의 차에 올랐다.

 이상득 의원은 한일의원연맹 회장, 박종근 의원은 부회장, 김태환 의원은 수석부간사장 자격으로 참석했는데, 연맹 간사장을 맡고 있는 이낙연 민주당 사무총장은 불참했다. 이 총장은 “이제까지 (해마다 열린 행사에) 참석한 적이 없다”면서 불참이유를 설명했다고 ‘뷰스앤뉴스’에 밝혔다. 이날 대사관으로부터 초대장을 받은 의원들과 외교관 등 우리 정부쪽 인사 대부분은 행사의 부적절성과 민감성을 감안해 불참한 것으로 전해졌다. ‘뷰스앤뉴스’는 과거 일본군 제복을 입고 파티장에 들어온 일본인들은 장군으로 보이는듯한 한 퇴역 군인에게 거수 경례를 하기도 했다고 이날 파티장 분위기를 전했다.

 이날 행사에서 무토 마사토시 일본 대사는 축사를 통해 북한의 연평도 공격을 맹비난했고 나카소네 전 일본 총리는 일본은 천황 황제가 있어서 국가를 만들 수 있었으며 천황에 대해 존경하는 마음을 갖고 결속하겠다는 요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대사관은 한국내의 각국 외교관은 물론 국내 정치인, 외교관, 정부 인사들에까지 초청장을 발송했고, 행사는 주최측이 예상한 350여명을 초과한 500여명이 몰려 성황을 이뤘다. 이날 파티는 철저한 보안 속에서 이뤄졌다.

e뉴스팀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452480.html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李대통령 "한일, 과거 딛고 미래 향해야"-_-

 

나카소네 전 日총리 접견

(서울=연합뉴스) 이승우 안용수 기자 = 이명박 대통령은 6일 '일한협력위원회' 회장 자격으로 방한한 나카소네 야스히로(中曾根康弘) 전 일본 총리를 청와대로 초청해 접견했다.

이 대통령은 "한일 양국은 이제 과거를 딛고 미래를 향해서 나가야 할 때"라면서 "양국의 강한 협력이 양국의 번영 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에도 도움을 주고, 동아시아의 평화에도 크게 기여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 양국은 국제사회에서 여러 의견을 놓고 같은 방향으로 가고 있다"면서 "최근 한국에 여러 사태가 생겼을 때마다 일본정부가 매우 적극적으로 한국정부를 지지하는 가까운 나라의 역할을 해 줘 감사하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지난 1969년 창립한 일한협력위원회의 역할을 평가하면서 "앞으로도 계속해서 경제 뿐만 아니라 정치와 사회, 문화, 기후변화 등 여러 분야에서 큰 역할을 해 주길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 나카소네 전 총리는 "북한의 도발, 폭력행위에 대해 우려했지만 이 대통령이 완전한 대응을 해서 진심으로 경의를 표한다"면서 "아울러 많은 피해를 입은 한국민에게 조의를 표한다"고 답했다.

위원회 협력위원회의 우리측 회장인 남덕우 전 총리와 이승윤 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leslie@yna.co.kr

aayyss@yna.co.kr

(끝)

http://media.daum.net/politics/view.html?cateid=1002&newsid=20101206184811562&p=yonhap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반국가 친북좌파 사이트 2차 공개by 대한민국어버이연합

“反국가행위 차단 위해 친북사이트 규정 필요”

 

이들은 ▲반국가행위(北대남전략 동조, 국가보안법폐지) ▲반민족행위(北세습, 선군정치, 주체사상 옹호, 선전) ▲국익훼손행위(국가정책, 행사 반대) ▲반헌법행위(6.15, 10.4 선언 이행, 병역거부 주장) ▲이적행위(천안함 北폭침 부정, 주한미군 철수주장)에 해당하는 활동이나 주장을 한 단체와 개인의 웹사이트를 ‘반국가 친북좌파 사이트’로 규정했다.

 

이번 2차 공개에 포함된 단체는 사월혁명회, 한국여성단체연합, 동성애자인권연대, 인권운동사랑방, 평화인권연대 등 30개 단체 사이트와 박지원, 이정희, 강기갑, 정동영, 유시민 등 정치인 사이트가 포함되었다.

 

 

지난 10월 15일 1차 공개에는 민노당을 비롯해 민주노총, 전교조, 한총련, 진보연대, 참여연대, 환경운동연합, 실천불교승가회,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 등 37개 사이트를 反국가 친북좌파사이트로 규정한 바 있다.

 

이들은 “최근 북한은 사이버 심리전을 강화하고, 인터넷을 통해 북한 세습독재와 주체사상, 선군정치를 학습, 선전하고 있다”며 “종북좌파세력들은 북의 대남적화노선을 따라 국가보안법 폐지, 주한미군 철수, 연방제통일 등을 주장하며 반국가, 이적행위를 노골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좌파사이트에 경계심 없이 접속해 북한을 미화, 찬양하는 글을 자주 접하다 보면 무의식 중에 선전, 선동에 현혹되기 쉽다”며 “네티즌들의 의식이 성숙되었기 때문에 북한의 체제 선전을 방치해도 무방하다는 주장은 적 앞에 빗장을 열어 주어도 아무 위험이 없다는 안이한 이적적(利敵的) 사고”라고 단정했다.

 

 

反국가 사이트 공개 총79개 : (1차 37개) 1~37 (2차 32개) 38~69, (정치인 10개)1~10

 

1. 민주노동당 http://www.kdlp.org (북 대남노선 추종)

2. 한국진보연대 http://www.jinbocorea.org ( 〃 )

3. 참여연대 http://www.peoplepower21.org (G20반대, 천안함 폭침 부정)

4. 남북공동선언실천연대 http://www.615.or.kr (이적단체)

5. 환경운동연합 http://www.kfem.or.kr (국보법 폐지 주장)

6. 국가보안법폐지국민연대 http://freedom.jinbo.net ( 〃 )

7. 조국통일범민족연합남측본부 http://www.tongil-i.net (이적단체)

8. 21세기코리아연구소 http://www.21corea.org (간첩단체)

9. 노동자연대 다함께 http://www.alltogether.or.kr (G20반대)

10. 주한미군철수운동본부 http://www.onecorea.org (미군철수)

11. 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 http://www.spark946.org (미군철수 주장)

12.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 http://hcy.jinbo.net (이적단체)

13. 6.15공동선언실천청년학생연대 http://www.615chyd.org (6.15선언 이행주장)

14. 반전평화연대 http://antiwar.textcube.com (미군철수 주장)

15.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http://minkahyup.org (국보법 폐지, 이적행위옹호)

16.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http://www.professornet.org (국보법 폐지)

17. 전국민주화운동유가족협의회 http://www.ugh.or.kr (이적행위자 옹호)

18. 천안함사건진실규명과한반도평화를위한공동행동 http://326true.net (폭침부정)

19. 평화재향군인회 http://www.pcorea.net (국보법 폐지 주장, G20반대)

20. 한국민권연구소 http://www.615.re.kr (북 체제 선전)

21. 민가협 양심수 후원회 http://www.yangsimsu.or.kr (이적행위자 옹호)

22.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http://www.nodong.org (G20반대)

23. 전국교직원노동조합 http://www.eduhope.net (빨치산 찬양)

24. 노동자전선 http://napo.jinbo.net (G20반대)

25. 전국농민회총연맹 http://www.ijunnong.net (G20반대)

26.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http://www.kpaf.org (국보법 폐지 주장)

27. 실천불교전국승가회 http://www.silchun.org (빨치산 찬양)

28.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 http://sajedan.org/main.htm (국보법 폐지 주장)

29.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http://www.kncc.or.kr (6.15선언 이행 주장)

30. 전국목회자정의평화실천협의회 http://www.ccjp.or.kr (6.15선언 이행 주장)

31. 예수살기 http://withjesus.or.kr (국가보안법 폐지, 6.15이행, 이적 옹호)

32. 향린교회 http://www.hyanglin.org (국가보안법 폐지, 6.15이행, 이적 옹호)

33. 사이버민족방위사령부 http://cafe.naver.com/kocoree (이적, 북 찬양)

34. 민주사랑 http://cafe.naver.com/minjusarang (민노당 지지, 6.15이행)

35. 안티 MB http://cafe.daum.net/antimb (G20반대, 정부 비방,모략)

36. 한국청년단체협의회 http://blog.daum.net/21hanch (국보법 폐지, 6.15이행)

37. 통일파랑새 http://cafe.daum.net/nowar4 (국보법 폐지, 6.15이행)

 

 

2차 32개 사이트 공개

38) 전국공무원노동조합 http://www.kgeu.org (反국가, 反헌법)

39) 전국언론노동조합 http://media.nodong.org (反국가, 反헌법, 이적단체 비호)

40) 사월혁명회 http://rev419.jinbo.net/ (反국가, 反헌법)

41) 사회진보연대 http://pssp.jinbo.net/main/index.php (국익훼손, 反헌법)

42)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http://www.humanmed.org/ (국익훼손, 反헌법)

43) 노동건강연대 http://www.laborhealth.or.kr/ (反국가, 反헌법)

44) 한국여성단체연합 http://www.women21.or.kr/ (국익훼손, 反헌법)

45) 한국여성민우회 http://www.womenlink.or.kr/ (反국가, 국익훼손)

46) 민주주의법학연구회 http://delsa.or.kr/zbxe/ (反국가, 反헌법)

47)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 http://minbyun.org (反국가, 국가보안법폐지 주장)

48) 한국노동이론정책연구소 http://kilsp.jinbo.net/ (反국가, 反헌법)

49) 한국노동사회연구소 http://klsi.org/ (反국가. 反헌법)

50) 다산인권센타 http://www.rights.or.kr/new/index.php (反국가. 反헌법)

51) 동성애자인권연대 http://www.lgbtpride.or.kr/ (反국가. 反헌법)

52) 미술인회의 http://www.misulin.org/xe/ (反국가. 反헌법)

53) 한국작가회의 http://www.hanjak.or.kr/ (反국가. 反헌법)

54) 민족미술인협회 http://www.minart.org/index.htm (反국가. 反헌법)

55) 민족화합운동연합 http://www.hwahap.org/ (反국가. 反헌법)

56) 스크린쿼터문화연대 http://www.screenquota.com/v2/ (反국가. 反헌법)

57) 인권과 평화를 위한 국제민주연대 http://www.khis.or.kr/ (反국가. 反헌법)

58) 인권운동사랑방 http://www.sarangbang.or.kr/kr/new/ (反국가. 국익훼손)

59)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http://www.kwpa.org/ (反국가. 反헌법)

60) 전쟁없는세상 http://withoutwar.org/index.htm (국가보안법폐지)

61) 평화를 만드는 여성회 http://www.peacewomen.or.kr/ (反국가. 反헌법)

62) 평화인권연대 http://peace.jinbo.net/ (反국가. 反헌법)

63) 인권실천시민연대 http://www.hrights.or.kr (反국가. 反헌법)

64) 민족문제연구소 http://www.minjok.or.kr (反국가. 反헌법)

65) 평화네트워크 http://www.peacekorea.org (反국가. 反헌법)

66) 추모단체연대회의 http://www.yolsa.org (反국가. 反헌법)

67) 빈곤사회연대 http://antipoor.jinbo.net/index0.php (反국가. 反헌법)

68) 전국철거민연합 http://poverty.jinbo.net/main/main.html (反국가. 反헌법)

69) 우리겨레하나되기운동본부 http://www.krhana.org (反국가. 反헌법)

 

정치인

1)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 http://www.jwp615.com (反국가. 反헌법, 정부모함)

2) 이정희 (민노당 대표) http://www.heenews.co.kr(反국가. 反헌법)

3) 강기갑 (민노당 국회의원) http://www.gigap.net (反국가. 反헌법, 좌파단체 출신)

3) 권영길 (민노당 국회의원) http://www.ghil.net (反국가. 反헌법)

4) 노회찬 (진보신당 대표) http://www.nanjoong.net (反국가. 反헌법)

6) 정동영 (민주당 국회의원) http://www.cdy21.net (反국가. 反헌법)

7) 천정배 (민주당 국회의원) http://www.jb21.or.kr (反국가. 反헌법, 천안함 폭침 부정)

8) 최재성 (민주당 국회의원) http://www.js21.net (反국가. 反헌법, 주사파 출신)

9) 김근태 (민주당 상임고문) http://gtcamp.tistory.com (反국가. 反헌법)

10) 유시민 (정당인, 전 국회의원) http://www.usimin.net (反국가. 反헌법)

 

 

● 2010년 11월19일

 

반국가 친북좌파 사이트 규정 심사위원회

봉태홍(라이트코리아 대표) 신혜식(독립신문 사장) 법철(인터넷 중앙불교신문 발행인) 박동(문화정책개발연합 대표) 최태영(비젼21국민희망연대 대표) 서희식(자유교원조합 위원장) 김민상(사이버정화시민연대 공동대표) 김순희(교육과 학교를 위한 학부모연합 대표) 김구현(전교조 없는 맑은 세상 저자) 전영준(웹진 리얼콘 대표)

 

출처 :http://vivakorea2012.com/zbxe/9307#0

 내가 쌍코에 올린 자료.. 가끔 가스통 사이트 들어가면 잼난다니까.. 은근히 친절해...

 밑줄친 부분은 웃겨서 친것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렇게 자기들이 분류한거 알려주는 나를 뭐라고 생각해줄까? ㅋㅋㅋ

 노력합시다~ 요즘은 우파단체보단 좌파단체가 더 호응받으니.. 자자 한자리 차지 해야죵?^^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