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노조 무력화’ 악명 높은 ‘창조컨설팅’ 개입 의혹

 

  ‘노조 무력화’ 악명 높은 ‘창조컨설팅’ 개입 의혹

 

 
» 24일 오후 경찰이 투입된 유성기업의 경영 컨설팅을 맡고 있는 노무법인 ‘창조컨설팅’의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 사무실 들머리 모습. 김봉규 기자 bong9@hani.co.kr
 

 

지난 23일 공개된 현대자동차 부품 납품업체 유성기업의 ‘쟁의행위 대응요령’(2011년 5월11일 작성) 문건에는 노무법인 ‘창조컨설팅’과 ‘경주 발레오전장’이 언급돼 눈길을 끌고 있다. 노동현장에서는 “창조컨설팅이 노사관계에 개입하면 노조가 무너진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지난해 민주노총 산하 금속노조 핵심 사업장이었던 경주 발레오전장과 2006~2007년 민주노총 보건의료노조 사업장인 대구 영남대의료원도 창조컨설팅이 개입하면서 노조가 사실상 무력화됐다. 주간 2교대제 도입을 둘러싼 노사 갈등 끝에 24일 경찰 병력이 투입된 유성기업 노조도 위기를 맞고 있다.

 

창조컨설팅의 대표는 심종두 노무사다. 심 노무사는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에서 노사대책팀장 등으로 13년 동안 근무했다. 그 뒤 노무사로 활동하며 금속노조의 대화 상대인 금속사용자협의회(2004년)와 병원사용자협의회 교섭 대표(2005~2006년)를 맡는 등 노사관계 전문가로 꼽힌다.

 

창조컨설팅은 지난해 현대차 납품업체인 발레오전장 사쪽의 자문을 맡았다. 발레오전장 노사는 그동안 일부 마찰은 있었지만 대체로 원만한 노사관계를 유지해왔다. 하지만 2009년 대표이사가 바뀌면서 분위기가 달라졌다. 지난해 2월 초 회사가 일방적으로 경비업무를 외주 용역화하자 노조는 부분 태업을 했고, 사쪽은 같은 달 16일 전격적으로 직장 폐쇄를 하고 용역경비를 배치해 노조의 출입을 막았다. 이 과정에서 15명이 해고됐고, 30억원의 손해배상이 청구됐다. ‘노조 집단행동→회사 직장 폐쇄 및 용역경비 배쾀대량 징계와 손해배상 청구’의 과정을 거쳐 노조가 사실상 무력화된 것이다. 당시 집행부를 맡았던 노조 관계자는 “창조컨설팅이 개입하면서 회사 쪽이 거세게 노조를 몰아붙였다”며 “노조가 대화를 요구하고 업무 복귀를 선언했는데도 노조 탄압이 계속됐다”고 말했다. 결국 발레오전장에는 또다른 노조가 만들어져 금속노조를 탈퇴했고 2년 연속 임금교섭권을 회사에 위임한 상태다.

 

심 노무사가 2006년 자문 계약을 맺은 영남대의료원에서도 파업을 거치면서 노조가 급속하게 위축됐다. 영남대의료원 노조는 일방적인 조직개편 등에 반대하며 부분파업과 농성을 벌였고, 이 과정에서 노조 간부 11명 고소·고발, 10명 해고, 5억원의 손해배상 청구, 3억원의 조합비 가압류가 이뤄졌다. 보건의료노조 관계자는 “심 노무사가 영남대의료원과 또다른 대학병원 사쪽의 자문을 맡으면서 ‘파업→단체협약 일방해지→징계·손해배상·고소·고발’ 작업이 진행됐다”며 “영남대의료원은 900명이던 조합원이 100명으로 줄었다”고 말했다.

 

유성기업에서도 비슷한 양상이 벌어지고 있다. 노조가 지난 18일 파업에 들어가자마자, 직장폐쇄와 함께 용역경비가 배치됐다. 사쪽이 작성한 ‘쟁의행위 대응요령’ 문건을 보면, 민형사상 책임을 묻겠다는 계획도 밝히고 있다.

이에 대해 심 노무사는 “고객 보호 차원에서 어떤 회사와 자문을 맺고 있는지는 밝힐 수 없다”며 “다만 유성의 경우 열흘 전쯤 몇 가지 조언을 했을 뿐 공식적인 자문 계약을 맺은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사실상 ‘노조 죽이기’에 나서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선 “법과 원칙에서 벗어난 경우는 없었다”며 “노동계가 그렇게 오해하고 있어 유감”이라고 말했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

 

 

 

 

 

그들이 자랑하는 업무실적,  그 실적에는 노동자들의 피눈물이, 죽음이, 분노가.......

 

 

 

   

• 한국방송광고공사, 예금보험공사, M사, 무림페이퍼 등 노사관계
로드맵 수립 컨설팅
•(주)OOO, OOOOO대학교, OOO의료원, OO병원, OOO골프장, OO축협, D사, V사, N사, P사, S사 등 노사관계 안정 컨설팅
• KT, OO은행, OOO의료원, 한국공항, 한일시멘트 등 비정규직 운영방안 컨설팅
• 성남 인하병원, OOOOO공업, 깁스코리아, 동방산업 등 고용조정 컨설팅
• OOOOOO공사, OO의료원, OO공업, OOOOOO병원 등 단체교섭 지원 컨설팅
• 이랜드그룹, 서울문화사 등 인사노무관리 진단 컨설팅
• OO 도급분야 운영진단 및 협력사 지원 컨설팅
• OO 부문별 하도급 운영방안 컨설팅

 

 
    • 2004년 금속노사 중앙교섭 사측 101개사 위임 수행 및 타결
• 2005년 12개 사립대병원 산별교섭 위임 수행
• 2006년 118개 보건의료병원 산별교섭 지원
• 2008년 104개 보건의료병원 산별교섭 지원
• 2009년 101개 보건의료병원 산별교섭 지원
 
    풀무원, 이랜드, 대한항공, CAPS, KT계약직, 서울레이크사이드, 스포츠조선, 매일경제TV, 기독교방송(CBS), 스위스그랜드호텔, 광명성애병원, 신한 등 100여개 사
 
   

KT, KBS, 서울메트로, 현대중공업, 하나은행, 신한은행, 연세대의료원, 대한항공, 삼성테스코, 코오롱, 이랜드, GS건설, 현대카드, GS칼텍스, 풀무원, 한국자산관리공사, 대림자동차, 서울대치과병원, 흥국생명, 그랜드하얏트서울, 코카콜라음료, 매일경제TV, 한국외국어대학교 등 700여 사건

 

 

(창조 컨설팅)   http://www.cjmc.co.kr/about/result.html

 

 

 

 

이제 우리에게는 너희들과의   '교섭, 타결' 이런  자본가 용어, 자본의 규칙이  아닌,  '투쟁, 쟁취'   '단결, 계급투쟁, 혁명' 이라는 노동자계급의 직접행동으로 응징하는 수밖에 다른길은 없다.

 

일단 현자 깡패자본과 그 주구들은 이거 한방 먹고,  다음을 기다려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What’s Wrong with the SPGB?

What’s Wrong with the SPGB?

 

http://www.leftcom.org/files/images/2011-04-17-using-parliament.preview.jpg

Review article of “What’s Wrong with using Parliament?” by The Socialist Party [of Great Britain], 24pp July 2010, £1.00.

 

 

In the light of the referendum on a change in the voting system (see “The alternative vote referendum…” ) we thought we would take another look at the only genuinely socialist organisation which attempts to sell us the parliamentary road to socialism. Over the years we have debated the issue of how we will get to a socialist society several times with the SPGB (1) in both meetings and our press. Indeed several people have contacted us after listening to a tape our 1994 debate which you can still buy from the Socialist Party. Last year they brought out a new short pamphlet, What’s Wrong with Using Parliament?, to restate their belief that socialism can only come about via parliament. It is that which we are reviewing here.

 

The reasons for debating with them, and not other parties claiming the title “socialist” is not simply because they have a culture of debate (propaganda and education are their main activities) but because they share with us a real understanding of what socialism is. Unlike the Stalinists, Maoists and Trotskyists they do not believe that some form of state ownership of the means of production is socialism, or even a step towards it. Like them we are “an organisation of equals. There is no leader and there are no followers”. (Introducing the Socialist Party at the beginning of the pamphlet). But differences over how socialism can be achieved have dug a chasm between themselves and revolutionaries. This pamphlet only underlines that distinction.

 

The pamphlet is neatly laid out and lucidly written. Bizarrely it has a contructivist design (more usually associated with the October Revolution which they reject!) on the cover (with a red wedge flying into Big Ben). The contradiction on the cover however is trivial compared with the contradictions inside. The pamphlet claims to be aimed at “Anti-parliamentarians and Anarchists” but only Anarchists are quoted. This is no accident since the SPGB claims Marxist orthodoxy for its views on parliamentarism and to deal with Marxist critiques would be more difficult. It also frees the SPGB from dealing with the really big issue of working class consciousness (a word which does not appear anywhere in the pamphlet). The pamphlet is a tale of two halves with the first being the SPGB’s defence of using parliament and the second dealing with five arguments against using parliament taken from Anarchist publications in the second. Here we can only deal with some of these

 

 

Instrumentalist Arguments

They set out the premises of the debate accurately enough

what distinguishes us amongst those who want a classless, stateless, wageless, moneyless society based on common ownership and democratic control of the means of life, is our view that parliament can and should be used in the course of establishing such a socialist society. (p.5)

 

But this quickly leads us to the first contradiction. Although they recognise that parliament is a capitalist institution, that voting atomises ands reduces to passivity the mass of the population who only get to put a cross on a piece of paper every 5 years or so, they still argue that

what better way is there to challenge that “democracy and freedom” than by using the accepted legitimate channels and thereby be able to call [liberal democracy’s] bluff.

 

But who is bluffing? The capitalists, who have instituted a political system that not only does not challenge their rule but is the ideal framework for it, or the SPGB who would legitimise working class impotence by supporting it? The increasingly derisory electoral performance of the SPGB over the last 107 years might be taken as sufficient proof of the point that there is no route to socialism via bourgeois institutions but it is a lesson that the SPGB refuses to learn. Instead the pamphlet is full of straw man type arguments which they dig out (and not always fairly) from the anarchist texts they criticise. One of these is to criticise this argument

Socialism cannot come through the Parliament. If we look at a country like Chile we can see why. In 1973 the people elected a moderate socialist government led by President Allende. This democratically-elected government was toppled by a CIA backed military coup. Repression followed in which the workers movement was smashed and thousands of militants lost their lives.

“What is Anarchism?”, www.struggle.ws/pdfs/whatis.pdf

 

The essential part of the SPGB reply is that this is because Allende was not a real socialist and did not have “enough” popular support. But in this argument Allende’s “authenticity” is not the point. The bourgeoisie do not distinguish between real socialists and state capitalists. All they see is a threat to their property and in Chile there was a mass movement seeking to redress the balance for the working class (however deluded we all agree they were). The fact is, as we noted a long time ago, the SPGB are more devoted to parliament than the “democratic” bourgeoisie! The capitalist class will not shrink from switching to a Mussolini or a Pinochet once they see that the rules of the democratic game do not deliver the desired results. The problem is exactly the opposite one. Most Chilean workers believed, like the SPGB, that the elections had guaranteed their legitimate right to rule when in fact it did not touch the essential organs of the state. This error is underlined earlier in the pamphlet when the SPGB write

Gaining control of the state will at the same time give control of this social organ which can be used to co-ordinate the changeover from capitalism to socialism. Of course, it couldn’t be used in the form inherited from capitalism.

 

Like so many caveats the last line is meaningless if you do not actually say that the first thing the workers will have to do in the course of their revolution will be to smash/dismantle the capitalist state and its organs of repression. This argument is an old one as the founding Declaration of Principles of the SPGB (printed a the back of the pamphlet) also argue that all they will have to do is have the state, the machinery of oppression “converted” and it will guarantee workers’ emancipation. For the SPGB winning a majority in parliament is the same as gaining control of the state (p.7) but how different do they think the scenario will be to that in Chile? Allende lasted 3 years because he was slow to move against the old state apparatus. If he had acted faster his government would have not have lasted as long. The point is that the state has to be destroyed in the course of the majority taking over, not via a parliamentary majority after a leisurely debate. Waiting to gain such majority will only allow those who hold all the reins of power to prepare their various contingency plans.

 

The SPGB are also so desperate to assert the importance of parliament that they attempt to deny that bourgeois state power lies elsewhere. When Class War argue that the real power of the state lies in the organs of repression, the permanent bureaucracy etc they are accused of “conspiracy theory” which then can be called “absurd”. But the spontaneous bowing of parliament to the needs of capitalism is plain for all to see and the SPGB accept this on p. 17. You don’t need a conspiracy theory to see that vested interests via lobbying, and think tanks set the agendas and define the limits of policy (one reason why any attempt to reform anything under capitalism sinks in the mire of its own contradictions). Political donations, control of the media, appointments of MPs and ex-Ministers to company boards etc are all part of the way in which capitalism ensures that capital dominates the political agenda. For the SPGB this is irrelevant since for them parliament is the main state organ and thus when they get a majority all these extra-parliamentary organs (including the armed forces and the police) will be so stunned by socialist argument and parliamentary legitimacy that they will be neutered.

 

There are other ways in which the SPGB don’t seem to take on the reality of what they are proposing. If they are for pure socialism (and we believe they are) what are their non-reformist minority MPs going to do whilst awaiting the time when they have 300 plus members in parliament (currently they have none and never have had one) to vote capitalism down? The people who elected them will expect some results in the course of a parliament, unless of course they no longer count on parliament, but then that begs the question as to why did they vote at all. Our new SPGB MPs will arrive in parliament to take the loyal oath to Her Majesty the Queen, and then what? The only concrete activity that the SPGB put forward is that they can use Parliament as a tribune to denounce the system. And after 5 years of doing that they expect to win a majority the next time round? They criticise the anarchists for putting forward “unrealistic alternatives” but nothing seems further from reality than the SPGB’s cosy view of the capitalist political system. The Anarchist Federation, for example, are castigated for envisaging the possibility that the capitalist class will actually put up a fight to defend its property (p.20)! It is clear that what the SPGB stands for is social pacifism and what they stand against is genuine class action. Capitalism will be safe for ever with these comrades.

 

In fact, what characterises genuine class action is beyond the SPGB. On p.19 they quote the Anarchist leaflet “What is Anarchism?”.

The authors of the ‘What is Anarchism?’ web-page leaflet mentioned above, which claims that “socialism cannot come through parliament”, agree with us that the revolution against capitalism must be a majority, participatory revolution. Central to our politics is the belief that ordinary people must make the revolution. Every member of the working class (workers, unemployed, housewives, etc.) has a role to play.
The trouble is they don’t seem to have thought through the implications of this. If on the eve of the revolution a majority of the population are in favour of it and are organised to participate in it, why should they not demonstrate this by putting up their own candidates to oppose and beat those who do support the continuation of the capitalist system? Naturally, these candidates would stand as mandated delegates not as unaccountable representatives. Being the majority, this would be reflected in a majority of seats in parliament. And if some pro-capitalists in the boardrooms, the armed forces or the police attempted a coup, what, as already pointed out, could they do against a participating majority committed to establishing socialism?
Once there is an organised, determined majority the success of the socialist revolution is assured, one way or the other. It is then a question of the best tactic to pursue to try to ensure that this takes place as rapidly and as smoothly as possible. In our view, the best way to proceed is to start by obtaining a democratic mandate via the ballot box for the changeover to socialism. The tactical advantage of doing this is that, when obtained, it deprives the supporters of capitalism of any legitimacy for the continuation of their rule.

 

This is the Monty Python path to socialism. The Anarchists talk of “revolution” as a single process (in our view, an error) but at least they see it as starting a process. The SPGB cannot conceive of a “revolution” until 50% plus 1 of the population is ready. For them “revolution” is a quiet vote, a polite discussion in parliament and the change in ownership of the means of production by legislative enactment? A splendid “tactic” which does not even actively involve most of the working class!

 

But here we are entering a Lewis Carroll world where “words mean what we say they mean”. Revolutions are certainly about more than change in government. They are fundamental shifts in class relationships and they either change the basic way we produce things or they fail. They are also messy unpredictable things but you would not think so reading this pamphlet.

 

In fact the pamphlet is entirely devoid of any reference to real struggles of real workers. It is a utopian plea to participate in the arena where the ruling class is strongest in order to defeat it. However the SPGB are absolutely certain that only they hold the key to the future of the working class. Anyone who advocates anything different is “unrealistic”.

 

The pamphlet arrives at this happy conclusion only by leaving out any discussion of how a real revolution can take place. The SPGB has long been an opponent of real class struggle which it equates with violence. In its founding Principles it states:

It is dangerous and futile to follow those who support violence by workers against the armed force of the state. Violent revolution has sometimes meant different faces in the capitalist class, always meant dead workers, and never meant the liberation of the working class. Unless workers organize consciously and politically and take control over the state machinery, including its armed forces, the state will be ensured a bloody victory.
Political democracy is the greatest tool (next to its labour-power) that the working class has at its disposal. When the majority of workers support socialism, so-called “revolutionary” war will not be required. The real revolution is for workers to stop following leaders, to start understanding why society functions as it does and to start thinking for themselves.

 

Between voting and violence there is nothing for the SPGB. In reality the very nature of capitalism is constantly throwing up class conflict even at times of relative class peace.

 

They see workers coming to understand the need for socialism only by “thinking for themselves” as individuals. This is the same appeal the capitalist makes in trying to stop workers take class action. In reality workers always “think for themselves” but they think different things at different times. When capitalism guarantees them a reasonable livelihood they accept it, and its media claims, to be the best of all possible worlds. However when the system begins to fail and enters into one of its periodic crises workers begin to “think for themselves” but not necessarily individually since their common experience begins to teach them more than all the lectures of the SPGB (or anyone else). This does not mean the end of the system but it does lead to collective resistance on an initially economic level. There is no mechanical link between the economic and political struggle (on this we can agree) but the struggles themselves have the potential to plant the germs of conscious opposition to capitalism. In some cases this consciousness takes political direction and this leads to the formation of class political organisations who make it their task to articulate the lessons of past historical achievements of the class. In doing so they help to define the communist programme.

 

At first is only a minority who tend to coalesce around a political party of the subordinate class. This minority is doomed for long periods to seem isolated and out of touch but the very contradictions of capitalism at certain point create wider class movements in which this minority works for revolution. Massive these movements might be but they still remain a minority of society. It will be a large minority (as in Egypt or Tunisia recently) which will launch the assault on the state. What transforms this minority into something more is the revolutionary act itself:

Both for the production on a mass scale of this communist consciousness, and … the alteration of men on a mass scale is, necessary, … a revolution; this revolution is necessary, therefore, not only because the ruling class cannot be overthrown in any other way, but also because the class overthrowing it can only in a revolution succeed in ridding itself of all the muck of ages and become fitted to found society anew.

 

History suggests that this does not come piecemeal but rapidly. Even those who have been expecting it will be overwhelmed by its force. In the course of it the movement may be peaceful (the bigger and more widespread the more peaceful it is likely to be) but even an overwhelming movement such as in Cairo may have to be extraordinarily courageous in the face of last ditch fight to the death by capitalists defending their property. The collapse of the forces of the state under this mass pressure is the best scenario for the collapse of capitalist order in any one area.

 

This is, of course, only the beginning of the story. The overthrow of capitalism and the establishment of socialism are not necessarily one and the same thing. People will be anti-capitalist before they understand fully what it means. This will be done via combination of propaganda/education and experience. The very process of revolution will lead people to practically solve the problems of how to organise by setting up assemblies, local committees and even workers’ councils based on recallable delegates. In the process people’s perceptions will also change. They will be ready to abandon the former mores of capitalism with its greed and selfishness. They will be more ready to listen to those who defend real socialism. Not all at once, but as the research into the behaviour of the mass movements in the French and Russian Revolutions have shown people began to behave differently in the process of mass action. Marx put this graphically in The German Ideology

… revolution is necessary, therefore, not only because the ruling class cannot be overthrown in any other way, but also because the class overthrowing it can only in a revolution succeed in ridding itself of all the muck of ages and become fitted to found society anew.

 

In contrast to the passive role of the voter under capitalism people will become, to use the words of the Anarchist Federation (quoted in the pamphlet), “energised”. It is only at this point when the old ruling class is on its knees that the implementation of a real socialist programme by the immense majority will be possible (provided that active within this movement are those campaigning for it).

Marx summed this up in the Theses on Feuerbach

The coincidence of the changing of circumstances and of human activity or self-change can be conceived and rationally understood only as revolutionary practice.

 

We do not know how this revolution will develop, or where it will take us, but we do know it will go beyond the mind-numbing passivity of voting for a capitalist parliament. Perhaps even the “changing of circumstance” will affect the SPGB and they will join the rest of us who also

want a classless, stateless, wageless, moneyless society based on common ownership and democratic control of the means of life.

 

Jock
 
 

(1) Although it has since shortened its name to the Socialist Party, the Socialist Party of Great Britain still retains the full title in some circumstances so we will call it the SPGB here. It is not to be confused with its SPGB’s splitters, the Socialist Party of Great Britain which produces Socialist Studies [for our debate with them see “The Fairy Story of the Parliamentary Road to Communism” in Revolutionary Perspectives 39] nor the Socialist Party of the former Militant Tendency after it was expelled from the Labour Party.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자본주의 쇠퇴 규정 폐기의 의미

  • 분류
    계급투쟁
  • 등록일
    2011/05/19 11:49
  • 수정일
    2011/05/19 12:47
  • 글쓴이
    자유로운 영혼
  • 응답 RSS

<자본주의 쇠퇴 규정 폐기의 의미>

 

 

1. 자본주의 쇠퇴 규정과 이행요구

 

우리가 자본주의 쇠퇴를 규정하는 문제는 단순히 좌익공산주의 혹은 트로츠키주의의 특정 경향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다.  “인류에게 더 이상 발전적. 진보적 생산양식이기를 멈춘  쇠퇴하는 자본주의, 인류에게 재앙과 파멸을 안겨다줄 썩어가는 자본주의, 즉 노동자계급에게 전쟁이냐 파멸이냐 혁명이냐를 선택해야 하는 역사적 시대 규정으로서의 자본주의”를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본주의 쇠퇴 규정의 실천적 의미는 사회주의 혁명의 물질적 토대와 불가피성을 나타내줄 뿐 아니라, 노동자계급이 국가권력을 장악하고 사회주의 혁명을 직접적으로 실현해야 하는 '이행요구'를 강령으로 내거는 전제조건이기도 하다. 자본주의 쇠퇴 규정만이 혁명의 단계론적 사고와 최대강령/최소강령의 분리를 허용치 않는다. 한마디로 자본주의 쇠퇴 규정은 사회주의 혁명의 필연성과 시급성, 그리고 강령에서 혁명적 실천 강령인 ‘이행요구’로 표현되어진다.

 

그런데 현재 사노위에 제출된 강령초안 중에는 자본주의 쇠퇴 규정을 아예 부정하거나 누락시킨 강령들(3인안, 제4인터안)과, 비록 단일한 근거로 쇠퇴기 자본주의를 분석하고 있지는 않지만 강령의 기초를 자본주의 쇠퇴와 프롤레타리아 독재, 그리고 그것에 근거한 이행요구를 내거는 강령(5인안)으로 제출되어 있는데, 이것은 인위적으로 통일될 수 없는 근본적인 사상적인 차이를 포함한다.

 

아직 5인안 강령은 완성되지 않았고 현재에도 앞으로도 꾸준히 검증받으며 건설되어야 할 진행형이기 때문에, 비록 ‘자본주의 쇠퇴의 근거’가 아래 제시한 4가지 경향이 혼재되어 있을지라도 그것을 이유로 혁명 강령의 기초가 되는 원칙마저 훼손될 수 는 없다. 그 근거야말로 당 추진위 단계에서 심화된 강령토론을 통해 보다 구체화되고 엄밀해져야할 과제일 뿐이지, 폐기해야 할 대상이 아니다. 오히려 자본주의 쇠퇴 규정을 폐기하라고 요구하는 것이야말로 무기로서의 강령의 근본체계를 흔들어 결과적으로 '혁명이론 없는 혁명전략'을 가공하여 '원칙 없는 실천‘을 강제하는 개량주의적 발상이다. 또한 쇠퇴규정의 폐기를 주장하는 이들 중 일부는 자신들의 가장 강력한 강령적 무기인 이행요구의 물질적 토대마저 제거하게 되어, 이행요구를 최소강령 수준으로 추락시킨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

 

 

2. 자본주의 쇠퇴 규정의 근거

 

1) 맑스, 엥겔스의 역사적 유물론적 쇠퇴규정 : 사멸해가는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상승기와 쇠퇴기 규정

 

2) 레닌, 트로츠키(볼셰비끼, 스파르타쿠스 그룹 등)의 쇠퇴기 규정 : 제국주의 시대, 전쟁과 혁명의 시대인 자본주의 쇠퇴 규정

 

3) 로자 룩셈부르크의 쇠퇴기 진입 규정 : 이윤율 저하 경향을 상쇄할 수 있는 외부시장 소진 문제(잉여가치 실현문제)에 착목한  쇠퇴기 진입규정

 

4) 폴 매틱 등의 이윤율저하 경향에 따른 자본주의 쇠퇴 규정과, 이윤율 하락 경향과 시장 포화론의 상호작용과 종합적 판단에 근거한 쇠퇴 규정

 

 

3. 3인안과 정원현 동지의 왜곡 

 

1) 3인안에서 제기하는 ‘외부시장 소멸론의 비과학성’ 문제는 자본주의 쇠퇴 규정의 악의적 왜곡이다. 우리는 외부시장 소진(시장포화)만이 자본주의 위기의 근본원인이라 주장한 것이 아니라, “과잉생산, 공황, 이윤율 저하경향” 등의 자본주의 근본적 위기가 외부시장이 소진됨으로써 더욱 촉진되고 전면화 되었다는 입장이다. 5인안은 위(2번 항목)에 언급한 4가지 근거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자본주의 쇠퇴를 규정하고 있는 것이지, 시장포화라는 한 가지 근거만을 절대화시키지 않았다. 다만 근거들의 연관성은 추후의 과제로 미루어 놓았을 뿐이다.

 

자본주의 쇠퇴 경향을 ‘외부시장 소진’으로만 설명하고 있지 않다는 것은, 아래 1914년 이후 자본주의(5인안 해설서)를 주목해보라.

 

“1914년 이후 ("쇠퇴시기" "제국주의의 쇠퇴 시기" "자본의 실질적 통치" 라 불리기도 하는)의 특징은, 이전 시기와는 대조적으로, 자본이 팽창하고 사회적 재생산이 수축한다는 점이다. 전후 붐(1945-1970)과 같은 회복은 그러한 재구성을 수반했는데, 이 재구성을 가능케 한 것은 초기 대량 파괴(두 번의 세계대전, 불황의 10년, 파시즘 그리고 스탈린주의), 세계체계의 재편성(영구 프랑스 제국의 종말, 마샬 플랜 하에 이루어진 세계경제 - 구소련  블럭과 중국을 뺀- 의 "달러 블럭"으로의 변환, IMF 와 세계은행, 그리고 이전에 대체된 국가시장에 의해 억제되어왔던 20-30대의 신기술(주로 자동차나 가전제품과 같은 내구성 소비재)에 근거한 새로운 "가치 기준"의 강제 등이다. 이러한 재구성은 1966년 경기후퇴 (일본, 독일, 미국), 1968년 달러 위기와 브레튼 우즈 체계의 재정적 붕괴(1971-73)와 함께 동력을 다 소모해버렸다. 문제들이 풀려나가던 전후로 수십 년간 가장 치열한 계급투쟁이 벌어진 것도 우연이 아니었다.”

 

그리고 3인안의 ‘생산력 정체의 비과학성’ 이라는 규정도 5인안 해설에서 다룬 쇠퇴의 근거를 애써 외면하고 있는 것일 뿐 어떠한 반박의 근거도 없다.

 

한 사회의 쇠퇴의 시기는 생산력 성장의 총체적이고 영원한 정지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이 “성장의 명백한 약화”에 의해 설명된다. 따라서 결정적이고 돌이킬 수 없는 “갈등의 출현”이 낡은 사회의 쇠퇴의 시대를 여는 것이지, 생산력 발전의 정지가 그것을 여는 것이 아니다. 1914년 제국주의 전쟁, 1917년 러시아 혁명은 이러한 결정적이고 돌이킬 수 없는 “갈등의 출현”을 나타내준다“

 

2) 쇠퇴라는 용어 자체와 사회주의 혁명의 필연성을 주장한다는 이유로 이른바 ‘파국론’, ‘자동붕괴론’의 혐의를 두는 것 또한 자본주의 쇠퇴를 부정하기 위한 논리비약에 불과하다. 쇠퇴라는 용어는 ‘노쇠의 시기’,  ‘퇴행하는 사회체제’,  ‘생산력 발전의 족쇄’등으로 표현되듯이, 천천히 진화되는 ‘경제적 토대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지, 짧은 기간 사회적 급변을 나타내는 ‘혁명적 정세’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자본주의 쇠퇴를 부정하는 동지들은 쇠퇴의 규정이 ‘파국론’ 이나 ‘자동붕괴론’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근거 없는 상상을 할 것이 아니라, 야만의 자본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사회주의 혁명이 필요하며, 노동자계급 스스로 혁명을 수행해야 한다는 쇠퇴론의 핵심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노동자계급이 자본주의 생산관계를 파괴하는 임무를 아직 수행하지 않는 한, 자본주의 생산관계는 생명을 유지하면서 인류를 점점 더 지독한 모순들 속으로 몰고 간다는 것을 말한다.”  “자본주의 생산양식이 살아있는 한, 인류는 그 생존을 위협당하면서 이 죽어가는 체제가 부과하는 파국의 증대를 감수해야 하는 운명에 처해있다. 이것은 쇠퇴하는 자본주의 파국 속에서 전쟁이냐? 파멸이냐? 혁명이냐? 의 선택이 오로지 노동자계급에 달려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3) 마지막으로 3인안과 정원현동지 등이 주장하는 “자본주의 쇠퇴 규정이 노조개입, 의회전술 거부로 이어진다.” 는 비약이야 말로 중상모략에 가깝다. 오히려 개량이 불가능해지고 상설적 대중조직의 유지가 어려워진 상황에서 혁명정당의 절대적 필요성과 대중기관에서의 혁명적 실천(현장분회 건설, 강화)이 즉시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근거로 사용되고 있다. 자본주의 쇠퇴를 규정한 강령이야말로 주체들의 역할을 극대화하여 권력 장악을 위한 혁명적 실천을 이행요구에 담을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5인안 강령초안의 문구 중에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쇠퇴하는 자본주의에서 계급투쟁은 노동자계급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들이 있다. 첫째, 노동자계급의 투쟁에 의해 쟁취 되는 지속적인 개선이 더는 불가능하여, 그것의 경제적인 이해관계에 근거한 특별하고 영구적인 조직들을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그것은 여전히 노동조합을 통해 생존권을 방어하고 자본가계급과 투쟁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산업별 혹은 대규모의, 대공장 노동조합들은 그것을 설립했던 당시의 그 기능을 상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

 

즉, 자본주의 쇠퇴기에 총자본의 쇠퇴는 노동자계급에게도 투쟁을 통해 쟁취되는 개량의 한계를 분명히 하여, 투쟁을 중심에 둔 전투적인 계급조직은 상시적이고 항구적으로는 유지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에, 전통적인 노동조합들이 전투성을 잃고 자본에 포섭되던가, 투쟁이 아닌 협상을 통해 그 조직형식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지배적이다. 이것은 여전히 노동조합을 통해서만 노동자계급의 자기방어와 자본과의 투쟁이 가능하고, 미조직 노동자들의 단결을 이끌어낼 수 있지만, 산업별 혹은 대공장 노조 조직들이 출범당시의 본래 기능을 상실했다는 사실 또한 부정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러한 노조주의, 계급협조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혁명당의 강령과 계급투쟁 전술이 필요하다. 이것은 때때로 노동조합 자체를 넘어서야 하기도 하며, 혁명시기에는 그것의 완전한 극복만이 계급의 조직을 혁명기관으로 전환시켜낼 수 있다. (위의 강령문구는 이정도로 누구나 인정하는 사실에 근거한 일반적 서술이다. 여기에는 현재의 노동조합운동에 안주하고 있는 사회주의 활동가들에 대한 경고의 메시지도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이문구 하나를 두고 “노동조합 포기주의”, “노조활동 무용론”이라고 공격을 해온다. 정작 자신들이 전투적 조합주의를 지지하는지 전면적으로 거부하는지, 노동조합 특히 대공장 노조가 아직도 건강하기 때문에 혁신만 하면 된다는 건지, 노조개입 전술이 있기는 한지, 강령적 내용을 갖고 실천을 해온 건지 밝히지도 않은 채...

 

분명히 말한다. 노동조합의 성격이 혁명성을 잃고 자본의 도구가 되어 가고 있으며, 노동자평의회로 향하는 유일한 경로가 아니라는 명백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의 전투적 노동자계급이 여전히 노동조합에 속해있고 그곳을 기반으로 투쟁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이 존재하고 있는 노동조합이라는 공간에 개입하고 함께 투쟁해야 한다는 것과는 충돌되지 않는다. 노조의 한계를 지적하는 것과 그것에 대한 개입을 기권하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이다.

 

다만 전체 노동자계급을 향해야 하는 혁명당에서는 90%이상의 노조밖에 있는 노동자들에 대한 계획과 전망을 강령으로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노동조합 안에서 활동 하는 것조차 전체 노동자계급을 향한 활동이어야 하며, 평조합원들이 노동조합의 한계를 넘어 혁명적으로 나아가고 행동할 수 있도록 '강령적 실천'을 하는 것이어야 한다.

 

이것이 바로 5인안의 강령체계가 사회주의 혁명으로 향하는 수미일관한 체계이며, 가장 실천적인 강령임을 증명하는 사례이다. 

 

마지막으로 혁명정당 건설을 위해 노동자계급에게 혁명 강령을 제출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운동의 확장과 조직 확대를 위해 자신의 무기마저 내려놓고 오로지 다수파에게 손을 내밀어야 하는 척박하고 일천한 당 건설 운동의 환경과 그것조차 넘어서지 못하는 이탈파들의 가련함에 애도를 표한다.     (이형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강령토론회 - 5월10일] 혁명정당 강령 정립을 위한 토론회 - 3차

  • 분류
    계급투쟁
  • 등록일
    2011/05/09 01:21
  • 수정일
    2011/05/09 07:48
  • 글쓴이
    자유로운 영혼
  • 응답 RSS

중국, 북한, 쿠바를 계승하겠다고?

 

 

무엇을?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노동자권력를? 

노동자통제 없는 국유화를???   가짜 사회주의 환상과 스탈린주의 잔재를???

 

우리가 계승해야 할것은 1917년 최초로 이루어 낸 노동자계급 스스로의 혁명과  그 위대한 역사적 창조물인 노동자평의회 권력이다.

또한 스탈린주의 반혁명에 목졸림당하고 살해당하면서도 항상 노동자계급의 권력과 해방을 지향했던 혁명적 원칙,  국제주의 공산주의 원칙이다.

 

 

 

노동자국가?   주체형성?

 

프롤레타리아 독재는 자본가계급에 대한 독재이지 노동자계급을 향한 그 어떠한 통치 행위도 아니다.  사회주의는 생산 수단의 사적 소유와 양립할 수 없지만, 사적 소유의 부재(사회주의 경제의 창조를 위한 필요 불가결한 전제조건임에도)는 그것 자체로 사회주의와 동의어가 아니다.  노동자국가는 오로지 전체 노동자계급의 통제 아래 존재할때 사회주의와 동일시 될 수 있다.  계급으로써의  노동자계급 전체를 포괄하는 권력형태는 노동자평의회 권력으로 현실화 되었으며,  프롤레타리아 독재는 노동자평의회 체제이다.

 

혁명당은  노동자계급의 권력장악,  노동자계급의 권력(노동자평의회 체제)에 대한 절대적 방어,  세계혁명, 공산주의 사회로의 이행에 복무하는  노동자계급의 전위이자,  혁명적 계급의식의 담지자이자,  끊임없이 변화 발전하는 공산주의 강령의 실체이다.  그리고 공산주의 강령의 현실화는 오직 노동자계급 스스로에 달려있다.  

 

노동자계급의 자립성은 사회 내부의 모든 다른 계급들에 대한 노동자계급의 독립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자립성은 계급의 혁명 활동을 위해 하나의 불가분한 전제조건을 나타내는데, 노동자계급만이 유일한 혁명계급이기 때문이다.  노동자계급의 자립성은 계급의 자립적 조직인 노동자평의회와 계급의 정치조직인 혁명당과 강령으로 표현된다. 노동자주의 또는 써클주의 관점에서의 노동자계급의 자립성은 단지, 노동자계급으로 자칭하기는 원하는 작은 파벌로서 자신의 자립성을 보여줄 뿐이다. 그들은 결국 전체 노동자계급이 다른 계급들에 대해 갖는 자립성이 아니라, 같은 노동자계급 내의 다른 부분들에 대해서(작업장들, 업종들, 노동조합들, 지역들, 부문운동사이의) 자립성을 가져올 뿐이며, 나아가 이들의 부문운동, 지역운동의 총합으로써의 주체형성 전략은 정치조직에서의 연방주의를 강화한다.

 

혁명적 주체형성  노동자계급의 혁명기관인  노동자평의회와 혁명정당으로  모아져야 하며, 현실에서의 맹아는 오직 계급투쟁속에서 노동자계급 스스로의 의지와  혁명가들의 강령적 실천을 통해 창출될 뿐이다.

 

 

 



[혁명정당 강령 정립을 위한 3차 토론회]

일정 : 2011년 5월 10일 오후 3시
장소 : 전국철도노동조합 서울지방본부 2층 강당

1주제 : “프롤레타리아 독재와 ‘역사적’사회주의”(오후 3시)
- 발제 : 오세철 / 사회 : 고민택
2주제 : “노동자계급의 권력장악을 위한 이행요구”(오후 5시 30분)
- 발제 : 양효식 / 사회 : 고민택

동지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 사노위 혁명정당 강령 정립 모임-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오바마, 나토, 빈 라덴, 카다피 : 그들은 모두 우리의 적이다 !!!

  • 분류
    계급투쟁
  • 등록일
    2011/05/06 09:48
  • 수정일
    2011/07/03 12:31
  • 글쓴이
    자유로운 영혼
  • 응답 RSS

Obama, NATO, Bin Laden, Gaddafi: they are all our enemies

 

 

After NATO bombings on a building in Tripoli killed a son and three grandchildren of Muammar Gaddafi, there were revenge attacks on the cities of Benghazi and Misrata, and attacks on the British and Italian embassies, among other targets. The killing of Osama bin Laden in Pakistan by American special forces was supposedly undertaken in revenge for the 3000 9/11 murders. When the anti-Gaddafi forces in Libya heard of bin Laden’s death they called for Gaddafi to face the same fate.

 

This spiral of murder and destruction is further evidence of capitalism’s appetites in an era where every state, every capitalist faction that aspires to power, is compelled to follow the military option and the path of terror.

 

In this capitalist world the antagonists go under many flags, but they are all pursuing the same goals. Gaddafi is favoured by many who call themselves socialists, despite being at the heart of a regime for whom repression is second nature and vicious retaliation comes automatically. Barrack Obama is supposed to be a ‘friend of freedom’, yet his military campaigns, from the bombing of Pakistan within the first few days of taking office, just continue from where George Bush left off. Bin Laden is seen by some as an ‘anti-imperialist’ hero, but his ultimate dream of a multi-national caliphate is one of the oldest imperialist projects going. And as for the Libyan ‘rebels’ of the National Transitional Council, they can be marked down as enemies of the exploited and oppressed on a number of counts, from the backing of the US, the calls for the return to a monarchy, and the basic fact that so many of them were not so long ago integral to Gaddafi’s state apparatus.

 

Following the killing of bin Laden there were commentators in the US who spoke about the possibility of ‘closure’ for the victims of 9/11. With the continuing wars in Afghanistan, Iran and Libya there is clearly no closure for those who have been caught up in and become victims of the American ‘war on terror.’

 

As Obama said in his first speech celebrating the killing of bin Laden “his death does not mark the end of our effort. There's no doubt that al-Qaida will continue to pursue attacks against us.” Indeed it will, and if one terrorist force is diminished then others can easily take its place. Obama asserted that “we are once again reminded that America can do whatever we set our mind to”. American imperialism, however it is minded, cannot impose its will in Iraq, Afghanistan and Libya, despite being the world’s biggest military power. On the contrary, all its actions tend, in Obama’s words not to “make the world a safer place” but exacerbate conflicts and chaos across the face of the planet.

 

Some things have changed since 9/11. In the Middle East, for example, despite the fantasies of Gaddafi, al-Qaida has never really got a foothold, whatever its strengths in Afghanistan and Pakistan. In the recent social movements in various Arab countries, whatever their confusions, there has been no sign that protesters have been going in the direction of al-Qaidaist ideas, adoption of sharia law or other Islamic tenets. On the contrary, many of the demonstrators have explicitly rejected the vicious sectarian and gender divisions which al-Qaida stands for. A bigger obstacle to the movements in North Africa and the Middle East has been the myth of democracy, which serves to prevent the working class from acting as an independent force in society.

 

All the figureheads of capitalism, whether in the White House, in a tent in the desert, in a cave in the mountains, or in the affluent suburbs, stand for a world of war and destruction and against the liberation of humanity.  

 

Car 2/5/11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혁명정당 강령 정립을 위한 2차 토론

  • 분류
    잡기장
  • 등록일
    2011/04/27 08:58
  • 수정일
    2011/04/29 15:49
  • 글쓴이
    자유로운 영혼
  • 응답 RSS

 

메이데이 당일 실천일정을 반영하여 불가피하게 토론회 일정을 오후 7시로 연기하였습니다.

 

시작시간 변경을 유의하여 참석 부탁드립니다. 

  

 

사회주의 혁명당에 함께 한다는 것은, 일회성 정치 캠페인에 동원되고 조직되어 박수치고 감동받는 과정이 아니라,  공산주의 혁명에 대한 확고한 전망과 실천의 지침이 되어주는 혁명강령에 대한 토론과 승인 그리고 그 과정에서 치열한 사상투쟁을 통해 낡은 이데올로기를 벗어던지고 공산주의 투사,  노동자혁명가로 다시 태어나는 역사적 행위인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혁명정당 강령 정립을 위한 2차 토론회]

자본주의 쇠퇴와 사회주의 혁명

 

세계 자본주의에 대한 분석이 주기적 순환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왜, 언제부터 자본주의가 진보적이기를 멈추고,

사회주의 혁명의 전야로써 쇠퇴기로 규정할 수 있는지,

더불어 자본주의 쇠퇴기의 특징은 무엇인지 살펴 본다.

자본주위 쇠퇴기에 대한 규정은

우리가 성취해야 하는 혁명이 사회주의 노동자 혁명이 아닌

어떠한 다른 혁명이 결코 될 수 없음을 말해 준다.

 

발제 : 오세철
사회 : 고민택
일정 : 2011년 5월 1일 (일) 오후 7시
장소 : 전국철도노동조합 서울지방본부 2층 강당
참가문의 : redplane@jinbo.net로 연락처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사노위 혁명정당 강령 정립 모임]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사노위 서울지역위원회 2기 대표, 집행위원을 사퇴하면서

  • 분류
    잡기장
  • 등록일
    2011/04/24 22:36
  • 수정일
    2011/04/24 22:39
  • 글쓴이
    자유로운 영혼
  • 응답 RSS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노위 서울지역위원회 2기 대표, 집행위원을 사퇴하면서

- 조직 내 비판의 자유, 사망선고를 접하면서 -

 

 

지난 4월19일 사노위 서울지역위원회는 <사회주의자 통신> 창간호에 실린 ‘비평 글’로 인한, 조직 내 논란을 임시총회에서 다루었다. 사노위 서울 임시총회 핵심 쟁점은 사노위 명의로 낸 「사회주의 지금 여기에!」소책자에 대한 비평 글이 “사노위 조직 사업을 부정, 파괴”했는가였다.

(이에 대한 자세한 논쟁 글은 <사회주의자 통신> 창간호, 2호 참고)

 

우리는 비평 글이 왜? 어떻게? 대체 누구에게?,‘사노위 조직 사업을 부정하고 파괴’했는지 듣고 싶었다. 그리고 우리는 임시총회에서 서울지역 다수파 동지들에게서 분명하게 그 답을 들었다.

 

“ 신문에서 비판의 자유를 보장하는 방식으로, 부르주아적인 정치적 자유까지 옹호되는, 잡다한 견해들이 옹호되는 방식으로, 서울지역 신문이 된다면 사회주의자의 신문이 아니다.”

 

“ 비판의 자유라는 이름 아래, 공상적 사회주의라고 글을 쓴다면, 사노위 소책자 사업에 대해서, 조직 이름으로 팔고 있는데, 조직 파괴 행위다.”

 

“ 형식과 내용에서 비판 글이 과도하고 징계의 대상이라 생각한다.”

 

“ 조직 사업파괴로 이야기되는 것은 소책자가 사노위 이름으로 나온 사업이기 때문이다. 사노위의 정체성을 뒤흔들 수 있는 수준에서 비판이 나오는 것은 옳지 않다.”

 

총회 다수파 동지들의 이 ‘빛나는 발언’들에서, 당 건설 추진위에 함께 할 사회주의자들이, 아니 노동자 투사들이 과연 무엇을 느낄까?

총회 다수파 동지들의 주장은 비평 글 내용에 대해 소책자는 ‘공상적 사회주의가 아니다’라는 어떤 정치 내용 비판도 없다. 오직 비평 글의 “공상적 사회주의” 문구와 ‘중앙 사업이 비판되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

 

서울 총회 다수파 동지들에게 묻는다.

대체 사노위는 어떤 조직인가? 당 추진위 건설을 위해, 이제 사회주의 정치사상과 전략, 전술 통일을 위해 강령 토론을 시작하는 공동 실천 조직이다. 더구나 사노위 안에서는 강령초안이 3개나 제출됐다. 사회주의 상 또한 다르다. 그래서 토론중이다. 그런데, 서울 다수파 동지들은 조직 내 ‘비판’을, 사노위 ‘조직 사업 부정 파괴’로 동일시한다. 다시 말해, 서울 다수파 동지들에게, 조직 명의로 낸 소책자는 감히 범접할 수 없는 ‘권위와 우상’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제 사노위 2기 중앙은 “이게 바로 사회주의 내용을 담은 책자야”라고 말하기만 하면 된다. 사노위 중앙이 생각하는, 소책자 사회주의 이념이 이제 우리 조직 사상의 모든 영역을 재단하고 통치한다. 사노위 안에서 공개적인 ‘비판의 자유’와 ‘비판적 사고’는 이제 검열의 대상이 되었다. 그리고 결정은 총회에서 다수파의 논리로, 어떤 정치 내용 토론도 없이, 결정된다.

 

애초에 우리는 사노위 서울 임시 총회 결론에 환상을 갖지 않고, 조직 내 ‘비판의 자유’와 ‘비판적 사유’를 쟁취하기 위해, 다수파 운영위원의 입장 정면 폐기를 주장했다. 결국, 총회 결과는 다수파 결론대로, 비평 글 게재는 조직사업 부정 · 파괴로 드러났다. 사노위 서울지역위는 내부적으로 죽은 조직이 되었으며, 이제 조직 내 비판이 불가능하다는 선례를 남겼다.

사노위 서울지역위원회는 정치적으로 폭발했다. 아니 정확히 말해 정치적으로 파산했다.

 

우리는 인정한다. 우리가 소수파라고. 그렇다고 우리는 사노위 서울 총회 결과를 보고서 ‘근조(謹弔) 사노위 서울’을 쓸 때가 아직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사노위 안에서 지금 필요한 것은 ‘죽은 자(스탈린주의 망령)가 산 자를 통치’하는 이 명백한 사실 앞에서, 대내외적으로 강령투쟁을 전개하는 것이다. 우리는 여전히 사노위 내부에 만연한 구 서클적 인적 관계, 학연, 노조관료 정치의 유혹을 뿌리치고, 동지들이 스스로 사고하고, 혁명 강령 원칙에 입각한 당 추진위 건설에 진정 나서기를 바란다.

 

2011년 4월23일

 

사노위 서울 2기 대표 유승철

집행위원 김병효, 남궁원, 이형로, 임천용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히로시마에서 후쿠시마까지 -ICT

  • 분류
    계급투쟁
  • 등록일
    2011/04/22 18:07
  • 수정일
    2011/04/22 18:40
  • 글쓴이
    자유로운 영혼
  • 응답 RSS

 

히로시마에서 후쿠시마까지  -ICT

 

 

 

 

Meltdown(노심용융)

 

 지난 3월 11일 사상 최악인 8.9리히터 규모의 지진과 쓰나미가 일본을 강타했다. 수만 명이 죽었고, 수십만 명의 이재민은 할 말조차 잃고 말았다. 하지만 채 여진이 닥치기도 전에 다른 문제점들이 발생했다. 지진과 쓰나미는 이후에 닥쳐올 재앙에 비하면 한낱 전조에 불과했다. 지진 발생 사흘 후 후쿠시마 다이치현의 핵발전소와 또 다른 핵발전소에서 발생한 두 차례 폭발로 행융합로 노심용융까지 위협받는 상황에 이르렀고, 이에 따라 일본에서의 핵에너지 자체에 대한 의문까지 제기되는 상황에 이르렀다. 세계에서 가장 지진 위험이 높은 국가 중 하나인 일본이 도대체 어떻게 53개나 되는 핵발전소를 보유한 세계 3위의 핵에너지 대국이 되었을까?

 

이에 대해 3월 14일자 파이낸셜 타임즈의 데이빗 필링은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자원 부족 국가로서 일본은 위험한 세계에서 병적으로 집착해왔다. 그리고 이것이 전혀 근거가 없는 것은 아니다.”

 

86년 발생한 체르노빌 사고는 단일 사고만으로도 엄청난 방사능 유출과 함께, 이후 전세계에 걸쳐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기도 힘들 정도의 암발병 증가를 초래했다. 그런데 현재 후쿠시마에서는 6개나 되는 원자로 노심이 녹아내릴 위험에 처해 있으며, 다른 2개의 대형 핵발전소 역시 지진대에 위치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전력회사와 정부는 방사능 유출에 대해서 제대로 진실을 밝히지 않았다. 그리고 이런 위험은 이전에도 있었다. 필링은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일본은 이미 한 차례 예행연습도 겪은 바 있다. 2007년 7월 당시로서는 상당한 규모였던 6.8리히터 지진이 일본 북부 니이가타 근처의 초대형 핵발전소인 카시와자키-카리와 핵발전소를 강타했다. 이 지진으로 인해 세계에서 가장 큰 발전소 중 하나인 카시와자키-카리와 발전소조차 애초 설계부터 6.8리히터 가량의 지진에 견딜 없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당시 반응로 중 하나에 가해진 충격은 설계 당시 내진 강도보다 2.5배나 강력한 것이었다.

 

하지만 필링은 일본 정부가 자국민뿐만 아니라 지구 전체를 위험에 빠트리는 것이 전혀 ‘비이성적이지는 않다’고 했다. 86년에 체르노빌에 관한 기사에 ICT가 “원자력 러시안 룰렛”이라고 제목을 붙였는데, 정말 위험한 도박이 지금 일본에서도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제국주의자들의 명령

 

일본은 최근까지 석탄에 있어서만큼은 자급자족이 가능했다. 하지만 석탄을 제외한 나머지 자연 자원 부족은 항상 일본의 걱정거리였다. 이러한 상황은 일본으로 하여금 1895년 중국과, 1905년 러시아와 전쟁을 불사하게 했고, 1911년 조선 합병과 1931년 만주 침공까지 감행하게 하였다. 그리고 물론 더욱 극적인 예로는 바로 2차 세계대전을 들 수 있다. 일본의 1937년 중국 본토를 침공에 대해, 미국은 즉각 일본으로의 석유 공급 차단으로 대응했다. 일본은 이후 4년 동안 자구책을 마련하려 애썼지만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고, 결국 궁극의 도박을 감행하기로 결정했다. 일본은 미국의 태평양 함대를 한 방에 날려버리고 인도네시아와 태평양 연안 제도를 점령하고, 이를 통해 석유와 다른 원자재를 손에 넣으려는 위험한 도박을 한 것이다. 일본이 자원 확보를 위해 아시아 무대에서 영국과 독일 제국주의를 패퇴키는 것까지도 염두에 두고 있었다는 사실이 최근 공개된 문서를 통해 밝혀졌다.

 

이것이 1941년 12월 7일 진주만 공습의 배경이다. 하지만 일본의 도박은 공습 6달도 채 안된 1942년 6월 미드웨이 해전에서 모든 일본 항모가 침몰하면서 패배로 막을 내렸다. 그런데 미국은 일본 문제를 마무리 짓기에 앞서 유럽전선에서 사소한 문제들을 해결해야 했다. 유럽전선에서 분열이 발생한 것이다. 그것은 바로 소비에트 연방과의 전시 동맹의 균열이었다. 당시 미국은 소비에트의 적군이 유럽 전선에서 서쪽으로 진군하는 것을 우려하고 있었다. 트루먼 대통령은 동부 전선에서 대해서도 소비에트 연방이 개입하면서, 만주와 조선, 그리고 중국이 스탈린의 손에 떨어지지 않을까 걱정했다. 결국 미국인 기자 리차드 로데스가 ‘원폭 제조’에서 밝힌 바와 같이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폭을 투하한 것은 단순히 미국을 구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스탈린의 동부 전선으로의 개입을 차단하기 위해서였다. 스탈린이 45년 8월 9일로 동부전선에 개입하기로 예정되어있었고, 소비에트의 개입을 차단하기 위해 그 직전인 8월 6일 히로시마, 8월 8일 나가사키에 원폭이 투하된 것이다.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피폭으로 일본인들은 더 이상 원자력을 아예 사고의 지평 저 너머로 내던져버렸을까? 전혀 그렇지 않다. 1951년 미일안전보장조약 체결로 일본은 미국의 군사적 보호 아래 핵개발 프로그램에 착수했다. 히로시마 피폭으로 인한 백혈병 희생자들이 드러나기 시작한 바로 그 순간 일본은 핵발전을 향해 나아갔던 것이다. 일본이 세계 경제에서 핵심적인 지위를 차지하면서 일본은 더 많은 에너지원을 필요로 했고, 전후 세계에서 핵심적인 에너지원은 바로 석유였다. 자본주의 경기 순환에 있어 하락국면을 맞이했던 1971년 당시 일본은 자국 에너지 수요의 85%를 수입에 의존하는 상태였다. 미국에서 경기하락은 달러화에 대한 금태환을 포기하면서 달러가치 폭락으로 드러났다. 달러가치의 하락은 산유국의 실질 수입 하락으로 이어졌고, 이에 따라 유가는 급등했다. 에너지 안보가 전세계적인 슬로건이 되었고 이 문제는 오늘날에도 에너지 수입선 다변화라는 형태로 여전히 진행중이다. 특히 국내 산업생산 증대에도 불구하고 이를 뒷받침할 자원이 부족했던 일본으로서는 에너지 문제에 있어서 가장 취약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중동보다 훨씬 안정적인 남아공의 폐금광을 석유 비축 시설로 임대해서 사용하기 위해 남몰래 남아공의 인종분리 정책을 지원하는 것까지 불사했던 일본이 핵에너지를 고려한 것은 전혀 비이성적이라고 할 수 없지 않은가.

 

 

 

이성적인 세계?

 

어쨌든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주의적 표현으로서 ‘이성적’이라는 말은 우리가 생각하는 ‘이성적’이라는 말과는 관계가 없다. 우리는 국민국가로 구성된 세계에 살고 있으며, 이 세계는 앞서 파이낸설 타임즈가 ‘위험한’ 세계라고 언급한 바로 그 세계다. 세계가 위험한 이유는 오늘날 자본주의가 국민국가들 간에 자원을 위한 은폐된 경쟁 혹은 공공연한 전쟁 형태로 대결하는 제국주의 단계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계에서 가장 지진 위험이 높은 나라에 핵발전소를 세우는 것이 ‘위험한’ 세계에서는 이성적일 수도 있다.

이 글에서는 의도적으로 핵에너지 자체에 대한 논란은 다루지 않았다. 왜냐하면 자본주의 하에서는 어떠한 이성적인 토론도 불가능하며, 이윤 동기나 일국적 관점 하에서는 논점이 항상 왜곡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일본의 핵에 대한 광기가 바로 그 증거다. 제국주의자들은 이번 사고를 통해 인간의 미래의 필요와 양립할 수 없는 전쟁과 비이성적인 정책들로 가득찬 제죽주의의 면모를 그대로 드러낸 것이다. 정말 “이성적인 세계”에서는 국민국가라고 하는 것도 존재하지 않을 것이며, 제국주의적 경쟁, 사람보다 이윤을 우선시하는 태도도 존재하지 않는다. 물론 파괴적인 전쟁도 없다. 하지만 이러한 이성적인 세계는 오직 전세계 노동자계급의 힘으로 모든 비이성적인 요소를 만들어낸 자본주의적 생산 자체를 철폐함으로써만 가능하다.

 

 

 

원문 :  ICT   (http://www.leftcom.org/en/articles/2011-03-17/from-hiroshima-to-fukushima)

번역 :  사노위  kim

 

 

 

 

 

From Hiroshima to Fukushima

http://www.leftcom.org/files/images/2011-03-16-japan-01.preview.jpg

Meltdown

The earthquake and tsunami which struck Japan on 11 March at 8.9 on the Richter scale was one of the worst ever recorded. The tragedy of the tens of thousands of dead and the hundreds of thousands made homeless is almost mind-numbing. But even before the next aftershock strikes the country other questions are being posed. This natural disaster is on the brink of being followed by a man-made sequel. With two explosions in three days at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and other plants threatened with reactor meltdowns the whole question of nuclear power in Japan is at issue. Why is one of the most earthquake-prone countries in the world home to 53 nuclear power plants making it the world’s third nuclear energy power?

The normal answer is like that given by David Pilling in the Financial Times (14 March)

As a resource-starved nation, it has an almost pathological, and not entirely unreasonable, fear of being cut off from essential supplies in a dangerous world.

 

A single Chernobyl produced an increase in radiation, and later in cancer, on a large (and as yet not fully acknowledged) scale around the world. Currently all six reactors at Fukushima Daiichi are experiencing potential meltdown problems. And there are two other large nuclear power plants in the earthquake zone. The Japanese nuclear industry and government have poor history of telling the truth about radiation leaks. In fact we have been here before in Japan. As Pilling also tells us

At least we had a low-key dress rehearsal. In July 2007, an earthquake measuring a then-big-sounding 6.8 on the Richter scale jolted the enormous Kashiwazaki-Kariwa nuclear plant near Niigata in northern Japan. It subsequently emerged that the facility, one of the biggest in the world, had not been designed to take an earthquake of anything like that magnitude. One of the reactors was shaken by a jolt nearly two and a half times more powerful than it had been built to withstand.

 

And yet Pilling tells us that it is “not entirely unreasonable” for the Japanese government to put not only its own citizens at risk but also those of the rest of the planet. In 1986 we entitled our article on Chernobyl “Nuclear Russian Roulette” but the really reckless gamble is in Japan.

Imperialist Imperatives

Japan has always had a worry about its lack of natural resources (even though until recently it was self-sufficient in coal). This led to Japan’s wars with China (1895), Russia (1905), its annexation of Korea (1911) and its invasion of Manchuria in 1931. The best example of all was the Second World War. After Japan invaded the rest of China in 1937 the US cut off Japan’s oil supplies. For four years Japan struggled on. The Japanese Imperial Army, by now running the country, decided on the ultimate gamble. They would knock out the US Pacific Fleet in one blow and then go on to occupy Indonesia and the rest of the Pacific islands thus gaining access to oil and other raw materials. The fact they would also have to defeat the British and the Dutch Empires in Asia to achieve this also gets a small mention in their policy documents.

http://www.leftcom.org/files/images/1945-08-06-enola-gay.preview.jpg

This was the background to Pearl Harbor on 7 December 1941. The gamble failed within six months (at Midway Island in June 1942 the entire Japanese aircraft carrier force was sunk). The US had the small matter of fighting in Europe before they could deal with a Japan which was simply awaiting its turn. One slight complication arose from this delay. By the time the US came to finish off Japan the wartime alliance with the Soviet Union was beginning to fracture. USA imperialism was already worrying about how far West the Red Army had got in Europe. Now President Truman was worried that when the USSR entered the war in the East, Manchuria, Korea and China would fall into Stalin’s hands. As Richard Rhodes so clearly demonstrated in The Making of the Atomic Bomb the bombing of Hiroshima and Nagasaki was not to save US lives alone but mainly to pre-empt Russia’s entry into the war in the East (which Stalin had promised would take place on 9 August 9 1945). Hiroshima was bombed on 6 August, Nagasaki on 8 August. (1)

You might have thought that the legacy of Hiroshima and Nagasaki would have put nuclear power out of the equation in Japan. Not a bit of it. After Japan finally signed a peace treaty with the US and put itself inside the US Empire in 1951, a programme of nuclear research began. Even as the death of Hiroshima victims from leukaemia mounted the state was set on the course towards energy from nuclear power. As Japan became one of the power houses of the global economy it demanded more sources of energy, and in the post-war world this meant oil. Japan depended by this time on imports for 85% of its energy needs at just the point the global cycle of capitalist accumulation was entering its downward phase in 1971. In the US this was signalled by the removal of the dollar from the gold standard and led to a plunge in its value. This in turn boosted the oil price since oil producers saw a massive drop in their real income. Fuel insecurity became a global watchword (and it has not gone away if we look at the rival schemes to divert the energy resources of Central Asia to this or that port) (2). Japan with its industrial output increasing and its lack of resources was more vulnerable than most. Besides quietly supporting the apartheid regime by leasing empty goldmines to store oil in for the future (so much more stable than the Middle East!) the “not unreasonable” solution was to turn to nuclear power.

A Rational World?

But what is reasonable in capitalist terms does not stand up to scrutiny by more objective measures. We live in a world made up of nation states. A “dangerous” world according to the FT quote above. It is dangerous because capitalism is today in its imperialist stage in which nation states fight each other (sometimes in a hidden rivalry, sometimes in open war) to garner the world’s resources. In such a world it may seem reasonable to build nuclear power stations in the most seismically unstable places on the planet. We have deliberately not entered here into the debate about nuclear energy since no rational discussion can take place under capitalist conditions. Where there are profit motives or nationalist agendas the debate is always distorted. We however take the nuclear lunacy in Japan as one more proof that this imperialist system with its wars and irrational policies is not consistent with the future needs of humanity. A really “reasonable world” will have no national states, no imperialist rivalry, no putting profit before people and no more ruinous wars. But this will only come about when the world working class abolish the capitalist system of production on which all this irrationality is founded.

Jock

(1) For more on this see leftcom.org

(2) There are many examples on our website but this one refers to previous article. See leftcom.org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謹弔 스탈린주의의 부활, 사노위의 정치적 파산!

  • 분류
    잡기장
  • 등록일
    2011/04/20 13:31
  • 수정일
    2011/04/21 16:06
  • 글쓴이
    자유로운 영혼
  • 응답 RSS

謹弔 스탈린주의의 부활,   사노위의 정치적 파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회주의 조직내에서  비판의 자유를 제한(언론통제)하는 결정이 다수의 힘으로 관철되었다. 그것을 관료적, 행정편의적 발상으로 위에서 강제했던, 정치토론을 회피하는 다수들이 써클질서로 관철시켰든, 결정의 내용은 변하지 않는다. 명백한 스탈린주의의 부활이다. 그것의 명백한 근거들을 제시하는것 조차 의미가 없어졌다. 정작 그들은 자신들의 행위들이 스탈린주의의 잔재, 혹은 스탈린주의를 답습하고 있는것에 대해서 인식조차 못하기 때문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들이 파시즘의 대중심리를  다시 읽어봐야 하는 이유이다. 더욱 절망적인 것은  운동사회에서 가장 건강하고 타협없이 원칙적이어야 할 젊은 사회주의자, 학생사회주의자들이,  운동의 붕괴와 혁명적 전통으로부터의 이탈로 인해 스스로 스탈린주의자로 나서거나 방조했다는 사실이다.  

 

분명히 스탈린시대 이후의 혁명조직들은  스탈린주의의 함정에 빠지지 않기 위홰, 조직내외의 비판의 자유를 제한없이 허용하고 있다.  이것은 현존하는 혁명적사회주의자 조직의 기본이자, 철의 원칙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런데 이들은 레닌시대에서 사고가 멈추어, 서슴없이 글의 질적수준으로, 혹은 오보라는 자의적 잣대로(오보는 사실을 왜곡한것이 오보이고, 정치적 입장이 잘못된것은 오보가 아닌 정치적 오류라 표현해야 하고, 삭제나 사과가 아닌 비판을 통해 바로 잡는 것이 원칙이다)   사회주의 조직의 기본을 무너뜨리고 있다.  정말 경악할 일이다.

 

또한 거대한 다수파 써클조직의 10여년은 좌파운동의 맥을 이어 주었을지는 모르지만,  전체적으로는 사회주의 정치운동의  심각한 퇴행을 초래했다.  또한 구성원들에게는  권위적 조직의  폐쇄성을   자기도 모르게 뼛속 깊-히 자리잡게 했다.  이것은 운동사회에서의  명백한 기득권이자 특권이었다. 사회주의자들이 가져서는 안될것을 갖고있다는 이야기다.  그래서  이번 참사처럼 사회주의자들조차 배신하는 이들이,  노동자계급을 전취하겠다는 발상은 그야말로 계몽주의 수준에 가깝다고 할수있다.

 

결론적으로  아직 사회주의자가 아닌, 전투적 조합주의자, 개량적사회주의자, 반(半)스탈린주의자 경향의 다수 회원들이 소수의  혁명적사회주의자를 전형적인 스탈린주의적 방식으로 조직에서 입을  틀어 막고 정치적으로 목졸라 살해했다.   따라서 이것을 주도한 세력들과 그들의 권위적인 이름들은 사회주의 당건설 운동 역사의 오점으로 분명히 기록될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노위는?


공식적이지는 않지만  모두가 공유한 바로는,   사노위는 출범당시 사민주의 ,민족주의, 스탈린주의를 배제한 채, 사회주의자들과 당 건설을 염원하는 노동자들로 구성하였다.  하지만  이번 결정으로 사노위는 1년전으로 후퇴하여,  오랜시간과  많은 희생을 치르고 어렵게 극복한 스탈린주의를 조직내에서  공공연히 부활시켰다. 도대체 이들에게 혁명강령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이들에게는 혁명강령을 제출할 의사가 전혀 없으며, 혁명강령에는  반드시 비판의 자유문제를 명기할 것이다. 왜냐하면 강령은 현실을 반영해야 하므로, 우리의 현실이 비판의 자유조차 방어하지 못하는 현실이기에 반드시 명기해야 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사노위는  사회주의 정치조직으로써  일정부분 또는 상당부분 정치적인 파산을 한 것이다.  나는 모든 진보매체, 사회주의 언론, 혁명적 사회주의자들뿐 아니라, 국제주의 조직들에도 이 과정과 결정들을 하나의 빠짐도 없이 객관적이고 명명백백하게 알려낼것이다. 그리고 그들의 판단과 항의와 경고를 다시 사노위에 전달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그간의 애정이 조금은 남아있기에 ,훗날 Marxists Internet Archive에 이조직이 Stalinist Organization로 분류되지 않기를 바랄뿐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사회주의자 통신 2호] 사회주의 당 건설의 역사와 ‘비판의 자유’에 대한 교훈

  • 분류
    계급투쟁
  • 등록일
    2011/04/19 14:08
  • 수정일
    2011/04/19 14:13
  • 글쓴이
    자유로운 영혼
  • 응답 RSS

 

사노위 서울지역위원회 온라인 정치신문 <사회주의자 통신> 2호가 발간되었습니다.

첨부파일이 올라 가지 못하는 경우에는 아래 주소를 클릭하여 Pdf파일을 내려 받기 하시면 읽을 수 있습니다.
http://www.lanchester.co.kr/img/ssotong_2ho.pdf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회주의 당 건설의 역사와 ‘비판의 자유’에 대한 교훈

- 이탈리아 공산당과 그람시의 교훈

 

-사노위 강령실무위원 이형로

 

 


 

‘신질서’와 ‘공장평의회운동’으로 잘 알려진 이탈리아의 혁명가 안토니오 그람시가 PCI(이탈리아 공산당)에서 스탈린의 정책을 이식하는 핵심인물이었다는 사실은 우리에게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게다가 그 핵심 조치가 바로 트로츠키에 우호적이었던 보르디가 경향의 글을 삭제시키고, 결국 당의 공식 매체에서 출판 금지시키는‘언론통제’였다는 무거운 사실을 그 후예들이 알지 못하거나 가볍게 여기고 있는 것 같아 이글을 시작한다.

 

이탈리아 공산당의 창건과 혁명분파 구성에 머뭇거린 ‘신질서’그룹

1892년Genoa에 의해 창건된 PSI(이탈리아사회당)는 개량주의 세력의 지배아래 1917년 전까지는 맑스주의 혁명적 원칙을 고수하는 진정한 좌파 세력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1917년로마대회 이후‘비타협적 혁명분파’가 형성되기 시작했는데, “전쟁 후 평화적인 삶”이라는 당내 개량주의 다수파의 주장에 대항하여 아직 소수였지만 혁명분파는 “노동자계급 스스로의 독재를 세우기 위하여 모든 나라에 프롤레타리아의 권리를...”, “정치적 영역뿐 아니라, 자본가에 대한 사회주의적 몰수를 통하여 모든 부르주아 기구에 대한 투쟁을...”이라는 강령을 방어했다. 당시 보르디가가 주도했던 혁명분파는 당의 분리를 원하지 않았는데, 위와 같은 혁명적 강령으로 당의 다수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1920년 3월 토리노에서 열흘 동안 총파업이 일어났을 때, 주류 법적노조의 지원을 받는 PSI(이탈리아사회당)는 전혀 움직이지 않았고, 결국 노동자계급을 배신했다.

 

1919년 5월1일 그람시, 톨리아티, 타스카는 신질서(L'Ordine Nuovo)의 창간호를 발간하였고, 당시 파업이 일어난 지역인 PSI의 토리노그룹은 보르디가가 이끌고 있었다. 그런데 그람시는 레닌과 De Leon의 혁명적 쌩디칼리즘을 묘하게 섞어 “노조주의가 공장평의회와 소비에트로 대체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보르디가는 핵심문제를 혁명당의 부재라고 보았다. 보르디가도 물론 평의회를 지지했지만, 평의회가 “공산주의당 지역단위”의 기반 위에 형성될 때 비로소 혁명적 내용을 획득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신질서와 논쟁했다. 그런데 정작 보르디가가 신질서와 논쟁한 이유는 이론적 문제를 떠나 신질서 그룹이 개량주의 극대주의자, 중앙파와 선을 긋고 스스로 혁명분파로 구성하는 것을 주저했기 때문이었다. 당의 다수파인 개량주의 세력이 노동자계급의 투쟁에서 배신을 하거나 당의 구조가 혁명적 강령을 실천할 구조가 갖춰져 있지 않을 경우, 혁명적 원칙을 방어하고 개량주의 세력에 넘어간 노동자계급을 혁명 강령으로 비틀어 빼내오기 위해서는, 당내 기반과 일부 건강한 인자들을 포기하더라도 그들과 분명하게 선을 긋고 단절하는 것은 혁명조직의 원칙이자 노동자 계급에 대한 신뢰를 지키는 일이다. 당시의 신질서 그룹은 혁명당의 역할과 혁명 강령의 실천적 의미를 소홀히 인식한 결과 개량주자들과의 단절을 주저했던 것이다.

 

결국 1920년대 말신질서 그룹은 보르디가 분파로 움직이게 된다. 9월의 공장점거투쟁 실패가 “경제관리”와 “노동자 통제”이론에 대한 심각한 타격을 입혔기 때문이다. 그것은 결정적으로 보르디가가 강조했던 “공장점거 투쟁이라는 혁명적 사건이 그 운동을 지지하고 지도할 공산당이 부재했기 때문에 실패했다”는 것이 증명된 것이었다. 그래서 11월 밀라노에서 “통일공산주의분파”가 형성되었고, 1921년 1월21일 드디어 Imola대회에서 코민테른의 지부인 PCI(이탈리아공산당)이 창건된다. 분파들은 해소하여 신당에 결합했고, 당 대회의 안건에는 “혁명 중에 일어난 평의회는 그의 다수가 공산당에 의해 획득되었을 때 혁명적일 수 있고, 그렇지 않을 경우 혁명투쟁에 대한 심각한 위험이 될 수 있다”는 것도 포함되어 있었다. 대중의 직접행동의 자발성과 혁명 강령에 입각한 의식성을 혁명적으로 이해 한 위의 테제는 우리에게도 여전히 유효하다.

 

 

‘스탈린정책’을 이식한 그람시와 ‘비판의 자유’를 방어하지 못한 혁명 좌파

그람시는 혁명분파 구성에 주저하긴 했지만 PCI를 창당하는 데 일정정도 기여했고, 1922년부터 1924년까지는 모스크바와 빈에서 코민테른을 위해 활동했다. 당시 소련에서는 사회주의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정책이 수립되어야 하는가와, 서유럽에서 사회주의자와 새로운 공산당 사이의 관계에 관해 논쟁이 진행되고 있었다. 1924년이탈리아 의회에 선출되어 이탈리아로 돌아온 그는 당의 지도권을 확보하고, PCI를 창당 초기의 분파주의 경향으로부터 대중운동에 뿌리박은 대중정당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투쟁을 전개했는데, 이러한 당 노선을 두고 보르디가 경향과 심각한 갈등을 빚게 된다. 왜냐하면 당시 이탈리아는 이미 파시스트운동의 발전이 당 운동의 행동적 제약을 가져왔고, 모든 투쟁은 방어적 수준에 머물렀고, 대중들의 경제투쟁조차 광범위하게 줄어든 상태였기 때문에, 대중정당 노선은 보르디가 에게는 혁명적 원칙을 포기하는 것으로밖에 보이지 않았다.

 

당시 코민테른과 그람시는 이탈리아에서 PSI(이탈리아사회당)와 PCI(이탈리아공산당)가 통합하여 대중정당을 만들기를 원했지만, 보르디가는 무솔리니와“평화협정”을 맺는 “중립주의”정책을 채택한 PSI와는 동맹을 맺을 수 없었고, 강령적으로도 프롤레타리아의 무장을 통한 혁명투쟁 노선을 갖고 있지 않거나 사실상 폐기해버린 정치세력들과의 “통일전선”을 거부하는 노선을 강력히 밀고 나갔다. 결국 통일전선 문제는 보르디가 지도부와 코민테른 사이의 대립을 가져온다. 당시의 코민테른 3차 대회는 모든 나라에 통일전선 전술의 적용을 명령했는데, PCI는 4차 대회에서 오히려 이것에 반대하는 선언을 한다. 1924년 5월 Como에서의 PCI대회에서 보르디가 등이 제안한 테제인 프롤레타리아 독재, 무장투쟁 노선(프롤레타리아독재냐 부르주아지독재냐)을 절대다수로 수용한 것이다.

 

그래서 다음해인 1925년은 본격적으로 보르디가 경향과 코민테른의 러시아 지도부의 전쟁이 일어난 중요한 해이다. 또한 1925년은 트로츠키의 좌익반대파와 러시아공산당 및 코민테른이 대립한 시기였다. 1925년 3월-4월 코민테른 확대집행위원회는 PCI 3차 대회의 의제에 대한 보르디가 경향을 강제로 삭제·제거했고, 트로츠키에 우호적인 보르디가의 글(“트로츠키 문제”)의 출판을 금지시켰다. 결국 코민테른의 스탈린 정책을 PCI에 이식시키기 위해 그람시는 혁명적 좌파들의 입을 막음으로써 다수의 당원들과 분리시키려 했고, 코민테른 안에 이미 뿌리내리고 있던 강압적 관료주의(스탈린주의)를 이용하여 혁명분파들을 차례로 축출하는 변절의 길을 걷게 된 것이다.

 

또한 그것이 참혹한 스탈린주의의 잉태였던 것을 미처 깨닫지 못했던 혁명적 좌파들은, 그해 4월 보르디가의 동료이자 훗날 보르디가 경향을 극복하고 혁명분파의 다수파를 차지한 데이먼 등을 통해 조정을 위한 위원회를 만들었다. 하지만 이조차도 그람시는 “조직화된 분파”라고 위원회를 비난하면서 격렬하게 공격했고, 그를 추종하는 다수의 맹목적 조직보존주의자들의 축출의 위협 아래 “위원회”는 결국 해산해야 했다. 그것은 다수파로서의 이탈리아 좌파의 종말의 시작이었다. 그 후 당을 장악한 그람시의 지도력(대중정당 노선) 아래 당은 12.000명에서 30.000명의 전투파로 증가했다. 그런데 당시의 신규 당원들은 젊은 노동자와 농민이 다수였고, 낮은 수준의 강령의 승인은 정치의식의 하락을 가져왔고, 정치적 미숙함과 무능력은 당을 급속도로 변질시켰다. 정치의식이 균질화되지 않은 미성숙한 다수에게 조직보존주의, 양적 팽창주의 노선을 강제하는 것과 사상투쟁의 자유마저 제한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사상투쟁과 혁명적 실천을 통해 다수를 획득해나가고자 하는 혁명적 좌파들에게는 치명적인 상황을 초래했다. 혁명조직의 기본 운영원리이자 혁명가들의 가장 강력한 무기인 ‘사상투쟁의 자유’를 방어하고 그것의 박탈에 대해 끝까지 저항하고 투쟁했어야 하는 공산주의자들의 생존원칙이 안타깝게도 무겁게 인식되지 않았던 것이다. 다시 말해 움트고 있던 스탈린주의에 대한 거부원칙이 이탈리아 좌파에게는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았던 것이다.

 

결국1926년 리옹대회에서 보르디가 경향은 완전히 제거되었고, 소수파로 전락한 좌파는 유명한 “리옹테제”를 제출한다. 이는 망명중의 혁명적공산주의자들의 지향점이 되어, 2차 대전 중에도 활동의 지침이 되었고, 결정적으로 68혁명이후 전 세계에 흩어져 있던 혁명적 좌파들의 부활을 돕는다. 이 테제는 그람시의 정치를 크로체와 베르그송의 사이비-맑스주의의 혼합이라 규정하고 강력하게 비난한다. 그리고 반파시스트 당과의 동맹과 “노동자연방공화국”을 맑스주의의 포기라고 하면서 비판한다. 또한, 권위에 복종하는 자발성을 대체하는 어떠한 규율도 거부한다. 이것은 인터내셔널의 당들이 스탈린의 코민테른에 복종하는 퇴행의 위험성을 미리 경고했던 것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러한 경고는 머지않아 현실이 되었고, 코민테른의 결정적 타락과 세계적으로 혁명적 공산주의 세력에게 기나긴 죽음의 시대를 가져다주었다.

 

혁명적 분파운동과 당 건설 운동의 역사적 교훈

PCI에서 축출당한 보르디가는 1926년 2월-3월 6차 코민테른 확대집행위원회에 마지막으로 참여했는데 트로츠키와 장시간 토론할 기회를 가졌다. 위원회의 참여는 “일국사회주의”에 대한 트로츠키의 투쟁에 이탈리아 좌파의 연대를 보이기 위한 것이었다. 여기서 보르디가는 극단적 개입의 형태로 가장 맹렬하게 스탈린을 공격했다. 그는 당시를“분파의 역사는 레닌의 역사이다”라고 회상했다. 이것이 코민테른 내에서의 이태리 좌파의 마지막 투쟁이었고, 그 이후는 트로츠키주의자들의 저항, 그리고 스탈린의 이탈리아에서 있었던 것보다 더 잔혹한 숙청과 살해의 역사였다. 1927년 12월 스탈린은 일국사회주의를 선언한 러시아 공산당 15차 대회에서 트로츠키를 축출했다. 또한 혁명과 관계된 모든 사진과 기록들에서 트로츠키의 흔적을 지워나갔고, 수많은 공산주의자들과 혁명적노동자계급을 추방하고 살해했다.

 

이탈리아에서는1926년파시스트 정부의 정당금지령에 따라 PCI는 해산 당했고, 그해 11월 그람시는 체포되어 20년형을 선고받았다. 또한 혁명적 좌파와 결별한 당은 이미 혁명성과 전투성을 모두 잃은 채 파시스트의 탄압 하에 조직적 활동이 끊어지게 된다. 그리고 2차 대전 이후 모스크바로 망명했다 귀국한 톨리아티의 대중정당형 의회주의 노선을 채택하면서, 스탈린주의에서 사민주의까지 혼재된 다원주의의 길로 접어든다. 또한 톨리아티의 사후에는 러시아파와 이탈리아파로 양분, 유로코뮤니즘과 민족 공산주의 노선 등으로 혼란을 겪다가 결국 소련 붕괴 후 완전한 사민주의좌파 정당으로 몰락하고 만다. 이것이 바로 파시즘과 통일전선의 반혁명적 성격을 명확히 하지 못해 파시스트에게 길을 열어주고, 프롤레타리아 독재라는 혁명노선을 굳건히 하지 못해 전투력을 잃은 변절된 PCI의 비극이었고, 그람시가 주도한 스탈린주의 공산당의 실패였다.

 

보르디가 또한 1926년 말 파시스트에 의해 체포되어 3년간 추방되었다. 당시 해외로 망명한 이탈리아 좌파는 유럽에서 투쟁을 계속했지만, 보르디가는 점점 정치적 삶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혁명운동에서 멀어져 간다. 하지만 보르디가를 극복한 그의 동지 데이먼과 후배 혁명가들은 파시즘 하에서도 전쟁 중에도 수백 명이 분명하게 살아남아 여러 공장과 거리에서 목숨을 건 선전활동을 해나갔으며, 혁명적 분파활동의 원칙과 실천적 경험들로 인해 전쟁이 끝나기 전 독자적인 국제공산주의당(PcInt)을 건설하기에 이른다. 수백으로 시작한 당원들이 수천으로 증가하는 데에는 채 몇 년이 걸리지 않았고, 이것은 대중적 노선이 아닌 혁명적 원칙과 혁명 강령을 전투적 노동자계급에게 굳건히 뿌리내린 결과였다.

 

그리고 1920년대 타락해가는 코민테른과 스탈린에 대항해 이탈리아 좌파와 트로츠키가 함께 싸웠던 혁명적 전통은, 80년이 넘게 흐른 오늘날 새로운 혁명적 인터내셔널 창출을 향한 중요한 밑거름이 되고 있다. 또한, 2011년 한국의 사회주의자 재판에 항의해 뉴욕에서 벌어진 국제주의자들의 항의시위도 이들의 후예들이며, 이러한 국제주의는 우리에게 원칙만이 아니라 즉시 실천해야 할 지침으로 인식해야 한다.

 

나는 개인적으로 그람시나 보르디가 중 어느 누구도 전폭적으로 지지하지 않는다. 하지만 공산주의 당 운동의 역사적 순간에 이들이 각자 서있었던 정치적 위치와 역할에 대해 명확한 원칙을 갖고 평가하면서 역사적 교훈을 계승할 뿐이다. 첫째, 혁명적 분파 활동 없이 혁명당 건설과 혁명적 원칙의 방어는 불가능하며, 모든 분파활동은 끊임없이 외부의 노동자계급을 향해야 한다. 둘째, 혁명 강령 없이 혁명당 건설은 불가능하며, 혁명 강령은 실천적으로 승인할 때 혁명성을 보장한다. 스탈린도 그람시도 강령을 승인했지만, 자신들의 목적을 위해 원칙을 저버리고 강령의 수준을 낮춤으로써 비극의 시작을 알렸다. 셋째, 혁명 강령은 계급투쟁과 공산주의 운동의 발전과 함께 살아 움직이며 끊임없이 발전해나가는 것이지 절대불변의 진리가 아니다. 그래서 혁명적이지 않은 낡은 강령을 단호하게 배격하는 것이야말로 혁명조직과 혁명운동의 시작이다. 넷째, 혁명가들의 가장 큰 사상적 실천적 무기인 혁명 강령을 방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제한 없는 사상투쟁의 자유를 쟁취해야 한다. 그 어떠한 명분으로도 조직적 이해관계로도 사상투쟁의 자유가 침해당해서는 안 된다. 사상투쟁은 살아 움직이며 상호 침투하는 과정이며, 혁명적 행동을 강제하는 의식적 행위이며, 노동자계급이 부르주아 이데올로기를 버리고 혁명의식을 체득하는데 있어 필수요소이기 때문에 자본가들보다 훨씬 광범위하고 공개적으로 열려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탈리아 당 운동의 역사를 보면서 한국의 당 건설 운동의 주체들에게 묻고 싶다. 동지들이 서 있는 역사적 정치적 위치는 어디이며, 단지 먼저 시작했을 뿐인 아무런 특권이 없는 동지들이 대체 누구를 위한 누구에 의한 당 건설을 하려는 것이며, 무엇을 움켜쥐고 달려가고 있는가?

 

그리고 당 추진위를 향한 강령투쟁에 사활을 걸어야 할 사노위에 요청한다. 사노위는 남은 기간 한국의 노동자계급과 우리 스스로에게 약속한 당 추진위를 향한 강령투쟁에 전념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강령초안제출과 강령토론이 공개적으로 진행되는 4월30일 이후에는, 강령채택을 위한 과도적 조직체계로 즉각 전환해야 한다. 과도적 조직체계란 강령채택 조건 창출을 위한 중립적인 조직 관리체계를 의미한다. 이것은 내용적으로는 모든 강령초안이 동일한 조건 속에서 조직내외로 확장해 나갈 수 있는 체계를 의미한다. 따라서 중집, 중앙위, 지역위 ,분회, 언론 등 모든 기구와 조직의 근간은 강령채택을 위한 과도적(임시)체계로 전환하며, 총회를 통해 위임받은 관리기구(대리인)는 철저한 중립성을 유지해야 한다. 이것은 조직이 당 추진위로 상승하기 위한 이행체제이며, 아래로부터 강령을 결의하고 조직 활동의 질적인 상승을 강제하는 체제이다.

 

둘째, 강령투쟁을 통해 혁명적 강령이 채택되고 당 추진위로의 이행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사노위는 즉각 종료하고, 당 추진위(준비모임)로 전환해야 한다. 만일 강령투쟁에서 사노위 전체를 견인하지 못한다 해도, 당건설 경로와 사노위 이후 진로(연장포함)는 위와 같은 강령채택 체계를 충실히 수행한 후, 조직이행과정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새롭게 논의해야 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