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일 일곱시
주디스 버틀러와 타자의 윤리학: 애도, 주권, 국가
버틀러 꼼꼼하게 읽기.
7/19_ 나에서 우리로, 규범의 규제성과 변형성이라는 패러독스
주디스 버틀러, 『젠더 허물기』
7/26_ 애도의 정치학과 윤리성, 살 만한 삶은 무엇인가?
주디스 버틀러, 『불확실한 삶: 애도와 폭력의 권력들』
8/ 2_ 주권의 역설, 보편적 이중성인가, 특수한 역사성인가
주디스 버틀러,『불확실한 삶: 애도와 폭력의 권력들』
주디스 버틀러, 『안티고네의 주장』 3장 문란한 복종
8/ 9_ 민족과 국가의 경계에서 타인의 얼굴을 환대하기
주디스 버틀러, 『불확실한 삶: 애도와 폭력의 권력들』(4, 5장)
8/16_ 심리 양태와 국가 장치로서의 스테이트(state), 그 수행적 모순의 미래
주디스 버틀러, 『누가 민족국가를 노래하는가?』
일시 : 7월 19일 ~ 8월 16일 매주 월요일 7시
강사 : 조현준(경희대 교양학부 객원교수)
화요일 일곱시
포스트식민 시대의 문학읽기
21세기 지구화 시대에 포스트식민 논의는 지나간 사건인가.
초국가적 시대의 화두인 혼종성과 인종/젠더/국가적 정체성, 초국가적 이주와
동화, 고향과 귀속 등의 문제와 포스트식민 논의는 관계가 없는 것인가.
파키스탄, 카리브, 필리핀, 베트남, 인도 등 오랫동안 유럽의 식민지였고
현재 미국의 강력한 영향력 하에 있는 국가들의 포스트식민 토양에서 생성된 문학들을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생각해본다.
7/20_ (파키스탄) 혼종성과 그로테스크:
살먼 루시디의 [수치] (Salman Rushdie's Shame)
7/27_ (인도) 식민주의, 카스트, 젠더 - 머뭄과 떠남:
아룬다티 로이의 [작은 것들의 신]과 바라티 무커지의 [재스민]
(Arundhati Roy's The God of Small Things & Bharati Mukherjee's Jasmine)
8/3_ (필리핀) 이방인들의 나라:
제시카 해거든의 [개먹는 놈들] (Jessica Hagedorn's Dogeaters)
8/10_ (베트남) 사이를 오가는 자:
앤드류 X. 팜의 [메기와 만다라] ((Andrew X. Pham's Catfish and Mandala)
8/17_ (카리브) 하얀 피부 검은 가면:
미셀 클리프의 [하늘로 통하는 전화는 없다]
(Michelle Cliff's No Telephone to Heaven)
일시 : 7월 20일 ~ 8월 17일 매주 화요일 오후 7시
강사 : 성정혜, 신현욱, 이경란, 이승은(탈식민세미나팀)
수요일 일곱시
섹슈얼리티 3_욕망, 정체성, 사회 그리고 횡단적 성적 주체성
본 강의는 성 혹은 섹슈얼리티를 중심으로 욕망, 정체성, 사회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사람들과
서로의 생각을 함께 나누고자 마련되었다. 특히, (성적) 욕망과 이에 근거해 규정되는 성적 정체성이
구성되었다는 사실에 은밀한 저항감이 느껴지는 것에 대해 이야기 해 볼 것이며 이것이 사회를 이해하는
우리의 인식과 어떻게 연관되고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또한 성에 대한 이러한 관습적이고 습관적인 인식이 어떻게 성을 규범화하고 위계화함으로써
작동해 온 근대적 가부장제와 가부장적 자본주의와 연동되어 있는 것인지를 함께 이야기해 보도록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강의에 참석하는 분들은 다음과 같은 일정에 맞추어 관련 문헌을 미리 읽어 오기를 주문한다.
7/28_ 한국의 성 연구 지형 살펴보기
김은실(2006) “지구화 시대 한국 사회 성문화와 성 연구 방법”, [섹슈얼리티 강의, 두 번째], 동녘
서동진(2002) “섹슈얼리티와 이데올로기”, [문화과학]
8/ 4_ 주체화 과정과 욕망의 구성에 관하여
Judith Butler (1997) [The Psychic Life of Power: Theories in subjection], Standford: Standford University Press
Lacan, Jacques (2000/1989) The mirror stage, In du Gay, P., Evans, J. & Redman, P. (eds.) (2000), Identity: a reader, London, Thousand Oaks, New Delhi: SAGE Publications, pp.44-50
지그문트 프로이트,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김정일 역, 열린책들
조르주 바타이유 [에로티즘의 역사] 조한경 역, 서울: 민음사
8/11_ 성적 정체성에 관하여
Lacan, Jacques (2000/1989) The mirror stage, In du Gay, P.,Evans, J. & Redman, P. (eds.) (2000), Identity: a reader, London, Thousand Oaks, New Delhi: SAGE
Rose, Jacqueline (1982) Feminine Sexuality, Rose, Jacqueline and Juliet Mitchell (eds.) (1982) Feminine Sexuality: Jacques Lacan and the école freudienne, Reproduced in Gay, P., Evans, J. & Redman, P. (eds.) (2000), Identity: a reader, London, Thousand Oaks, New Delhi: SAGE Publications, pp. 51-68
Jackson, Stevi (1996) The Social Construction of Female Sexuality, Jackson, Stevi & Scott, Sue (eds.) (1996), Feminism and Sexuality: a Reader,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pp. 62-73
D'Emilio, John (1983) Capitalism and Gay Identity, Snitow, Ann et al. (eds.) Powers of Desire: The Politics of Sexuality, New York: Monthly Review Press, 100-113.
8/18_ 횡단적 주체성에 관하여
펠릭스 가타리 (2004) [정신분석과 횡단성] 윤수종 옮김, 울력
윤수종 (2009) [욕망과 혁명] 서강대학교 출판사
박이은실 (2010) [양성애/여성의 횡단적 주체성 형성과 도전] (예정)
8/25_ 그리고 남아있는 문제들
Gayle Rubin (1993) ""Thinking Sex": Notes for a Radical Theory of the Politics of Sexuality", In Henry Abelove, Michele Aina Barale and David Halperin (eds.) The Lesbian and Gay Studies Reader, New York: Routledge
Hennessy, Rosemary (2000) [Profit and Pleasure: Sexual Identities in Late Capitalism], New York and London: Routledge
데니스 올트먼 (2003/2001) [글로벌 섹스: 섹스의 세계화, 침실의 정치학] 이수영 역, 이소출판사
일시 : 7월 28 ~ 8월 25일 매주 수요일 오후 7시
강사 : 박이은실(지구지역행동네트워크/페미니즘학교)
목요일 일곱시
지구화시대 여성, 몸, 노동
상품화라는 개념과 현재 의미를 통해서 여성의 몸과 노동의 관계를 이론화 해보자.
7/22_ 상품화의 문제
7/29_ 감정의 상품화: 어디까지가 진심인가?
8/ 5_ 친밀성의 상품화: 어디까지 용인되는가?
8/12_ 몸 노동의 상품화: 하이-터치 서비스
8/19_ 지구화와 서비스 경제의 등장
일시: 7월 22일 ~ 8월 19일 매주 목요일 오후 7시
강사: 문은미, 오김숙이, 이현재(여성문화이론연구소)
금요일 일곱시
페미니즘 개념어 사전 1 :젠더와 정치적인 문제의 재구성
페미니즘은 공적인 것/정치적인 것/사회적인 것 등등에 대한 새로운 문제제기이다.
젠더라는 프리즘을 통해 새롭게 제기되는 문제들과 재구성되는 문제들을 살펴보기 위한
몇 가지 개념어들을 다룬다. 개념어를 잘 이해하면 페미니즘 이론의 지형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7/23_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public/private
7/30_ 정체성의 정치identity politic/the politics of identity
8/ 6_ 평등equality
8/13_ 돌봄care
8/20_ 시민권citizenship
일시: 7월 23일 ~ 8월 20일 매주 금요일 오후 7시
강사: 구번일, 문은미, 오김숙이, 정혜실(여성문화이론연구소)
댓글을 달아 주세요
안녕하셔요?
메기와 만다라를 검색하다가 여기까지 오게 되었습니다.
포스트 식민시대의 문학 읽기라는 것이 어떤 형식으로 진행 될지는 모르지만 메기와 만다라가 끼어 있어 여간 궁금합니다. 제가 번역 작업을 하면서 전쟁을 통해 잃고 얻은 것에 대한 지금 시대를 사는 우리의 책임이 무엇인지를 더 깊게 생각하게 되었으니까요. 또한 한국을 떠난 이래 정체성은 제게 가장 큰 화두이기도 하니까요.
저는 먼곳에 있어서 갈 수 없지만 좋은 시간 가지시길 바랍니다.
미국에서 김미량 드림
아...저도 그 수업 듣고 싶었지만, 화요일 수업이 아닌 다른 수업을 듣게 되었어요. 하지만, 한국을 떠나서 고민하게 되는 정체성의 문제... 저도 늘 고민하는 주제 중의 하나입니다. 물론 지금은 한국 내에 있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