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데리다의 해체


언어관의 전환

전통적인 언어관은 근원주의, 토대주의라고 하는 언어관에 의해 체계를 이룬다. 언어를 하나의 대상에 대한 보편적인 언어를 통해 의미를 부여하는 유명론이나 경험론, 실증주의등은 언어를 통해 '객관적인 실재의 반영'으로 보았으며 본질론이나 합리론, 현상학은 언어를 '우리의 의식안에 현존하는 관념의 표현'으로 본다.

이와 같은 언어관을 토대주의(a foundational theory of language)라고 말하며 언어의 의미가 외적 실재나 내면의 의식상태 혹은 언어외적인 근원에서 유래한다는 세계관을 갖는다. 데리다는 이러한 토대주의를 해체한 반토대주의(antifoundationlism)의 입장에서 언어 자체에 대한 의미부여, 본질 찾기가 아닌 용어들간의 관계(차이, 대립, 상관)에 의해 구성된다고 주장한다.

데리다의 해체(deconstruction) 이론은 이와 같은 토대주의적 전통 철학의 서열적 모순을 까발리고 이를 전도(reversal)단계와 제거(displacement) 단계로 구성하여 설명한다.

소쉬르의 기호학적 관점인 빠롤( 능기 : 개별 발화자의 발화행위)와 랑그( 소기 : 언어사용의 사회적 규칙) 간의 고정된 구조( "모든 언어는 고정됐다!")를 해체하는 도구로 차연이라는 언어를 사용한다. (언어는 용어들 사이의 유기적 관계를 통해 의미가 부여되며 이를 통해 그 구조(의미, 규칙)는 끊임없이 지속된다.)


차연(differance) - 스펠링 안 틀렸음.. ^^;

차연은 의미에 대해 기호들간의 공간적 차이(spatial difference)와 시간적 지연(temporal deferment)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고정적이고 완결된 의미가 부여되는 것이 아니라 시간과 공간의 흐름, 관계에 따라 끊임없이 순환한다.
즉, 차연 = 차이 + 지연

왜 '차이'가 아닌 '차연'인가?

'차이'는 근본적으로 우열, 이분법 관계를 함의하고 있다. ( ex : SKY IS DIFFERENT!! - 스카이가 더 좋다는 의미를 내포) 즉, '차이'는 본질적인 두 개 이상의 대상간의 '우열' 혹은 '서열'의 세계관에 반해 '차연'은 시공에 대한 '다름'으로 전도시킨다.

아메리카 주변의 어느 작은 섬에선 부모가 50세가 되면 자식이 부모를 죽였다고 한다. 그것은 재화가 한정된 작은 섬에서 인구가 높아지면 재화에 대한 분배 문제로 불화가 생기기 때문에 종교를 빌린 인구 안정화 정책이다. (이들은 내세를 믿었으며 내세엔 죽은 형상 그대로 살아간다고 믿었다. 따라서 적당히 건강한 수준의 50세) 우리나라나 일본의 고려장과 매우 유사하지만 서양인들이 이들의 습속을 보았을 때 경악했다고 한다. 지금의 우리도 마찬가지다. - 시간과 공간의 다름에서 오는 관념의 '차이'


개인적으로 나는 많은 부분에 대해 다른 사람과 다른 생각을 갖고 있다. (어떨 땐, 사람들이 너무 일관된 생각을 갖고 있어 내가 변탠가 착각할 때도 있다) 하지만 이 '다름'에 대한 토론은 곧바로 '우열'로 전이된다. 그래서 싸우게 된다. 냉전적 이분법..
'다름'에 대해 '우열'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자신을 '우'에 놓기 위해 싸우게 된다. (주관된 우열의 법칙을 객관화시키기 위한 에러상황이다.)
나는 데리다를 살짝 배웠으므로 싸우고 싶지 않다. 어떤 의사결정 상황이 있을 경우는 어쩔 수 없지만 ... 난 평화주의자다..!

편 가르기 그리고, 회색빛 세상 보기

이게 불만이었다. 이것 아니면 저것을 택하라는 협박, 그렇다/아니다, 참/거짓, 적/아... 이렇듯 조급하게 규정하기를 강요하는 분위기..
이렇게 흑백TV 속에 사는 사람들(그리고 시스템)은 끊임없이 선택을 강요한다. 그리고 이 선택의 이면엔 옳고/그름, 즉 '다름'이 악마처럼 도사리고 있다. (선택과 동시에 바람처럼 나타나서 줄곧 심판한다.) - 난 솔직히 4지선다에 자신이 없다.. ^^;


데리다의 차연에서도 보듯이 사실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흑과 백 사이에 수많은 회색들이 있다. 퍼지이론은 이 사실관계에서 시작한다. 1(true), 0(false)로 모든 연산과 표현으로 처리되는 컴퓨터를 통해 인간의 사고를 모방할 수 없다. 이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인공지능 분야의 이론이 Fuzzy 이다. 퍼지 이론에 따르면 모든 논리는 모호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1과 0 사이에 수많은 0.n을 인정하고, 어떤 규정이란 결국 근사 추론 (approximate reasoning)에 의해 정리된다고 한다. 차연과 맥을 같이 하는 부분이다.

우리의 관념들은 해체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관념의 수단 또한 해체되어야 한다. 해체 작업이 진행되다 보면 언젠간 새로운 지평에서 세상을 바라볼 수 있겠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