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체의 대표값을 정하기 위해 평균값을 선택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 최빈값, 중간값, 평균값을 구분해야 한다. 대칭적 분포에서는 세 값이 일치하지만 기울어진 곡선에서는 그렇지 않다. 또한 당연히 최대값은 개체를 대표할 수 없다.

 

개체의 분포에서 오른쪽 꼬리를 분리시켜 특정한 속성으로 규정해서는 안된다.

- 오른쪽 꼬리는 전체 분포 속에서 읽혀야 하고 그 속성은 전체에서 분리되어 따로 만들어진 것이 아닌, 연속선상에 있는 것이다. 저자는 전체 분포를 함께 살펴야 한다는 뜻에서 이 세계를 '풀하우스'라고 이름짓고 있다. 따라서 '진보'는 기존에 있던 개체에서 분리되는 과정이 아니라 전체 개체의 분포가 함께 변하는 것을 의미한다.

 

진화는 진보와 동의어가 아니다.

- '아무리 생각해 보아도 진보를 향한 내재적인 경향 같은 것은 없다고 결론 내릴 수 밖에 없다네.'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물 개체의 평균 복잡성은 전체적으로 증가하지 않았고, 오히려 분포가 왼쪽 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넓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왼쪽 벽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빼먹으면 오른쪽으로의 분포 확장이 어떤 경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최소복잡성의 왼쪽 벽 바로 옆에서 박테리아 형태로 시작된 생명은 지금도 같은 위치에 남아있다. 무작위적인 운동의 결과인 오른쪽 꼬리는 전체 개체를 추동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오히려 운동의 효과(굴드는 결과와 효과를 구분한다)이다.

그래서 굴드가 요약한 걸 옮기면,

1. 생명은 왼쪽 벽에서 시작할 수 밖에 없었다.

2. 초기 박테리아 형태의 장기적인 안정성

3. 생명이 성공적으로 팽창해 감에 따라 분포 곡선은 계속해서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갈 수 밖에 없다.

4. 분포 전체의 꼬리에 불과한 최대값으로 분포 전체의 성질을 규정하려는 것은 근시안적인 경향이다.

5. 원인은 벽과 변이의 확장이다.

6. 한 시스템에 진보를 슬그머니 끌어들이는 방법도 논리적으로는 가능하지만, 경험상 거짓일 가능성이 크다.

7. 오른쪽 꼬리에만 주목하는 편협한 시도를 결해한다고 해도, 전반적인 진보에 대한 절망을 제거했으면 하는 심리적 욕망은 충족되지 않는다. 원하는 결론, 즉 인간처럼 의식을 가진 생물이 지배하게 되는 것은 필연적인 진화의 결과라는 결온을 이끌어내지 못한다.

 

문화에서의 진화와 다윈적 진화는 서로 다르다.

- 문화는 어떤 방향성을 축적할 수 있지만 자연은 그렇지 않다. 문화에는 계통의 융합과 라마르크적 유전이 작용한다. 문화의 진화와 다윈의 진화를 서로 섞어 쓰는 것은 올바르지 않은 인식을 심는다.

 

변이와 다양성을 그 자체로 존중하라.

 

정해진 중력의 법칠을 따라 이 행성이 끝없이 회전하는 동안, 아주 단순한 시작으로부터 너무나 아름답고 너무나 경이로운 무한한 생물종들이 진화해 왔고, 진화하고 있고, 진화해 갈 것이다.

이러한 생명관에는 장엄함이 깃들어 있다.

 

 

 

//

옮긴이의 글에서

- 부분으로 전체를 규정하려는 시도에 대한 경계(하이젠베르크의 '분과 전체')

- 단속평형론

- 도킨스와 굴드의 논쟁 : 삼각소간spandl은 원형 돔을 설계할 때 아치가 만나는 부분에 생긴 삼각형 공간을 말하는데 보통 장식적인 구조물로 꾸며 메워진다. 따라서 삼각소간은 건축상의 부차적 산물이다. 현재 장식적 용도로 훌륭하게 쓰이고 있으나 처음부터 그런 용도로 생긴 것은 아니다. 굴드의 생각에 따르면 생물의 뇌도 삼각소간에 해당한다.

 

 

 

//

진화를 진보로 동일시하고, 인간을 진화의 목적지로 상정하는 태도는 사실 얼마나 같잖은가? 총개체수로 보나, 총량으로 보나, 역사로 보나, 영향으로 보나 인간은 박테리아보다 우위에 있지 않다. 굴드는 이런 목적론에 대항해 싸우는 것을 관념론과 투쟁하는 유물론자의 임무라고 생각하는 듯 하다. 알튀세르가 떠오른다. ㅋ 이 책과 함께 존 벨라미 포스터 등이 쓴 다윈주의와 지적설계론 논쟁을 읽고 있는데, 포스터는 결정론에 굴복하기 보다는 신의 간섭을 택하겠다고 까지 말한다. ㅎㅎ 목적도 기원도 없는 역사.

 

다윈 200주년이라는데, 진화론에 관심이 생겨 이런저런 책들을 들춰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