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이상에서 지상으로

막연하게 생각하던 것을,
그것도 내가 그걸 '막연하게' 생각하고 있단 것 자체를 모른 채 그리 생각하고 있던 것을,
현실이란 바닥에서 구른 물리적 실체를 대면하고는
다른 각도에서 재고해보게 되는 경우가 있지.

얼마전 본 동물 보호 운동 얘기 중에서도.
개고기 합법화 반대에 대해,
지극히 인간 중심적 사고이며 애견 편향자들의 주장일 뿐이라 생각해왔는데.
왜 개만 특별해야 되느냐 이거지. 소도 닭도 다 잘 먹으면서.
차라리 양성화하는 것이 식용으로 소비되는 개들을 위해서도 낫다고 주변인들과 얘기해왔고.
헌데..
현실1. 합법적으로 식용으로 대량 '생산'되는 동물들의 처지는 현재 '공식적으로' 조낸 비참하다는 것,
현실2. 먹어도 된다고 공인 떨어지는 순간 무슨 종이 됐건 그런 처지로 편입된다는 것,
..이란 얘길 보고는
아, 이건 나는 미처 생각을 안해봤던 지점이었구나, 싶은 기분이 들었어.

물론 원론적으로야 소든 돼지든 개든 다 똑같은 생물이고
어느 종만 특별 대우 받아야 할 이유도 없는거고,
인간이 식물이든 동물이든 남의 생명 희생시켜 존재하고 있는 건 엄연한 사실이고.
하지만 지금 당장, 식용 동물들의 비참한 환경과 처우 때문에 채식 운동까지도 일어나는 마당에,
어떤 종이 됐건 자 먹읍시다, 분위기가 되면
그 비참한 꼬라지로 몰아넣어지는 개체수가 대폭 늘어난다는 건 뭐 어떻게 할 수 없는 사실인 거였다.
자의적일 뿐이고 형평성에도 어긋나는 명분이
다분히 인간 중심적으로 윤색되어있다는 건 '이론'의 문제지만,
엿같은 환경에서 생산되어 몇 개월 살다 죽을 팔자의 생명체가 증가한다는 건

100% 야기될 '현실'이란 얘기다.
뭐 윤리란 것의 근본이 어디까지 소급되느냐에는 여러 이견이 있을 수 있겠지만,
확실히 유쾌상쾌한 일은 아니잖아.


그리고 유기견, 유기묘, 심지어 유기인.

고양이와 정말로 살아보기 전까진, 길고양이를 본 날은 기분이 좋았다.
고양이를 좋아하니까.
좋아하는 고양이가 눈 앞에 보이니까, 기분이 좋았지.
하지만 고양이와 정말로 살아보고, 걔를 걱정해보고, 먹여보고, 똥을 치워보고,
살아있구나, 매 순간순간 느껴보고.
그러고 나니깐.
길고양이를 본 날은 이젠 가슴이 아파. 속상하고 막막해.
책임져 줄 수 없단 것도, 어쩔 수 없다는 것까지도.
애묘인들 커뮤니티같은 데 가면, 구조활동 해 보고 분양시켜 보고 한 분들, 되게 까칠해.
고양이 예뻐염 하면서 처음 룰루랄라 들어간 사람들은 그 양반들 말에 막 놀라고 상처입어.
근데 그분들 그러는 게, 이해가 가.

당하고 데이다보니 날이 선 거야.
얼마나 세상이 고양이들에게 무책임하고 (특히 한국같은 경우)적대적인지,
나도 아끼는 고양이가 실체로 자리잡기 전까진 제대로 실감하지 못했던 거야.

근데 그러고 나니깐,
분리되어 있던 내 방 안의 삶과, 길바닥의 삶이,
분리된 다른 차원이 아니게 되고 나니깐.
그게 그냥 길고양이로 끝나지도 않게 되는 거야.
길에서 태어난 새끼 고양이.
쟤들은 삶을 부지할까. 겨울을 버틸까.
버려져 떠도는 개.
저것들의 안전은 대체 어떻게 지켜질까.
꾀죄죄한 노인네가 냇가에 서 있다.
그 옆에 자리한 조그만 스티로폼 그릇에 김치, 나무젓가락, 소주 한 병.
먼지 낀 비닐봉다리 속 라디오에서 지직지직 들려나오는 음악.
저 양반은 어떻게 사는걸까. 저게 끼닌가.
대체 이들을 어쩌면 좋아. 뭐야 이게 대체.
생명이란 게 대체 뭐야.

내 생애 최초로 느꼈던 무력감도 다시 기억해내게 되었어.
그것도 길고양이 때문이었지.
고교 시절 친구들이랑 하교길에 주웠던 탯줄도 안 떨어진 새끼고양이.
그날밤을 결국 못 넘기고 죽었던.
서넛의 친구들과 그 녀석을 들고 동물 병원을 찾아 온 동네를 헤매면서,
내가 힘없는 어린애라는 것을,
세계의 시스템은 이런 여고생들과 이런 새끼 고양이따위와는 아무런 상관도 없이 돌아가고 있다는 것을,
족고 사는 것이 그저 그러할 뿐인 자연법칙이라는 것을,
무섭도록 뼈저리게 깨달았다.
세상이 어쩜 그리도 크고, 내가 어쩜 그리도 작게 느껴질 수가 없었어.
단지 고양이가 불쌍해서가 아니라, 그 거대한 무력감이 분하고 슬퍼서 펑펑 울었지.


세부적 디테일보다, 원칙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야.
근데, 그 원칙이 저 하늘에서 뚝 떨어지는 것은 아니어야 한다는 거지.
탁상 위에서만 통하는 것이어도 안되고.
그걸 나도 자주 잊는거야.
경험하고 느껴봐야만 비로소 정말로 알게돼.
그 전까진 안다고 생각해도 아는 게 아니야.
그리고 실제로 겪기 전까진, 그걸 절대 깨닫지 못해. 어쩔 수 없는 비극이지.
지켜야 하는 것과 막연히 생각하는 건 다른 문제지만, 너무나 자주 혼동되는 문제야.
더군다나, '정말로' 알게 되면 될수록,
시원해지는 게 아니라 오히려 갑갑해진다는 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쉽사리 못 벗어나는 이유인지 몰라.
막연하게 붕 떠 있던 무력감이
거대한 실체로 고스란히 내려앉을테니.

 

 

...뉴욕에서 여전히 잘 지내고 있을, 보고싶은 범이.

 

트위터로 리트윗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