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코뮤니스트 18호] 서평 : 「저항의 축제, 해방의 불꽃, 시위」를 읽고

서평 저항의 축제해방의 불꽃시위를 읽고

 

 

저항의 축제해방의 불꽃시위는 역사학 연구소와 함께하는 역사서당에서 2017년 5월부터 7월까지 진행된 강좌 중에서 국내적으로는 농민항쟁에서 촛불 집회까지국제적으로는 파리코뮌에서 68혁명까지 송찬섭 씨를 비롯한 9명의 필자가 저술한 책이다.

 

국내에 대한 시위문화에 대해서는 1862년 농민항쟁과 시위문화에 대해서는 송찬섭 씨가동학 농민군의 저항문화는 김양식 씨가, 3·1운동들불처럼 번진 만세 소리는 김정인 씨가, 4월 혁명과 6·3항쟁의 학생 시위문화에 대해서는 오제연 씨가도시의 새로움정치의 새로움: 2008년 촛불 집회에 대해서는 남영호 씨가 저술했다.

 

또한외국의 시위문화에 대해서는 파리코뮌과 공동체적 인간의 자유는 김종원 씨가혁명의 거리광장의 정치시위문화로 보는 러시아혁명에 대해서는 황동하 씨가이미지의 투쟁스페인 내전기 공화 진영의 혁명과 선전 포스터는 이원근 씨가, 68혁명과 시위문화저항으로서의 축제축제로서의 저항은 정대성 씨가 저술했다.

 

시위를 읽으면서 아쉬웠던 점은 다음과 같다.

 

1. 계급적 관점에서 저술되지 않았다처음 시위를 읽기 전에는 광장정치에 관해 쓴 책인 줄 알았다그러나 파리코뮌과 공동체적 인간의 자유를 제외한 대부분 글이 광장의 정치와는 거리가 멀다는 생각이 들었다광장의 정치는 계급 관점에서 저술하여야 하는데대부분 글이 계급적 관점보다는 민족적자유주의적 관점에서 저술되었기 때문이다.

 

2. 시위가 해방의 불꽃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무장 항쟁이 다루어져야 하는데국내적으로는 3.1운동 이후의 무장 항쟁이나 광주 민중항쟁, 87년 7·8·9 노동자 대투쟁 등을 다루지 않은 점이 아쉬웠다.

 

3. 성공 직전까지 갔지만, 1991년 붕괴한 러시아혁명그리고 이데올로기선전전세계 각지에서 몰려든 지원병들로 조직된 국제여단 등 모든 면에서 공화파가 우세했음에도 패배로 끝난 스페인 내전기세계 각지에서 일어났던 68혁명 등이 왜 실패로 끝났는지에 대해 밝히지 않은 것도 아쉬웠다.

 

재욱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