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노력부족..

타로카드 운세를 봤더니

노력의 부족으로 이루고자 하는것을 못이룬단다...쩝..

노력을 해야 할 수 있다는 것..

 

어찌해야 하는걸까?

 

근데 노력해서 될 수 있는게 있고,

그렇지 않은게 있진 않을까?

 

이건 또 왠 운명론??

 

운명을 개척하는것은 없다.

그것또한 운명을 정해진 것으로 사고하는 것이니..

애초의 운명같은것은 여러 가능성중의 하나니까..

 

근데 정말 그런걸까?

회의가 생기기 시작했다.

 

행복을 추구하는 인간의 본성이 있다면

나에게 있는 본성은 어떤 행복을 추구하고자 하는것인가?

 

 

모든 곳이 그놈의 당땜시 시끄럽다.

계급정당, 진보정당...

이수호는 버젓히 민노당 혁신위원장이 되었더군..

강승규 배임수뢰로 총사퇴를 했던 집행부의 수장이 다른것도 아니고

혁신위원장이 되었다는 것도 정말 아이러니다...

 

 

 

 



우리의 아이러니는 저들에겐 상식이다..

이것또한 아이러니가 아닐수 없다..

그래서 우리는 상식이 통하는 민주노총을 외쳐댔었다.

 

내가 생각하는 당은 몰까?

혁명운동을 만약 내가 하고있다면

그 어떤 것보다 당건설투쟁을 제일의 과제로 놓아야 한다.

조직이 없는 운동은 있을 수 없다.

세상을 바꿀 조직으로서의 당이다..

 

정세적 시기와 조건이 있다.

민노당의 패배, 한나라당의 승리, 노무현에 대한 심판이

진보진영으로 온것이 아니라 한나라당으로 수렴되었다.

민노당의 최근 분당과정은 대중들에게 굉장한 실망감을 주고 있다.

정치세력화의 상을 민노당이라는 상으로 10년을 존재했고,

그 존재가 이미 현실에 있었다.

우리는 그 당은 진짜 당이 아니라고 이야기 했었다.

그런데 그 소수파의 외침은 무시되었고,

소수파라서, 지들이 핵심에 못서니깐..등등으로

치부되었다.

정파적으로 봤을때 누가 더 다수파냐의 문제를 넘어선 것이었다.

그것은

남한사회에서 계급정당에 대한 상과 계급정치에 대한 상의 차이였다.

 

그러나 민노당에서 10년을 함께 했고, 바라본 대중들에게는

10년 진보정당운동의 패배가

더이상 운동의 전망을 그리지 못하는 우울증으로 향하고 있다.

믿을놈 없다는 좌절, 보수정치와 똑같이 정파싸움한다는..

딱 이수준의 고민인것이다.

지금의 분당사태는 내가보기도 그렇다.. 

신당을 만든다고 하지만 민노당과 별로 다를게 없다.

 

 

우리가 생각했던 당이라는 개념과 위상이 있다.

그 당은 전국의 좌파운동 세력을 하나로 모으는 작업과 함께

계급 대중에게 뿌리내리는 것이다. 이 두가지가 충족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써클에 불과할 뿐이다.

서클이면서 당의 이름을 붙이는것은 어쩌면

당에 대한 모욕이지 않을까?

이것또한 당에 대한 물신화의 잔영인가???

 

그리고 ...

가장 중요한 우리의 실력이 있다.

 

중요한건 정세적 조건말고는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 없다는 것이다.

아..어쩌란 말이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