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Syria: So Many Deaths, So Many Illusions to be Shattered

  • 분류
    계급투쟁
  • 등록일
    2011/06/14 13:45
  • 수정일
    2011/06/14 13:45
  • 글쓴이
    자유로운 영혼
  • 응답 RSS

Syria: So Many Deaths, So Many Illusions to be Shattered

http://www.leftcom.org/files/images/2011-04-18-syria-protest.preview.jpg

The Revolt

Since March Syria has been the scene of mass murder. More than 1300 people, including young children, are dead (compared with the 800 deaths that were required before the Army’s removal of Mubarak in Egypt) and as we write another 70 died in Hama and other places after another Friday of protest. The respons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been noticeable by it feebleness. Syria has for decades been designated a “state sponsor of terrorism” by the United States and is already under a sanctions regime but there has been no US call for the Assad regime to go. Significantly no UN resolution against Syria has been tabled, no attempt to intervene militarily as in Libya and only feeble verbal condemnation by Obama et al.. It is clear that the tragedy for the Syrian demonstrators is that there are no petrodollars or oil supplies at issue. And it is clear that the West or Israel would not necessarily welcome “regime change” in Syria since this would throw the Middle East into even more turmoil than ever. The Assad regime supported by its imperialist allies in Iran [who have sent advisers on how to deal with street unrest — something they have long experience of], and Russia and China, has been allowed a free hand to brutally suppress all the demonstrations since March. This harks back to another episode in recent Syrian history.

 

In February 1982 the Muslim Brotherhood organised a rising of 5000 armed men against the current Assad’s father, Hafez, in the town of Hama. The result was that the Army surrounded the town, cut off the water, electricity and telecommunication lines and began to bombard it. Not a single person could escape and it is reported that even supporters of the regime were killed by the Army. As many as 20,000 people may have died in that massacre. The message was clear and understood. Any resistance would be dealt with without mercy. Since then, until this March there have only been intellectual voices raised in protest at the corruption of the regime and the stagnation of the economy. The current risings in different places broke out when the regime arrested a dozen children for putting up anti-regime graffiti in Daraa.

 

However the inspiration for the present “uprisings” obviously comes from the examples of Tunisia and Egypt, and elsewhere in the Arab world. As elsewhere those taking part are largely the young, unemployed or casual workers as well as those elements of the middle class who have received a university education but at least 20% of whom are unemployed. Like their counterparts elsewhere (including the richer capitalist countries) they have no hope of a future. They cannot marry or find meaningful paid work and most live off their parents. The industrial working class as a whole has not yet joined in to a wide degree, nor on class terms, but only as individuals in the demonstrations. Like other revolts of “the Arab Spring” the main demands are for an end to the current ruling caste’s rule and the introduction of “democracy”. They are principally demanding that Article 8 of the Constitution which designates “the Arab Socialist Baath Party” as the leadership of the state, alongside an undefined “nationalist and progressive front” be rescinded and the Assad regime be overthrown. The main slogan in every demonstration has been simply for an end to the Assad regime. The revolt though is not as cohesive as in Tunisia and Egypt and up to now amounts to separate movements in this or that town or village.

 

A Little on its Origins

At first sight the regime looks to be in a perilous position. After all it is based on uniquely Syrian Muslim minority the Nusayri (1) which took the name Alawites on the insistence of the French colonialists who promoted them after 1919. France was “mandated” to run Syria and Lebanon, also snatched from the Ottomans by the Treaty of Sevres at the end of the First World War. This was supposed to be until the Syrians (who had never existed as a nation) were “able to govern themselves” as it was patronisingly expressed in imperialist circles at the time. The Alawites are a bizarre set of Muslims (no condemnation of alcohol, no observance of many tenets of basic Islamic worship [like not going to the mosque] and honouring Christian saints being the most unorthodox). They are usually mistakenly called Shiites since they also profess allegiance to Ali, the Twelfth Imam revered by all Shia, but in Syria they are a minority of less than 7% (no-one knows exactly since Syrian censuses avoid religious denomination issues) in a country made up of minorities both religious and secular, including Kurds, Druze Muslims and Christians but which has a huge (estimated at 75%) Sunni majority. Under the French, the Alawites, along with other minorities, for the first time enjoyed subsidies, legal rights and lower taxes than their Sunni counterparts and were promoted as counterweights to the pro-Ottoman Sunnis. They particularly thrived in the Army. As the Alawites were mainly rural peasants they found the Army a useful means of social mobility and because after 1946 they could not pay the exemption tax more Alawis were in the Army at every level than their numbers in society would merit. This was something the Sunnis, who once again dominated Syria after the French mandate expired in 1946, overlooked. They weeded the Alawites out of the government, business, the legal profession and civil services but not the armed forces. The Alawites (who are themselves divided into 4 rival clans) found a unifying vehicles in the Ba’ath (Renaissance) Party (founded 1947). With its secular and “Arab socialist” ideology it divided the Sunnis but appealed to most Alawites. It did not end their rivalries but became a vehicle for them to rise to power. After a series of military coups the Ba’ath party was in power by 1963 and in 1970 the bloodless coup of the then Defence Minister Hafez al-Assad (father of current President Bashar al-Assad), not only established Ba’athist power, but also unified the Alawite clans. This has been the rock on which the regime has rested giving favours to other religious minorities, and some carefully selected Sunnis, in order to maintain a wide enough power base.

 

The regime has faced a number of crises (the murder of Lebanon President Hariri and the subsequent Syrian withdrawal from Lebanon in 2005, the Hama incident described above etc) but the biggest crisis the regime has faced so far has been the death of Hafez al-Assad in 2000. This led to the accession of the trainee eye doctor Bashar al-Assad. Bashar had to give up his chosen career when his elder brother Basil died in 1994. After that he was hastily drafted into the Army achieving rapid promotion to Colonel. When his father finally died the Constitution was changed (he was 34 and previously you had to be 40 to become President) to allow him to slide into office. All this was so that the Ba-athist old guard, the Alawite elite and especially the Assad family could continue to hold things together. Whilst his uncles cousins and younger brother control military intelligence, business is dominated by his mother’s family, the Makhloufs (in fact so dominant are they that the standard ironic reference in Syria is to the country as “Makhloufistan”). Needless to say corruption operates as it did in Egypt and Tunisia at every level of the state and the intelligence services are everywhere.

 

Jisr al-Sughour

As Syria does not lack international friends (unlike Ghaddafi) the Assad regime is not in such a desperate situation. Its weakness may lie in the fact that thought the elite troops in the Syrian Army are Alawite (amounting to some 200,000) the conscripts are Sunnis (300,000). In the current repression the main perpetrators have been other minority troops (Kurds, Druze etc.) (2) but the situation in Jisr al-Sughour suggests that the first cracks in the military may be appearing. Information is scanty and unverified but with the Government claiming that 120 members of the security forces were killed there the suggestion is that these were in revolt at the actions of the Government. This cannot be confirmed but the next episode in the bloodbath is already being prepared. As we write 30,000 Government troops have surrounded the town and have burned the crops in the fields around it. All those who can have fled, either to Turkey, where the Red Crescent have set up camps (with Turkish troops preventing international press access), or to Syrian coastal towns. Some have suggested that the town is already a ghost town with only those “too poor” to leave left behind. Electricity and water have been cut off in advance of the expected onslaught by Government troops. It smells of Hama in 1982.

 

So far this is a situation in which a largely unarmed civilian movement demands “democratic rights” whilst the “democratic” world watches on without raising a finger. It not only demonstrates the bestiality of the Assad regime but also the bankruptcy of the decaying social system that is modern capitalism. And the tragedy is that those people, like those in the rest of the Arab world, who are demonstrating and dying for “democracy” will have to learn to their own great hurt and chagrin that the cult of capitalist democracy is the best means for their further vicious exploitation (albeit in more “civilised” garb). No-one and no words can persuade them of anything else. They will have to learn it through their own bitter experience — that is, if they are allowed to …

Jock
 

(1) After Ibn Nusayri, the sect’s founder in the nineteenth century.

(2) Although reports are contradictory. Since no foreign journalists are allowed in the country many of their factual statements have to be taken as provisional. Some report that most of the repression has been carried out by the 4th Armoured Division headed by the President’s younger brother, Maher.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스페인 “분노한 사람들”과의 연대 –

  • 분류
    계급투쟁
  • 등록일
    2011/06/07 23:08
  • 수정일
    2011/06/07 23:08
  • 글쓴이
    자유로운 영혼
  • 응답 RSS

스페인 “분노한 사람들”과의 연대 –

미래는 노동자 계급의 것이다!

 

 

 

대중매체는 오바마의 '의기양양한' 유럽방문이나 성추행혐의로 구속된 IMF총재 도미니크 스트라우스-칸 스캔들로 가득 차 있는 반면 유럽을 강타하고 있는 진정한 격변에 대해서는 우리에게 그리 많이 알려주지 않는다. 이 격변은 스페인에 중심을 두고 있지만 그리스에 직접적인 반향을 갖고 있으며 다른 나라들에서도 일어나려 위협한다.

 

스페인에서의 사건들은 실업, 사파테로정부의 긴축정책 및 정치가들의 부정부패 등에 대해 반항하는 엄청난 수의 사람들, 특히 젊은이들이 마드리드의 푸에르따 델 솔(태양의 문) 광장을 점거하면서 5월 15이래 전개되고 있다. 이 사회운동은 소셜 네트워크(페이스북, 트위터...)와 유튜브에 올려 진 비디오들을 통해서 바르셀로나, 발렌시아, 그라나다, 세비아, 말라가, 네온과 같은 스페인의 대도시로 들불처럼 빠르게 번져나갔다. 그리고 이런 방식을 통해서 우리는 스페인 밖에서도 그 운동에 대해 정보를 얻는다. 왜냐하면 부르주아 매체들은 이 사건들에 대해 상당히 많은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기 때문이다. 매체들이 오히려 오바마나 도미니크 스트라우스-칸이나 셔릴 콜의 여행 쪽으로 우리들의 관심을 돌리려 한다면, 그 이유는 스페인에서의 이러한 운동이 자본주의라는 막다른 골목에 직면한 세계노동자계급의 투쟁과 사회투쟁들의 발전에 있어 매우 중요한 한 단계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 운동의 전제들

 

스페인에서 “분노한 사람들”의 운동은 연금개혁안에 대항해 일어난 2010년 9월 29일의 총파업 이래 무르익어왔다. 이 총파업은 노조가 정부와 협상하여 개혁안(40-50세의 현 노동자들은 그들이 정년 퇴직 시 현재 연금수령자들보다 20% 낮은 연금을 받게 되는 것)을 수용함으로써 패배로 끝났다. 이러한 패배는 노동자계급 내에 깊은 실망감을 안겨 주었다. 그러나 이것은 또한, 특히 노동자들의 피켓과 함께, 연대감을 표현함으로써 그 파업운동에 활발하게 참여했던 젊은이들 사이에서 깊은 분노를 유발했다.

 

2011년 초부터 그러한 분노는 대학들에서 날카로워지기 시작했다. 지난 3월 포르투갈에서는 '비정규직 젊은이들'이라는 그룹이 제안한 시위에 리스본에만 25만 명이 모여들었다. 이 는 스페인의 대학들에, 특히 마드리드에서 큰 영향을 미쳤다. 대다수의 학생들과 30대 미만의 젊은이들은 시간제 일을 하며 월 600유로로 살아야만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백여 명의 학생들이 '호베네스 신 푸투로' (미래 없는 젊은이들)이라는 그룹을 형성하게 되었다. 주로 노동자계급출신인 이 가난한 학생들은 4월 7일 시위를 소집했다. 5천명의 사람들이 함께 모여들었고, 이렇게 처음의 동원이 성공함으로써 호베네스 신 푸투로 그룹은 5월 15일 시위를 계획하게 되었다. 그러는 동안 마드리드에서 데모크라시아 레알 야(진정한 민주주의를 지금)이라는 공동체가 출현했다. 그것의 강령은 실업과 “시장의 독재”를 비판하지만 좌파도 우파도 아닌 “비정치적”임을 주장한다. 데모크라시아 레알 야 역시 다른 구역들에서 5월 15일에 시위를 할 것을 호소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25만 명의 시위대가 참가함으로써 거대한 성공을 이룬 것은 마드리드에서였다. 처음의 의도는 푸에르타 델 솔 광장에서 조용히 끝나는 평화적인 행진을 하는 것이었다.

 

 

민중 전체에게로 번진 '미래 없는' 젊은이들의 분노

 

데모크라시아 레알 야 공동체가 호소한 5월 15일의 시위들은 굉장한 성공이었다. 그들은 일반적인 불만을, 특히 졸업과 함께 실업문제에 직면하게 되는 젊은이들 사이에서의 전반적인 불만을 표출했다. 모든 것은 그곳에서 끝나게 되어있었지만 마드리드와 그라나다에서의 시위들의 끝에는 작은 '블랙 블록' 그룹들에 의해 유발된 사건들이 발생해서, 경찰 개입으로 20명이 체포되었다. 체포된 사람들은 경찰서에서 잔인하게 다뤄졌고 그 이후 이들은 경찰폭력을 비난하는 성명서를 발표하는 공동체를 형성하게 되었다. 이 성명서의 공개는 즉각적으로 분노의 반응을 불러일으켰고 공권력에 대항한 연대를 확산시켰다. 전혀 알려지지 않고 조직화되지도 않은 사람들 30명이 푸에르타 델 솔광장에 캠프를 치기로 결정했다. 이러한 발의는 즉시 사람들의 동감을 얻었고 이러한 예는 바르셀로나, 그라나다 및 발렌시아로 확산되었다. 경찰의 제 2차 진압은 도화선에 불을 붙였고 그 이후 중앙광장들에 점점 더 증가된 대대적인 집회들이 70개 이상의 구역들에서 개최되었다.

 

5월 17일, 화요일 오후에 '5월 15일 운동'의 조직자들은 조용한 시위나 다양한 극적 퍼포먼스들을 가질 계획이었지만, 광장들에 모여든 군중들은 집회를 갖자고 소리 높여 외치기 시작했다. 저녁 8시 집회들이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발렌시아 및 다른 도시들에서 개최되기 시작했다. 18일 수요일부터는 정말로 이러한 집회들이 쇄도하게 되었다. 모든 곳에서 집회들은 공공장소에서의 공개적인 총회의 형식을 띠었다.

 

경찰의 진압에 직면하여 그리고 시 및 지방선거를 앞두고, 데모크라시아 레알 야 공동체는 스페인의 “민주주의의 퇴행”이라는 테마를 둘러싼 논쟁을 시작했다. 그것은 프랑코체제의 붕괴이후 34년간의 “불완전한 민주주의”이후 “진정한 민주주의”를 외치며, 사회당(PSOE)과 우익 대중당에 의해 독점된 2당 체제를 끝장내기 위한 선거개혁을 요구했다.

 

그러나 '분노한 자들'의 운동은 대부분 데모크라시아 레알 야의 민주주의적 개혁주의적 강령을 뛰어넘었다. 그것은 “600유로세대”의 반란으로 제한되지 않았다.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발렌시아, 말라가, 세비아 등의 점거된 광장들과 시위들에서, 현수막과 깃발들 위에는 다음과 같은 구호를 볼 수 있었다: “자본 없는 민주주의!”, “PSOE와 PP, 다 같은 쓰레기!”, “너희들이 우리들의 꿈을 방해한다면, 우리는 너희들의 잠을 방해할 것이다!” , “모든 권력을 총회로!”, “문제는 민주주의가 아니다, 문제는 자본주의다!”, “일자리가 없다, 집이 없다, 두려움도 없다!”, “노동자들이여 깨어나라!”, “ 월 600유로, 지금 그것은 폭력이다!”

 

발렌시아에서 한 여성그룹은, “조부모들이 속임을 당했다, 그들의 자식들도 속임을 당했다, 그 손자손녀들도 속임을 당하게 해서는 안 된다!” 라고 외쳤다.

 

 

대중 집회들은 “미래를 짊어진 무기”

 

부르주아 민주주의에서는, 선거공약을 결코 지키지 않고, 무자비하게 깊어만 가는 경제위기로 인해 요구되는 긴축계획을 그저 계속 실행하는 정치가들 사이에서 4년마다 “선택”하는 것으로 “정치 참여”는 축소된다. 이러한 민주주의의 면전에 스페인에서의 '분노한 사람들'의 운동은 공개 총회라는 노동자계급의 투쟁무기를 자생적으로 다시 채워놓았다. 모든 곳에서 대대적인 도시 집회들이 출현해서, 모든 세대, 모든 피착취 사회계층들을 아우르며 수 만 명의 사람들을 재조직했다. 이러한 집회들에서는 누구나 발언하고, 분노를 표출하고 상이한 문제들에 대해 논쟁하고 제안들을 제시할 수 있다. 사회 전반적인 동요라는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발언들은 자유로워진다. 사회생활의 모든 측면(정치적, 문화적, 경제적...)들이 점검된다. 광장들에서 연대와 상호존중의 기운 속에서 토론된 생각들의 거대한 집단적 물결이 넘쳐났다. 몇몇 구역들에서는 “아이디어 상자들”이 설치되었는데, 여기에는 누구나 종이에 그들의 생각들을 적어서 집어넣을 수 있다. 운동 자체가 매우 지혜롭게 스스로를 조직한다.

 

모든 종류의 문제들에 대해 위원회들이 만들어졌고, 공권력과의 비 조직화된 충돌을 방지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졌다. 총회 내에서의 폭력이 금지되고, 음주도 “라 레볼루시옹 노 에스 보테이온”(대충 번역하자면, “혁명은 곤드레 만드레 만취하는 것이 아니다“)라는 기치로 금지된다. 매일 청소 팀들이 조직된다. 공공매점들이 식사를 제공하고, 자원봉사자들이 어린이들을 위해 보육시설을 세운다. 도서관과 “타임 뱅크”가 세워져서, 여기서 과학, 문화, 예술, 정치 및 경제 등 모든 종류의 문제들에 대해 토론이 이뤄진다. “반성의 날”들이 계획되어 있다. 모든 이가 그들의 지식과 기술을 함께 나눈다.

 

표면적으로는 이러한 사색의 폭발이 아무것도 초래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구체적인 제안들이나 직접적으로 실현 가능한 한 요구들은 거의 없다. 그러나 일어나고 있는 것은 그 분명히 무엇보다도 가난에, 긴축 안들에, 현 사회질서에 대해 느끼는 거대한 염증이다. 그리고 동시에 사회적인 원자화를 돌파하려는, 그래서 함께 모여서 심사숙고하려는 집단적인 의지이다. 많은 환상들과 혼돈들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의 말 속에서 그리고 현수막과 깃발들 위에서 “혁명”이라는 단어가 다시 등장했고 사람들은 그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집회들에서, 논쟁들은 다음과 같이 가장 근본적인 문제들을 제기했다:

 

- “민주주의의 퇴행”에 우리들을 제한해야만 하는가? 문제들의 근원은 개량이 불가능한 완전히 파괴되어야만 하는 체제인 자본주의 자체에 있지는 않는가?

 

- 이 운동은 선거후인 5월 22일에 끝나야만 하는가 아니면 계속 진행되어 생존 조건들에 대한 공격, 실업, 비정규직화, 퇴거에 대항한 대대적인 투쟁으로 발전해야 하는가?

 

- 집회를 작업장으로, 이웃으로, 근무지로, 고등학교로, 대학교로 확대해야 하지 않는가? 전면적인 투쟁으로 이끌어낼 역량을 가진 노동자들 사이에 운동을 뿌리내려야 하지 않는가?

 

집회들에서의 논쟁들에서 두 가지 경향들이 매우 분명하게 나타났다:

 

- 그중 하나는 비 프롤레타리아 사회계층들에 의해 활성화된 보수적인 경향으로서, 자본주의 체제가 “민주주의적인 시민혁명”에 의해 개량될 수 있다는 환상을 씨 뿌린다.

 

- 다른 하나는 프롤레타리아적 경향으로서, 자본주의 철폐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선거당일인 5월 22일 개최된 집회들은, “설혹 선거가 분출구라 할지언정, 그것 때문에 우리가 여기에 있는 것은 아니다 ”라며 운동의 계속을 결정했다. 프롤레타리아적 경향은 실업, 비정규직화, 사회적 공격들에 대항한 요구들을 제시함으로써 “노동자계급을 향해 나아가는” 제안들 속에서 스스로를 분명히 했다. 푸에르타 델 솔 광장에서는 지역들에서 “대중 집회”를 조직하는 것이 결정되었다. 작업장에서, 대학교에서, 근무지에서 그와 같은 것을 하자는 제안들이 이뤄졌다. 말라가, 바르셀로나 및 발렌시아에서 집회들이 사회 임금감축에 대항한 시위를 조직하는 문제가 제기되어, 발언자들 중의 한명의 표현을 빌자면, “이번에는 진짜인 ” 새로운 총파업을 제안했다.

 

스페인의 산업적 수도인 바르셀로나에서, 카탈로니아 광장의 중앙 집회는 가장 과격했고, 프롤레타리아 경향에 의해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민주주의의 퇴행”이라는 환상으로부터 가장 거리가 먼 것처럼 보였다. 그래서 텔리포니카의 노동자들, 병원노동자들, 소방관들, 사회적 삭감에 대해 싸우는 학생들이 바르셀로나 집회에 합류해서 그것에 다른 음색을 부여하기 시작했다. 5월 25일 카탈로니아 광장집회는 병원노동자들의 파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을 결정한 반면, 마드리드의 푸에르타 델 솔 광장 집회는 참여적이고 “수평적인” 민주주의를 실천에 옮기기 위해 이웃지역에서 “대중 집회들”을 이끌어냄으로써 운동을 탈 중심화 할 것을 결정했다. 발렌시아에서는 시위하는 버스노동자들이 학교예산 삭감에 대항한 지역 주민들의 시위에 함께 했다. 사라고사에서는 버스 운전사들이 마찬가지로 열광적으로 집회들에 합류했다.

 

바르셀로나에서는, „분노한 사람들“이 6월 15일까지 캠프를 유지하고 카탈로니아광장의 점거를 계속할 것을 결정했다.

 

 

미래는 노동자계급의 젊은 세대들의 손안에

 

이 운동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든지, 그 결과가 어떠하든지, 실업(스페인에서 20-25세 인구 중 45%가 실업상태)에 직면한 젊은 세대에 의해 시작된 이 반란이 확실히 노동자계급 투쟁의 일부임은 명백하다. 계급의 국제적 운동에 대한 그것의 기여는 부정할 수 없다.

 

그것은 모든 피착취 사회계층들, 그리고 노동자계급의 모든 세대들을 아우른 전면화 된 운동이다. 비록 계급이 “대중적인” 분노의 물결의 일부였고, 대대적인 파업들과 특정한 경제적 요구들을 통해 스스로를 확언하지는 않았을 지라도, 이 운동은 여전히, 세계를 바꿀 수 있는 유일한 계급인 프롤레타리아트 내부의 의식의 진정한 성숙을 표현한다. 그것은 자본주의의 점점 더 명백해지는 파산에 직면해 상당수의 사람들이 서유럽의 “민주주의” 나라들에서 떨쳐 일어나기 시작해서 프롤레타리아 투쟁의 정치화를 향해 길을 열어 감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이 운동은 그 절대다수가 비정규직 노동자이거나 실업자인 젊은이들이 노동자계급의 무기들, 즉 대대적이고 공개적인 총회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무기들을 통해서 그들은 자신들의 연대를 확인하고 정치적 정당들과 노동조합의 외부에서 운동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었다.

 

비록 소수 중에서 일지라도, 그 운동 내부에서 출현한, “모든 권력을 집회들로”라는 슬로건은 러시아 혁명의 옛 슬로건,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의 리메이크이다.

 

오늘날 사람들은 (옛 동구권의 스탈린주의 체제의 붕괴 이후 부르주아 캠페인의 무게 때문에) 여전히 “공산주의”라는 단어를 두려워할 지라도, 그와는 반대로 “혁명”이라는 단어는 누구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운동은 데모크라시아 레알 야 공동체가 주장하는 그러한 “스페인 혁명”이 결코 아니다. 착취당하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실업, 비정규직화, 높은 생활비용 및 생활조건의 끊임없는 악화는 결코 스페인만의 특수성은 아니다! 특히 젊은이들 사이에서 실업이라는 어두운 얼굴은 마드리드에서와 마찬가지로 카이로에서, 파리뿐만 아니라 런던에서, 부에노스 아이레스 뿐만 아니라 아테네에서도 모습을 드러냈다. 우리는 이러한 하향 곡선 속에서 모두 함께이다. 우리는 모두가 자본주의 사회의 부패에 직면하고 있는데, 이러한 부패는 가난과 실업에서뿐만 아니라 재앙과 전쟁의 증가 속에서도, 사회관계들의 혼란과 증대되는 도덕적 야만성(이는 무엇보다도, “제 3세계”와 “선진”국가들 모두에서 여성들에 대한 성적 공격과 폭행에서 표현됨)에서도 그 모습을 드러낸다.

 

“분노한 사람들”의 운동은 혁명이 아니다. 그것은 “미래 없는” 젊은이들에게 그리고 인류 전체에게 전망을 열어줄 수 있는 유일한 투쟁인, 세계 규모의 노동자계급투쟁의 발전에서 단지 하나의 새로운 단계이다.

 

“푸에르타 델 솔의 독립공화국”에 관한 그 모든 환상들에도 불구하고, 이 운동은 새로운 사회의 지평이 낡은 사회의 내장 속에서 그 형상을 만들어가고 있다는 증거이다. “스페인 격변”은, 잃을 것이 없는 노동자 계급의 신세대들이 역사라는 무대 위에서 이미 배우들로 되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들은 인류의 해방의 길을 정화할 훨씬 더 거대한 폭풍들의 선봉들이다.

 

인터넷, 소셜 네트워크 그리고 핸드폰의 활용을 통해 이 젊은 세대는, 부르주아지와 그 매체들의 침묵을 돌파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국경을 넘어선 연대의 기초를 놓았다.

 

이 새로운 세대는 2003년부터 국제 사회의 무대에 등장했는데, 처음에는 부시 행정부의 이라크에 대한 군사적 개입에 대항한 항의들(많은 나라들에서 젊은이들이 부시의 정책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음)에서 그런 다음은 프랑스 연금개혁에 대항한 최초의 시위들에서였다. 이는 2006년 같은 나라에서 CPE에 반대하는 대학생 및 고등학생들의 대대적인 운동과 더불어 재등장했다. 그리스, 이탈리아, 포르투갈, 영국에서 수학중인 젊은이들은 자본주의가 그들에게 제공하는 절대빈곤과 실업이라는 미래에 대항하여 목소리를 높였다.

 

이 “미래 없는” 세대의 물결은 최근 튀니지와 이집트를 강타해서 벤 알리와 무바라크를 넘어뜨린 거대한 사회반란을 낳았다. 그러나 주요 “민주주의” 국가들에서 부르주아지(특히 버락 오바마)가 벤 알리와 무바라크를 버리도록 강제한 결정적인 요소는 노동자 파업들의 출현과 총파업운동의 위험이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그 이후, 타흐리르 광장은 여러 나라들에서 프롤레타리아트의 젊은 세대들에게 하나의 상징이 되었고, 투쟁을 고무하는 것이 되었다. 이것을 모델로 삼아 스페인의 “분노한 사람들”은, 푸에르타 델 솔 광장에 캠프를 쳤고, 70여 구역들의 주요 광장들을 점거했으며, 모든 억압받은 사회 계층들을 집회들로 끌어들었다(바르셀로나에서는 “분노한 사람들”이 심지어 카탈로니아광장을 “플라사 타흐리르(타흐리르 광장)”으로 이름을 바꿔 부르기도 했다).

 

스페인에서의 운동은, 사실, 카이로의 타흐리르 광장에서 결정화된 극적인 반란보다 훨씬 더 심오하다. 그것은 두 대륙을 잇는 다리인 이베리아 반도의 주요 국가에서 발생했다. 그 운동이 서유럽의 “민주주의”국가(게다가 “사회주의” 정부가 이끄는!)에서 펼쳐지고 있다는 사실은 튀니지에서의 “재스민 혁명”이래 매체들에 의해 전개되는 민주주의적 신비화들을 침식할 수밖에 없다.

 

게다가, 데모크라시아 레알 야가 이 운동을 “스페인 혁명”이라 부를 지라도, 스페인 국기는 거의 나부끼지 않았던 반면, 타흐리르 광장은 국기가 물결쳤다. 1)

 

이 운동을 동반하는 불가피한 혼동들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오늘날 사회투쟁들의 사슬에서 하나의 매우 중요한 연결점이다. 자본주의의 세계적 위기의 악화와 더불어 이러한 사회운동들은 점점 더 프롤레타리아 계급투쟁과 만나게 되고 그 발전에 기여하게 된다.

 

이 “분노한” 세대에 의한 용기와 결단과 깊은 연대감은 다른 세계가 가능함을, 세계 인류공동체의 통일인 공산주의가 가능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인류의 이 오랜 꿈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사회의 모든 부의 본질적인 것들을 생산하는 계급인 노동자계급이 자본주의의 모든 공격들에 대항해 대대적인 투쟁들을 전개함으로써 그 계급 정체성을 재발견해야 한다.

 

“분노한 사람들”의 운동은 다시 한 번 혁명의 문제를 제기하기 시작했다. 자본주의의 타도를 목표로, 운동에 분명한 계급적 방향을 부여함으로써 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세계 프롤레타리아트에게 달려있다. 상품생산과 이윤에 기반 한 이 착취체제를 무너뜨린 그 폐허 위에서만 새로운 세대들은 새로운 사회를 건설할 수 있고, 진정 보편적인 “민주주의”를 성취하고 인류에게 존엄성을 회복시킬 수 있다.

 

Sofiane, 2011년 5월 27일

  

주)

1. 반면에, 우리는 “세계 혁명”을 요구하며 국경을 넘은 운동의 “확대”를 주장하는 슬로건들도 보았다. 모든 집회들에서 “국제”위원회가 하나씩 만들어졌다. 유럽과 아메리카의 대도시들에서, 심지어 도쿄, 프롬펜과 하노이에서 연대 시위를 볼 수 있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계급의식, 계급무의식 그리고 혁명 - 오세철

  • 분류
    잡기장
  • 등록일
    2011/06/07 11:18
  • 수정일
    2011/06/07 11:18
  • 글쓴이
    자유로운 영혼
  • 응답 RSS

쇠퇴기 접어든 자본주의, 혁명의 객관적 조건 만들어

좌파진영에서 모처럼 맑스주의와 정신분석학의 관계 정립을 요구하는 견해가 제출돼 주목된다.

4일 오후 서울대(인문대학 3동 108호)에서 열린 제5회 맑스코뮤날레(그룹세션: 역사와 계급의식/사회실천연구소)에서 오세철 교수는 ‘계급의식, 계급무의식 그리고 혁명’ 제하의 주제발표를 통해, 맑스 이론의 변증법적 통합을 강조하면서 맑스, 트로츠키, 라이히 등 계급에 의해 조건화된 계급 무의식에 대한 이해를 통해 맑스주의와 정신분석학의 올바른 관계 정립이 요청된다고 밝혔다.

오세철 교수는 “혁명주체로서의 프롤레타리아트가 자본주의 체제의 억압의 산물”이기에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더 깊은 구조가 물질적 힘을 지니고 있다는 이론과 실천의 도움을 받지 않고서는 객체이면서 주체인 프롤레타리아트를 구체적으로 해명할 수 없”다면서 이는 “계급무의식의 문제이며 맑스주의와 정신분석학의 만남의 문제로 나아가게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맑스 이후 1세대 혁명가들 가운데 가장 적극적으로 정신분석학을 방어한 사람은 트로츠키”로 프로이트 이론을 유물론으로 주장했으나, 스탈린주의자들에 의해 소부르주아적, 퇴폐적, 관념적 이론으로 비판 받았으며, “1930년 「인간행동대회」에서 쟐킨드가 사회주의 건설에 프로이트 사상이 해악적임을 비난하는 연설로 종지부를 찍었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아울러 “소련보다 훨씬 정신분석학 이론 발전의 중심부였던 유럽에서는 훨씬 더 끈질기게 맑스주의와 정신분석의 만남이 지속되었다”며 “바로 그 중심에 빌헬름 라이히가 있다”고 소개하고 “러시아 혁명 이후 소련에 가서 공산주의 혁명의 완전한 실현을 위해 성性혁명을 주장하고  다녔던 그는 결국 스탈린주의자들에 의해 축출 당했고 독일공산당에서도 제명당했다”고 밝혔다.  

오세철 교수는 “자본주의는 단발마적 고뇌에 빠지는 종말로 가는 쇠퇴기에 접어들었다”고 진단한 다음 “세계혁명의 실패, 파시즘과 스탈린주의라는 반혁명적 세력의 등장, 두 번의 세계대전을 통한 생산력의 파괴와 프롤레타리아트의 죽음, 2차 세계대전 이후 25년간의 일시적 호황, 신자유주의의 증장, 이른바 ‘현실사회주의국가’로 불리웠던 국가자본주의 국가의 몰락, 그리고 끊임없는 전쟁과 생태적 위기, 국가부채의 엄청난 증가를 통한 재정위기 등의 공황은 다사 한 번 전 세계 프롤레타리아트의 계급투쟁을 가속화시키며 야만인가 혁명인가를 선택하게 하는 혁명의 객관적 조건을 만들고 있다”며 세 가지를 제안했다.

첫째, 맑스, 루카치, 그리고 가치형식 이론에 대한 이해를 통해 자본주의의 물상화가 프롤레타리아를 예속시키고 지배하는 기제와 방식을 철저하게 연구하는 동시에, 노동자가 가치증식을 넘어 실질적 부의 창조(공산주의 물질적 기초가 되는)의 주체로서 가치형식을 깨뜨리는 능력과 방식을 연구해야 한다.

둘째, 맑스, 트로츠키, 라이히 등 계급에 의해 조건화된 계급 무의식에 대한 이해를 통해 맑스주의와 정신분석학의 올바른 관계를 정립하고, 프롤레타리아트의 욕망과 그 억압 그 구체적 형태에 대한 인식이 자본주의 철폐뿐만 아니라 공산주의 사회건설 계획의 일부임을 확인해야 한다. 전도된 의식과 억압된 무의식으로부터의 해방은 분리되어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셋째, 프롤레타리아트가 혁명의 주체임에 틀림없으나 위 두 가지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하면서 공산주의 사회의 원칙과 방향을 제시하고 프롤레타리아트와 함께 혁명의 주체가 되는 공산주의자 조직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조직은 혁명당이며 그 강령과 혁명전략 전술은 물상화와 무의식에 대한 구체적 연구성과에 기반해야 한다.   (츨처 :한국인권뉴스)




▒ 발제문 전문

 

 

 

제5회 맑스코뮤날레 그룹세션 2011. 6. 4 서울대 / 역사와 계급의식 – 사회실천연구소

 

계급의식, 계급무의식 그리고 혁명

 

오세철 (사회실천연구소,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1. 여는 말

  하나.

  80년 광주항쟁 이후 맑스주의 이론에 대한 폭넓은 탐구를 하는 과정에서 맑스주의와 정신분석학의 올바른 만남에 주목하게 되었고, 특히 그 가운데 프로이트의 한계를 넘어서서 맑스주의와의 변증법적 통합을 시도하고 나름대로의 혁명적 실천을 한 빌헬름 라이히를 만나게 되었다. 1983년  「현상과 인식」 봄 호에 「빌헬름 라이히의 사회사상과 정신의학의 비판이론」 이란 글을 실었다. 그 후 1986년 그의 가장 유명한 책  「파시즘의 대중심리」 를 우리말로 옮겨 출간했다.

  그 당시 여러 곳에서 맑스주의, 사회심리학, 혁명 사이의 관계를 발표하게 되었는데, 이른바 그 당시 운동권은 나를 맑스주의 또는 사회주의로부터 이탈한 강단 사회심리학자로 비웃었다. 나는 아직도 맑스주의자로 자처하며 공산주의를 향한 혁명적 실천에 함께하고 있으며,  「맑스주의 심리학」 이라는 부제를 단 사회심리학 과목을 맑스주의에 관심이 많은 학생들과 함께 만들어가고 있다.

 

  둘.

  좌익 공산주의 혁명그룹의 하나인  「국제공산주의흐름」 이 펴내는 이론지  「국제평론」 에서는 「과학과 맑스주의 운동」 이라는 특집을 2009년부터 연재하고 있는데, 2009년에는 찰스 다윈 특집으로 안톤 판네쿡의  「다윈주의와 맑스주의」 를 포함시켰고, 2010년 140호에서는  「프로이트의 유산」 이라는 글을 실었다. 140호까지 나오는 동안 정신분석학에 대해 전혀 다루지 않던 정통 맑스주의 혁명그룹의 변화이다.

  이제야 우리는 사회주의(공산주의) 혁명, 혁명당, 그리고 계급의식을 공개적으로 말하고 그 구체적 실천을 고민하고 준비하고 있다. 사회실천연구소는 그러한 고민의 산물이었지만 이제야 회원들이 집단적으로 참여하여 공동의 주체인  「계급의식」 으로 이번 맑스 꼬뮤날레에 선을 보인다. 그 중에 한 사람으로 나는 지금까지 이 문제에 대한 고민의 편린을 이 짧은 글에 드러내며, 이 중심 화두인  「계급의식」 을 붙잡고자 한다.

 

 

2. 맑스주의 올바로 세우기

 

  아직도 맑스주의 내부에서는 “청년 맑스”와 “장년 맑스”, “주체주의적 입장”과 “객관주의적 입장”, “기계론”과 “자율론”의 허구적이며 피상적 대립이 끈질기게 버티고 있고 공산주의 실천의 역사, 보기를 들어 제1,2,3 인터내셔널의 역사도 혁명 전략과 전술의 대립으로 점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분법은 맑스에 대한 편향된 독해와 이해에서 비롯되었고 맑스의 저작에서 취사선택한 강조점의 차이이기도 하다. 맑스 역시 그가 살았던 자본주의 발전 단계의 역사적 한계에 갇혀 있었던 것도 사실이고 공산주의 혁명의 예견에 대한 성급함도 있었지만, 그것은 역사에 대한 총체적 인식으로부터 벗어나기는커녕 그를 더욱 구체적으로, 더욱 이론적으로 형성해 온 과정이었다. 특히 그것은 늦게 알려져 출간된  「요강」(Grundrisse) 으로 증명되었다. 보기를 들어 정치경제 분석과 의식의 통합은 「자본」 의 수고를 모은 「요강」에 잘 드러나 있다.

 

  젊은 “미성숙한” 맑스가 소외를 말했다고 하지만 그것은 자본 1권에서 장년의 맑스의 「물신성」 으로 발전하기 때문이다. 그는 생산관계의 실현은 상품경제의 내부구조로부터 나오고 물신성은 사회의식의 현상일 뿐 아니라 사회적 존재의 현상이라고 말한다. 이처럼 맑스 저작에서는 다양한 형식을 취한다. 1844년  「경제학철학수고」 에서는 공산주의가 인간 본성의 회복이라 하면서 내용에서는 헤겔을 비판하지만 개념은 헤겔로부터 빌려오며, 1855년  「포이에르바흐에 대한 테제」 에서는 오히려 역사 밖에서 추상적으로 남아있는 인간 본질을 비판하면서 사회관계의 총체로서의 현실을 말한다. 물론 그 사이 1845~46년,  「독일 이데올로기」 와 1847년  「철학의 빈곤」 에서 인간을 보다 구체적 의미로 사용하여 구체적 인간활동과 창조적 활동의 세계로 사물의 세계를 사고한다.

 

  우리는 맑스주의 올바로 세우기에서 다시 한 번 총체성을 획득하는 맑스주의 방법론으로 나아가야 하며, 이를  「계급의식」 이라는 주제에 초점을 맞추는 데에는 두 가지 흐름, 하나는  「물상화」 의 이론적 발전을 통한 계급의식의 획득과 혁명의 가능성으로, 다른 하나는 맑스주의와 정신분석학의 만남을 통한 계급무의식과 혁명의 가능성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3. 물상화, 계급의식 그리고 혁명

 

  맑스의 비판이론은 인간과 인간 사이의 사회관계가 도치되어 사물의 관계로 보이는 “교란” 되거나 “변태적” 형식의 가치에 기반한 문명과 생산양식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교란된 형식”을 재생산하는 것은 노동계급의 추상노동이다. 게오르그 루카치는  「역사와 계급의식」(1923) “물상화와 프롤레타리아트의 계급의식”장에서 이러한 상품물신성이 결합되어 가치형식의 효과가 사회를 장악하는 상품물신성이론을 발전시켰다. 맑스의 방대한 “경제적” 수고가 출간되기 전에 루카치의 업적을 통한 이론적 돌파는 의미 있는 진전이었다.

 

“자본주의 체제가 지속적으로 더더욱 높은 수준에서 스스로 경제적으로 생산하고 재생산하는 것과 같이 물상화의 구조는 인간의 의식 속으로 점점 더 깊이, 더 운명적으로, 더 결정적으로 가라앉는다.”

 

  그러나 루카치는 주체이며 객체인 프롤레타리아트가 물상화의 예속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는 주장을 했다. 그에게는 부르주아지의 의식이 사회적 상황의 즉시성만 이해할 수 있는 자본에 의해 부과된 물상화된 형식 안에 갇혀 있는 반면, 노동자는 상품으로서의 자신을 깨달을 수 있기 때문에 그렇다는 것이다. 상품 안에서 노동자는 그 자신뿐만 아니라 그 자신과 자본과의 관계를 인식하기 때문이다.

  요약하면 루카치에게 노동자가 예속된 물상화에도 불구하고 노동계급을 위한 탈출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것은 그 가능성이 노동과정 자체에 내재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진정으로 프롤레타리아트가 물상화된 의식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루카치의 당위론적 주장은 이론적으로나 사회학적으로나 만족스럽지 못하다.

 

“그 존재의 변증법적 본질을 깨닫게 되는 프롤레타리아트에게는 삶과 죽음의 문제인 반면, 부르주아지는 일상생활이 역사적 과정의 변증법적 구조를 감추기 위해 물상화의 추상적 범주를 사용한다...”

 

  그러나 존재의 변증법적 본질을 깨달을 “필요성”이 어떻게 프롤레타리아트가 물상화의 효과를 벗어나게 할 수 있을까? 루카치가 이 글을 쓴 지 1세기가 된 지금 어떻게 프롤레타리아트가 자본주의의 물상화 경향을 극복하고 실천을 통해 상품물신성의 사슬을 끊어낼 수 있는지는 맑스주의가 부딪히고 있는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문제이다.

 

  이 문제에 대한 대답의 기초는 루카치 시대에 대부분 출간되지 않은  「자본」 의 1861~63 수고인  「요강」 에 있다 (잉여가치론 포함됨). 그리고 “생산의 직접과정의 결과”와  「자본」 의 독일어 초판(1867)의 1장과 부록[상품의 이중본질(추상가치와 사용가치)과 그를 생산하는 노동(추상노동과 구체노동)]에 있다.

  이러한 쟁점은 가치형식 이론가들에 의해 이론적으로 정교화 되었다. 야페는 루카치의 주장에 직접 도전한다.

 

“결정의 자유를 가지기 위해 족쇄는 상품 형식 밖에 있어야 한다. ... 그러나 물상화된 사회에서는 자율적이고 의식적인 주체는 있을 수 없다. ... 가치는 생산의 형식으로 존재하는데 제한되지 않는다. 가치는 의식의 형식이다. 그것은 칸트의 의미로 선험적 형식이다. 주체가 의식하지 않는 틀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자연스럽게“ 나타나고 역사적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다르게 말하면 가치에 의해 형성된 주체가 생각하고, 상상하고, 원하고 행하는 것은 항상 상품, 화폐, 국가권력, (법적) 권리의 형식 아래에서 보이기 때문이다.”

 

  야페의 분석에서 분명한 것은 루카치와 반대로 외부적으로 종속되어 있는, “스스로” 자본주의에 존재론적으로 반대되는, 프롤레타리아트를 포함한 주체는 없다. 그러나 그가 프롤레타리아트에 대한 물상화된 의식의 영향력에 대한 루카치의 주장에 강력한 도전을 하지만, 그 또한 이론적으로는 자본주의적 사회형식의 전복에 필요한 의식을 발전시키는 것으로부터, 즉 물상화된 사회관계를 파괴하는 것으로부터 노동계급을 제외시키지 않았는가를 자문해야 한다. 상품물신성은 신비화, 허위의식, 그리고 노동자 스스로 그리고 당을 통해 찢어버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사회적 존재의 국면, 즉 현실적 자본주의 사회관계의 결정요인이기 때문이다.

 

  야페와 비슷하게 포스톤도 임노동, 임노동계급, 그리고 계급투쟁이 자본주의 역사적 발전의 추동력임을 말하지만 그 투쟁이 자본주의를 넘어서는 행동양식이기보다 자본주의를 구성하는 요소라고 본다. 두 사람은 자본 자체도 “자동적 주체”라고 보고 임노동과 노동계급 모두 자본을 구성하며 그 안에 갇힌다고 본다.

  그들에게 계급투쟁은 자본주의 사회관계 내에서 구체적인 경제, 정치 형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화와 수정을 가져오지만 자본주의 체제 자체를 전복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퇴로가 없는 자본주의의 궤적에 대한 프랑크푸르트 학파, 특히 아도르노의 분석과 같은 “패배주의적” 위험성을 안고 있다. 맑스의 예측과 반대로 계급양극화와 프롤레타리아트 혁명을 부정한 프랑크푸르트 학파는 호르크하이머가 종교로, 아도르노가 미학으로 눈을 돌림으로써 계급의식 이론을 포기했으며 혁명적 맑스주의로부터 우울한 베버좌파로 이동했다. 이와 같은 좌파비관론은 자기모순에 빠지게 된다. 다시 말해 물상화가 총체적이라면 비판도 스스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은 자본주의 사회가 기계와 기술에 종속되어 생산과정이 시공간으로 분열될 수밖에 없다는 군터 앤더스의 입장과 유사하다. 이와 같은 비관론을 반박하기 위해서는 현대 자본주의 노동과정 내에서 이를 깨드릴 수 있는 실제적 가능성을 분석해야 한다.

  

  그런데 야페나 포스톤 같은 가치형식 이론의 비관론적 프롤레타리아트 혁명의 불가능성은 프롤레타리아트가 맑스의 분석에서와 같이 가능한 비자본주의의 미래(공산주의)의 사회적 대표(주체)라는 입장을 부정하는 데 있다. 그들은 프롤레타리아트를 가치의 원천으로만 보고 물질적 부의 원천으로는 보지 않는다. 맑스는 전체 역사의 시기동안 가치형식은 그 소외된 형식에도 불구하고 실질적 부의 엄청난 발전을 위한 조건임을 보았고 자본의 궤적은 가치증식과정과 실질적 부의 확장 사이의 모순을 필연화한다고 보았음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우리는 비관론적 입장을 지닌 야페나 포스톤과는 반대로 인간행동과 노동에 초점을 맞춘 가치형식 이론가들의 입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들 중 본펠드는 “노동은 자본주의의 변태적 세계의 형식 자체에 맞서며 존재하는 ‘구성하는 힘’이다”라고 말하고 자본은 스스로 자기증식하지 않고 집합노동자의 노동에 의해 생산된다고 주장한다. 라이헬트는 가치와 사용가치의 상품의 이중본질이 노동의 이중성격에 상응하는데 사용가치가 구체노동의 객관화라면 가치는 추상노동의 구체화라고 본다. 

 

맑스의 「자본」 (1권) 독일어 초판에서 보인 바와 같이 그것은 “상품에 잠재된 노동의 두 가지 다른 유형을 의미하지 않고, 동일한 노동이 상품의 사용가치에 관련되는가 아니면 단순히 객관적인 표현으로서 상품가치에 관련되는가에 따라 다르고 심지어 모순적임을 의미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여기서 어떻게 노동이 자본관계와 가치형식을 생산하고 재생산하는가의 문제는 맑스 이론의 또 하나의 중요한 영역이다. 계급의식과 자본주의에서 역사적으로 구체적인 노동의 생산력이 자본 안에 갇힌 물상화된 양식을 흔드는가의 문제이다. 이는 인간본질에 대한 형이상학적 문제나 철학적 인류학의 문제도 아니고 존재론적 문제도 아니다. 라이헬트에게 인간의 본질은 개인과 유적존재의 통일이며 혁명적 실천을 통해 철폐되어야 하는 전도된 형식일 뿐이다.

 

  따라서 우리는 인간의 실천 그리고 집합노동자의 실천의 요소를 바라보아야 한다. 자본주의는 가치증식을 위해서 뿐만이 아니라 “실질적 부”의 생산을 위해서 필요하다. 그 실질적 부의 성장은 공산주의 사회의 물질적 기반이 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이들 요소는 축적 과정에 필수불가결할 뿐만 아니라 그를 파괴하는 전망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자본은 살아있는 노동으로부터 스스로 자유로울 수 없다. 오직 자율적인 것은 노동력에 있다. ... 자본이 노동 안에 그리고 노동을 통해 존재하지만 노동은 자본 안에 그리고 자본에 대항하여 존재한다. ... 노동의 사회적 실천은 자본에 대항하여 존재할 뿐만 아니라 자본의 존재의 계기이기도 하다.” (Werner Bonefeld)

 

  여기서 우리는 노동이 단지 가치를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살아있는, 형식을 만드는 불꽃”이라는 강력한 주장(Marx, Grundruisse)을 매우 중요한 출발점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가치 증식과 실질적 부의 증진의 모순 속에서 가치형식을 깨뜨리고 새로운 형식, 즉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통한 공산주의 사회 건설을 이루어내는 노동의 실천은 단순한 비관론과 낙관론을 넘어서는 맑스주의자의 입장이다.

 

  이제는 가치형식이론 진영 안에서의 논쟁이 맑스에 수렴되고 있음을 확인하면서 현존하는 혁명세력이 이 문제에 어떠한 입장을 가지는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계급의식과 공산주의 혁명에 대한 다양한 입장들이 혁명 조직 내에 존재하지만 여기서는 좌익 공산주의 그룹 중의 하나인 「국제공산주의흐름(International Communist Current)」의 (다음) 입장을 보기로 든다.

 

“프롤레타리아트의 역사적 힘과 실천은 노동자들이 부르주아지의 사상에 종속된 채 남아있는 한 휴면상태에 있다는 것이다. 그들의 잠재력을 효과적인 위력으로 바꾸는 것이 바로 계급의식이다. 노동자들은 그들의 실천을 통해서, 자신들이 하나의 계급을, 즉 자본에 의해 착취되는 특정한 계급을 형성한다는 것을 깨닫고, 그러한 착취로부터 스스로를 해방시키기 위해서는 자본에 대항해 싸워야 한다는 것을 발견한다. 자신들의 투쟁을 통해서 경제 체제를 이해하고, 그들의 적들과 그 동맹들이 발견할 그 사회를 알게 된다.

 

“계급의식이 본질적으로 계급의 경험의 산물이자 실천적 투쟁의 산물이라는 사실은, 진실로 계급 전체의 행동이 대체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혁명의식은, 프롤레타리아트의 정치적 해방과 마찬가지로, 노동자들 자신의 일이다. ...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매우 단순히, 프롤레타리아트가 생산과정에서 자신들이 처한 상황에 대해 의식할 때, 그들은 자본주의 체제의 복잡성과 야만성의 본질에 대한 모든 것을 의식하게 된다는 것이다.”

 

“공산주의 의식은 신비스런 것이 아니며, 오히려 매우 구체적이고 인간적인 사실이다. 그리고 공산주의 의식과 행동은 혁명강령과 혁명조직 없이는 상상할 수조차 없다. 이러한 필요성은 공산주의와 프롤레타리아 의식의 본질에 의해 부과된다. 만약 공산주의 혁명과 사회의 변혁을 이뤄내려 한다면, 프롤레타리아트가 그 역사적 이해관계를 파악하는 방법에 있어서 질적 발전 없이는 불가능하다.”

 

  위에 인용한 몇 단락을 보면 프롤레타리아가 계급의식이 균질적이지 않고 부르주아 이데올로기에 오랫동안 지배당해 왔음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물론 계급의식의 획득이 계급투쟁과 실천을 통해서 가능하다는 맑스주의의 핵심 주장을 담고 있지만 계급의식의 질적 발전을 돕는 혁명가와 혁명가조직의 필수불가결한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혁명가들을 명확한 강력의 기초 위에 ‘별도의 정치적인 당’ 속에 조직하는 것은 프롤레타리아트가 의식적으로 투쟁의 주인이 되려는 자생적인 의지에 있어서 결정적인 요소이다. ‘조직적 문제는 정치적 문제와 따로 떼어놓을 수 없다’(레닌)는 간단한 이유 때문이다. 조직적 문제 자체가 정치적 문제이다.”

 

“공산주의자의 역할은, 계급투쟁의 밀물과 썰물에 수동적으로 따르는 것이 결코 아니다. 이러한 투쟁 속에서 불꽃은 없이 연기만 피고 타고 있는 혁명적 경향들을 촉진하기 위해서 그들 스스로를 조직하는 것이다. 공산주의자들은 그들 계급의 살아있는 산물이자 동시에 프롤레타리아 투쟁의 성숙에서 능동적 요소이다.”

 

“당이 아무것도 아니라고 생각하거나 또는 당은 언제나 옳다고 생각하거나, 당의 책무가 ‘사건들의 과정을 강제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노동자들이 그들의 계급의식을 획득하는 실제 과정에서 모든 생명을 죽여버리게 된다.”

 

  이들은 공산주의 혁명의 주체로서의 프롤레타리아트에 대한 확고한 인식과 부르주아 이데올로기에 갇혀있지만 계급투쟁을 통해 혁명적 잠재능력을 발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신뢰하는 맑스주의의 기본원칙을 견지하면서도 가치형식 이론가들의 이론적 문제를 넘어서서 혁명을 환수하는 공산주의자와 그 조직인 당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흔히 이들의 원칙적 입장을 계급주체를 고려하지 않은 객관적 노선으로 왜곡하는 것은 오히려 주체주의적 역편향의 부정확한 대응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공산주의자를 포함한 프롤레타리아트를 계급의식과 물신성의 틀 속에서만 인식하고 혁명적 실천적 가능성을 구체화시키는 데는 여전히 충분하지 않음을 느낀다. 그것은 혁명주체로서의 프롤레타리아트가 자본주의 체제의 억압의 산물이라는 점에 있다.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더 깊은 구조가 물질적 힘을 지니고 있다는 이론과 실천의 도움을 받지 않고서는 객체이면서 주체인 프롤레타리아트를 구체적으로 해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계급무의식의 문제이며 맑스주의와 정신분석학의 만남의 문제로 나아가게 한다.

 

 

4. 자본주의의 억압, 계급무의식 그리고 혁명

 

  맑스주의와 심리학의 만남은 부르주아 심리학이 개인에 기반하여 역사와 계급의 구조적 맥락과 분리되고 개인의 합이 사회라는 개인주의의 함정에 빠져 결국 자본주의 체제의 유지에 봉사한다는 비판적 문제인식에 기초하고 있다. 가치, 윤리, 종교, 심리, 예술, 교육, 오락 등의 영역은 모두 그 사회의 계급적 기초에서 비롯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미 맑스는 실재와 경험의 신비화로서의 허위의식으로, 보기를 들어 가난은 자본주의에 대한 신념이 없는 사람을 벌주는 신의 방법이라고 보는 개념으로, 소외의 개념으로, 상품의 물신성으로 이야기 한 바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요강」에서 정치경제의 의식의 통합을 말함으로써 맑스 이후의 조야한 경제결정론과 그에 대한 왜곡된 반작용으로서의 자발성주의를 무색하게 만들었다.

 

  맑스주의자가 인간 의식과 삶이 무의식적 동기에 의해 지배되고 있음을 아는 것은 극히 자연스런 일이며 이미 지배 이데올로기가 프롤레타리아트의 계급의식 이전의 모든 사회의식을 구성하고 있음도 자연스런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본주의를 넘어서는 높은 단계의 사회를 생각하지 못하는 부르주아지의 무능력이 대표적 보기가 된다. 루카치는 이를 “계급조건화된 무의식”이라고 불렀다. 바로 이러한 무의식의 문제를 유물론으로 접근하는 방식이 정신분석학이다.

 

  맑스 이후 1세대 혁명가들 가운데 가장 적극적으로 정신분석학을 방어한 사람은 트로츠키이다. 그는 1908년 비엔나에 머무는 동안 프로이트 이론과 만났으며 프로이트 이론이 유물론임을 주장한다.

“비엔나 정신분석학파인 프로이트 학파는 다른 방식으로 (파블로프와) 나아간다. 심리과정의 가장 복잡하고 섬세한 과정의 추진력이 생리학적 욕구라고 가정한다는 점에서 유물론적이다.”

 

볼셰비키 내에서도 정신분석학에 대해 다양한 견해가 있었지만, 이에 대한 박해와 탄압은 유럽에서는 나치에 의해, 소련에서는 스탈린주의에 의해 이루어졌다. 나치는 1933년 프로이트, 맑스, 아인슈타인, 카프카, 토마스 만의 저작물에 대한 분서갱유를 단행했고, 스탈린은 혁명 이후 진행된 예술, 교육 등의 사회생활 분야의 실험을 중단하고 맑스주의에 조응하는 프로이트 이론의 주창자들에 대한 마녀사냥을 단행했다.   

 

정신분석의 목적과 방법에 우호적인 혁명가는 루나르차르스키, 부하린, 트로츠키였고, 이론가로는 레온 비롯츠키, 알렉산더 루리아, 타티아나 로젠탈 등이 있다. 스탈린주의자들은 파블로프의 「조건반사」를 유물론적 심리학으로 칭송하고 프로이트 이론을 소부르주아적, 퇴폐적, 관념적 이론으로 비판했다.

 

스탈린의 최종 승리는 1930년 「인간행동대회」에서 쟐킨드가 사회주의 건설에 프로이트 사상이 해악적임을 비난하는 연설로 종지부를 찍었다. 이는 결국 5개년 계획과 국가자본에 봉사하기 위해 인간의 개성과 노동의 저항을 분쇄하려는 반혁명세력의 의도라고 규정할 수 있다.

 

  맑스주의와 정신분석의 실질적인 수렴은 인간심리(정신)가 자연의 실질노동의 물질적 산물이며 세계 바깥에 존재하는 힘이 아니라 그보다 선행하고 그를 결정하는 무의식의 산물이라는 점이다. 한 마디로 무의식의 지배로부터 인류를 자유롭게 하는 것이 공산주의 사회의 중심적 계획이 된다.

 

  러시아 혁명 이후 반혁명적 스탈린주의가 맑스주의와 정신분석학의 올바른 만남을 통한 맑스 사상과 그 실천을 압살했다면 유럽에서는 나치즘이 그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소련보다 훨씬 정신분석학 이론 발전의 중심부였던 유럽에서는 훨씬 더 끈질기게 맑스주의와 정신분석의 만남이 지속되었다. 바로 그 중심에 빌헬름 라이히가 있다.

 

러시아 혁명 이후 소련에 가서 공산주의 혁명의 완전한 실현을 위해 성 혁명을 주장하고 다녔던 그는 결국 스탈린주의자들에 의해 축출당했고 독일공산당에서도 제명당한다. 그는 독일 공산당이 성을 금기시하는 부르주아 윤리와 동일한 부르주아 이데올로기를 지니고 있다고 비판했다. 우선 라이히는 유물론적 심리학, 그리고 정신분석과 사회주의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정신분석의 자본주의적 존재양식은 정신분석을 안팎으로 목졸라 죽이고 있다. 프로이트가 자신의 과학이 파괴되고 있다고 한 것은 옳지만, 우리는 거기에 부르주아 사회라고 덧붙인다. ... 정신분석이 부르주아 사회에 적응한다면, 맑스주의가 개량적 사회주의자들의 손에서 겪은 것과 같은 죽음, 즉 천박화에 의한, 무엇보다도 리비도 이론의 폐기에 의한 죽음을 겪을 것이다. ...

  정신분석이 희석되지 않고 적용되면 부르주아 이데올로기에 손상을 가하기 때문에, 그리고 더욱이 사회주의 경제는 지성과 성생활의 자유로운 발전을 위한 바탕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정신분석은 사회주의에서만 미래를 가진다.“

 

  “요약해 보자. 변증법적 유물론을 심리학의 영역에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우리에게 임상적 정신분석의 성과들을 가져다주었다. 이러한 성과들을 사회학과 정치학에 적용함으로써 맑스주의적 사회심리학에 이를 수 있다. 반면에 심리학 방법을 사회학 및 정치학의 문제들에 적용하면 틀림없이 형이상학적이고 심리학화하는 그리고 더욱이 반동적인 사회학으로 귀결될 것이다.”

 

라이히의 맑스주의 심리학자에 대한 이론적, 방법론적 입장은 그의 「성 정치」 실천으로 연결된다. 특히 그것은 파시즘의 대중심리에 대응하는 맑스주의 성정치운동으로 구체화되고 그 당시 독일공산당의 부르주아정치에 대한 비판의 일환으로 나타난다.

 

그가 작성한 성정치강령은 자본주의 체제의 성억압과 성빈곤에 초점을 맞추었다. 1923년 10월 16일, 드레스텐의 프롤레타리아 혁명청년조직 회의에서 다음과 같은 결의안을 발표했다.

 

1. 당과 당 조직들이 성 정치 문제를 분명히 할 것. 개인적인 문제와 정치적인 문제의 분리가 아니라 결합, 즉 성적 존재의 지속적인 정치화가 필요하다.

2. 성 정치 영역에서 프롤레타리아트와 부르주아지 간의 휴전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실상 부르주아지만이 이러한 영역에 대해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 휴전을 깨야만 한다.

3. 모든 정치적 지향의 청년들은 성 문제와 관련하여 동원하고, 이들은 다른 조직들에 침투해야 한다.

4. 이것의 전제조건은 혁명 청년 조직들이 마주한 어려움을 이데올로기적으로 분명히 하는 것이다.

 

  1933년 히틀러의 권력 장악, 제4인터내셔널의 성 정치의 중요성에 대한 소극적 태도를 경험하고 라이히는 1934년 계급의식에 대한 중요한 글을 발표한다. 그는 독일에서의 사회주의 운동의 패배가 다른 나라에 불리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파시즘의 도처에서 혁명 운동에 대해 빠르게 우세를 점하고 있다고 보았다.

“제2, 제3 인터내셔날은 자기비판의 부족과 잘못된 태도를 완고하게 고집하고 무엇보다 그 자신의 진영 안의 관료제를 뿌리 뽑을 수 없기(부분적으로는 의지의 부족으로) 때문이다”라고 진단하고 있다.

 

  그러면서 라이히는 자본의 몰수, 생산수단의 사회화, 자본가들에 대한 노동자, 농민, 병사, 피고용인의 지배확립 등은 알고 있는 낡은 개념이기 때문에 더 중요한 질문을 해야 한다고 말한다. 왜 우리는 스스로를 우리의 관료제에 의해 질식되도록 내버려 두었는가, 왜 대중은 진정으로 자신들의 이익과 반대되는 히틀러가 권력을 획득하도록 행동했는가라고 묻고 있다.

 

그리고 그는 지도부의 계급의식과 대중의 계급의식을 구분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지도부는 혁명의식을 대중 안에 가져와야 한다고 우리는 듣는다. 의심의 여지없이 그래야 한다. 그러나 (이번에는 우리가 물을 차례다) 우리가 혁명의식이라고 할 때 의미하는 것을 아직 확실하게 알지 못한다면 어쩔 것인가? 독일에는 마침내 대략 3천만명의 반(反)자본주의적인 노동자들(사회혁명을 일으키기에 숫자로는 충분한 것 이상인)이 있었다. 그러나 바로 가장 완강한 반자본주의적인 심성의 도움으로 파시즘은 권력을 장악하였다. 반자본주의적 심성은 계급의식인가 아니면 단지 계급의식의 시작일 뿐인가, 단지 계급의식이 만들어지는 전제조건일 뿐인가?”

 

  그러면서 라이히는 광범위한 대중 안에 계급의식의 존재를 알지만 그것은 혁명 지도부의 계급의식과 다르기 때문에 그 둘의 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지도부는 객관적인 역사과정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획득하는 것 이외에 다음을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1) 각기 다른 사회층, 직업, 연령 집단, 성별에 속한 사람들 안에 잠재해 있는 진보적인 욕망, 관념, 그리고 생각은 무엇인가?

(2) 이러한 진보적 욕망, 생각 등의 발전을 가로막고 있는 욕망, 두려움, 사유, 관념(전통적 속박)은 무엇인가?

 

  라이히는 혁명에 기여하는 것은 무엇이든 윤리적이며, 혁명에 방해하는 것은 무엇이든 비윤리적이라는 레닌의 프롤레타리아 윤리에 대한 태도를 다른 방식의 질문으로 정식화한다.

“부르주아 질서에 모순되는 것은 무엇이든, 전복의 싹을 포함하고 있는 것은 무엇이든 계급의식의 요소로 간주할 수 있다. 부르주아 질서와의 유대[속박]를 창출하거나 유지하고 부르주아 질서를 지지하고 강화하는 것은 무엇이든 계급의식의 방해꾼이다.”

 

  이는 자본주의 체제와 부르주아 질서에 의해 정치적으로, 경제적으로, 이데올로기적으로 예속되고 억압당하는 구체적 기제와 그와 관련을 맺으면서 살고 있는 노동자들의 계급 무의식에 대한 실재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과정이 실패한 혁명을 지속가능한 혁명의 성공으로 이르게 하는 길임을 말하고 있다.

 

이러한 대중의 계급의식에 대한 변증법적 이해 없이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필연성만 강조하는 과거의 이른바 “혁명정치”는 결국 부르주아 정치의 쌍생아에 불과하다는 것을 날카롭게 비판하고 있는 라이히는 두 정치의 차이를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간단히 요약하자면, 혁명정치와 부르주아정치의 차이는 전자는 대중의 욕구 충족에 기여하기 위해서 나서는 반면에 후자는 대중의 구조적인, 역사적으로 조건 지어진 무능력에 전적으로 근거하고 있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라이히는 진정한 프롤레타리아 혁명의 가능성은 혁명의 주체인 노동계급의 계급의식에 대한 철저하고 폭넓은 이해에 기반한 혁명지도부(혁명당)의 계급의식의 변증법적 결합이라고 주장한다. 대중의 계급의식은 인류의 존재를 지배하는 역사적인 혹은 경제적인 법칙들에 관한 인식이 아니라

 

⓵ 모든 영역에서 고유한 삶 욕구들에 관한 인식

⓶ 그 욕구들을 만족시킬 방법들과 가능성들에 대한 인식

⓷ 사회경제적 사회질서가 그 욕구만족을 방해하는 장애꾼들에 대한 인식

⓸ 자신의 삶의 필수품들과 그것의 방해물에 대해 단절하려는 데 대한 자신의 금지와 불안에 대한 인식

⓹ 대중의 통일이 이루어질 때 억압자의 권력에 대항해 불굴의 힘을 만들어낸다는 인식

 

이다. 반면 혁명지도부의 계급의식은 대중이 스스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을 대중을 대신해 말할 수 있는 능력과 지식 이외에 아무것도 아니며 자본의 멍에로부터의 혁명적 해방은 혁명지도부가 삶의 모든 측면에서 대중을 이해하기만 하면 충분히 발전된 대중의 계급의식에서 자발적으로 성장할 총괄적 행동이다.

 

  최근 「국제공산주의흐름」 이 발간하는 이론지 「국제평론」 (2010년) 140호에서 「과학과 맑스주의 운동」 이라는 연속주제 아래 그들은 특집의 취지를 다음과 같이 말한다.

“프롤레타리아트의 혁명조직은 과학적 지식과 연구에 대한 관심을 고무시킬 책임이 있다. 특히 인간사회에 관련된 분야, 인간과 심리에 관련된 분야, 지배계급이 몽매주의를 개발하는데 관심을 가지는 영역이다.”

 

  지금까지 30년동안 한 번도 정신분석학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던 혁명조직이 최근 이러한 관심과 변화를 보이는 것은 맑스주의의 혁명적 실천을 위해 지극히 바람직한 일이다. 무의식으로부터의 해방이 자본주의를 넘어서는 공산주의 사회의 그것과 결합된다는 의미는, 공산주의 초기단계에서의 인류의 우선순위가 노이로제와 정신고통의 원천이 놓여있는 무의식의 깊은 층위에 대한 관심이라는 점이다.

 

  물론 오늘날 공산주의자들은 프로이트의 사상에 동의할 수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는 프로이트를 반대하는 현재의 캠페인에 대해 극도의 불신으로 대응해야 한다. 그리고 트로츠키가 주창한 열려진 접근으로 바로 서야 한다.”

 

 

5. 나오며

 

  백여년 전 공황이라는 순환적인 자본주의의 위기에도 불구하고 생산력이 증진되는 상승하는 자본주의가 그 정점에서 제국주의 전쟁을 통한 파괴와 살육을 통해 체제를 유지하려는 시기에 새로운 생산양식으로 혁명적 전환을 위한 프롤레타리아트의 투쟁과 공산주의자들의 헌신이 세계를 뒤흔들었다.

 

자본주의는 전쟁인가 혁명인가, 야만인가 사회주의인가의 선택의 기로에 놓여있었다. 러시아 혁명은 성공했지만 세계 혁명은 실패했고, 자본주의는 단발마적 고뇌에 빠지는 종말로 가는 쇠퇴기에 접어들었다.

 

  세계혁명의 실패, 파시즘과 스탈린주의라는 반혁명적 세력의 등장, 두 번의 세계대전을 통한 생산력의 파괴와 프롤레타리아트의 죽음, 2차 세계대전 이후 25년간의 일시적 호황, 신자유주의의 증장, 이른바 ‘현실사회주의국가’로 불리웠던 국가자본주의 국가의 몰락, 그리고 끊임없는 전쟁과 생태적 위기, 국가부채의 엄청난 증가를 통한 재정위기 등의 공황은 다사 한 번 전 세계 프롤레타리아트의 계급투쟁을 가속화시키며 야만인가 혁명인가를 선택하게 하는 혁명의 객관적 조건을 만들고 있다.

 

  여기에 「역사적 계급의식」 이라는 의제가 모든 공산주의자들과 프롤레타리아트 앞에 놓여 있으며 우리는 100년 전에 실패한 세계혁명과 그 이후의 반동적 역사를 반성하고 야만의 자본주의 문명을 철폐하고 진정한 문명의 세상인 공산주의를 건설할 구체적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맑스의 초기 사상과 후기 사상 이론의 분리가 아닌 변증법적 통합으로 인간의식과 정치경제에 대한 분석을 해야 하고, 혁명의 당위론적 낙관론이나 혁명불가능의 자조적 비관론 모두를 넘어서는 맑스주의자와 공산주의자로 거듭나야 한다.

 

첫째, 맑스, 루카치, 그리고 가치형식 이론에 대한 이해를 통해 자본주의의 물상화가 프롤레타리아를 예속시키고 지배하는 기제와 방식을 철저하게 연구하는 동시에, 노동자가 가치증식을 넘어 실질적 부의 창조(공산주의 물질적 기초가 되는)의 주체로서 가치형식을 깨뜨리는 능력과 방식을 연구해야 한다.

 

둘째, 맑스, 트로츠키, 라이히 등 계급에 의해 조건화된 계급 무의식에 대한 이해를 통해 맑스주의와 정신분석학의 올바른 관계를 정립하고, 프롤레타리아트의 욕망과 그 억압 그 구체적 형태에 대한 인식이 자본주의 철폐뿐만 아니라 공산주의 사회건설 계획의 일부임을 확인해야 한다. 전도된 의식과 억압된 무의식으로부터의 해방은 분리되어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셋째, 프롤레타리아트가 혁명의 주체임에 틀림없으나 위 두 가지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하면서 공산주의 사회의 원칙과 방향을 제시하고 프롤레타리아트와 함께 혁명의 주체가 되는 공산주의자 조직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조직은 혁명당이며 그 강령과 혁명전략 전술은 물상화와 무의식에 대한 구체적 연구성과에 기반해야 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사노위의 정치적 해산을 선언한다!

  • 분류
    잡기장
  • 등록일
    2011/06/03 22:07
  • 수정일
    2011/06/03 22:37
  • 글쓴이
    자유로운 영혼
  • 응답 RSS

 적색과 회색의 분리

 

                                                                                                                            

 

 

 사노위의 정치적 해산을 선언한다!   

    - 강령 통일과 조직 통합에 실패한 사노위, 이제 그 공동실천을 종료하며

 

 

 

 

사노위 3차 총회는 끝내 해산을 거부했다. 사회주의노동자정당 건설 공동실천위원회(사노위)는 그 출범 과정에서 공개적으로 대중 앞에 약속하고 선언한 “1년 안에 강령/전술/조직 상의 통일을 통한 당 추진위 건설”에 최종 실패함으로써 공동실천위원회로서의 그 시효를 마감했다.


이에 우리는 ‘강령 통일 실패에 따른 조직 해산’을 총회에 상정했지만 구 사노준을 비롯하여 의견그룹 이탈세력을 포함하는 다수파는 형식적 민주주의를 앞세운 표결로 이를 기각시켰다. 이로써 사노위 조직의 수명은 형식적으로 연장됐지만, 이러한 무원칙한 연장과 동거로 당건설 공동실천위원회의 파산을 감출 수는 없다.


우리는 이제 ‘사노위를 통한 당 건설 공동실천’이 실패한 데 대한 우리 자신의 책임 또한 막중함을 인정하며, 공식적으로 사노위의 정치적 해산 및 공동실천의 종료를 선언한다.

 

 

사노위가 실패한 것은 단지 강령 문구상의 단일화를 이루지 못한 때문이 아니다. 강령 상의 불통일은 혁명이냐 개량이냐와 관련한 총노선의 차이를 드러냈으며, 이는 ‘어떤 당’을 건설하고 ‘어떤 정치활동’을 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서 좁힐 수 없는 간극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강령 논의를 3개월 더 연장한다고 해서 해소될 수 있는 차이가 아니다. 더군다나 그 3개월을 계급 속에서의 공개적인 강령 논쟁을 배제한 상태에서 무조건적인 단일화를 전제한 몇몇의 밀실 논의를 통해 단일안을 만들어내겠다는 것은 정치적 통일에 기초한 당 강령의 정립이 아니라 조직 보존주의를 앞세운 야합일 따름이다.


혁명적 강령으로의 통일을 비웃고 조직만 유지, 보존하면 된다는 이러한 정치 냉소주의에 바탕한 무원칙한 동거로는 결코 사회주의 혁명정당을 건설할 수 없다. ‘깨져서는 안 된다’, ‘사노위만이 유일한 대안이다’라는 맹목적인 조직보존 논리는 ‘강령에 입각한 당 건설’ 원칙을 사실상 폐기하는 논리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우리는 강령 통일이 당 건설의 모든 것이라고 보는 강령 만능주의자가 아니다. 우리는 지난 가입원서 건과 소책자 비평 건 등 회원 조직활동 문제와 민주집중제 문제를 놓고도 비타협적인 투쟁을 전개했다. 무엇보다 우리는 강령 문제가 ‘어떤 정치활동’을 할 것인가, 회원들이 현장, 부문 등 각각의 영역에서 어떻게 사회주의 정치활동을 전개할 것인가의 문제와 직결되어 있음을 제기하며 실천의 지침으로서의 강령을 정립해야 한다고 거듭 호소해 왔다.

 

노동자 투쟁에 결합하고 연대하는 것은 사회주의 조직으로서 당연한 임무이지만, 정치활동이 결코 이것으로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사노위 정치원칙인 “강령(이행요구)에 입각한 노동자투쟁 조직화”로 우리의 정치활동을 끌어올려야만 조합주의와 부문운동주의를 극복하고 당 운동으로 나아갈 수 있음을 거듭 제기했었다. ‘연대만으론 안 된다. 강령에 입각한 지도력 발휘가 필요하다’고 말로는 모두가 인정한다. 그러나 결국은 조직보존 논리 앞에서 모두 공문구로 전락하고, 이제 다수파 앞에는 ‘주체형성 전략’이라는 이름으로 조합운동과 부문운동들을 병렬적으로 모아놓는 연방주의, 추수주의 조직으로 가는 길밖에 없다.

 

 

혁명적 강령 정립이 당 건설의 모든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그것만이 지금 절박한 노동자계급 지도력의 위기 속에서 새로운 대안 지도력을 만들 수 있는 출발점이다. 사노위는 이 대안 지도력 건설의 출발점에서 실패했다. 지난 사노위 건설 당시 공개제안서에서 분명하게 밝힌 바 있는 이 점을 우리는 오늘 사노위 실패 속에서 비통한 심정으로 다시 확인한다.

 

 

사노위 실패에 대한 책임에서 우리 또한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을 잘 안다. 이러한 책임을 회피하지 않고 온전히 떠안고 가는 길은 먼저 사노위 운동 1년에 대한 냉정하고 객관화된 평가와 함께 이로부터 당 건설투쟁의 올바른 교훈을 끌어내는 길일 것이다.

 

그러나 어떤 교훈이든 현 시기 진보정당들이 민주대연합을 통해 자본가 정당과 손잡으면서 노동자 정치세력화가 만신창이가 되고 노동자계급 지도력의 위기가 그 어느 때보다도 절박한 이 엄중한 정세 속에서 사회주의노동자정당 건설을 향한 우리의 발걸음은 조금도 늦출 수가 없다.

 

그 동안 사노위를 통한 우리의 당 건설투쟁을 응원하고 지지해 준 동지들, 그리고 함께 하진 못했지만 이 시도를 관심 있게 지켜봐 온 동지들께 연대의 정을 전하며 다시 책임 있는 모습으로 동지들 앞에 인사드릴 것을 약속한다.

 

 

 

                                           2011년 6월 1일

 

 

                고민택, 구재보, 김남명, 김대환, 김병효, 김운용, 김창연, 남궁원, 박준선,

                양효식, 오세철, 유승철, 윤문호, 이근조, 이승렬, 이승찬, 이지윤, 이형로,

                이효성, 임천용, 정현철, 최철, 한송우, 현철민 등 총28인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Hyundai strike hit with police repression in South Korea

  • 분류
    계급투쟁
  • 등록일
    2011/05/26 17:38
  • 수정일
    2011/05/26 17:38
  • 글쓴이
    자유로운 영혼
  • 응답 RSS

Hyundai strike hit with police repression in South Korea

 

 

Hyundai strike hit with police repression in South Korea

Riot police have broken up a strike and occupation of Yoosung Enterprise factory in Asan, south of Seoul.

 

Around 3000 riot police have attacked 500 strikers staging a sit-in at the factory, which manufactures piston rings for Hyundai, Kia, Renault and General Motors in South Korea.

 

The majority of occupiers have been arrested, with the remaining strikers and their supporters being dispersed by the police.

 

The raid marks a significant attack on a building strike wave in the South Korean automobile industry which has seen several victories, but also follows several years of mounting repression against the workers' movement. Hyundai had already suspended production of diesel engines at its Ulsan plant as a result of the strike action creating a supply bottleneck, and had been threatening to suspend production of petrol engines as well.

 

However, Ulsan plant itself has been hit by strike action in recent months, initiating the strike wave leading to the Asan occupation. The end of 2010 saw a wave of strikes in which irregular workers - precarious employees with minimal rights, usually on short-term contracts and who earn on average less than half the salary of permanent employees - took a leading role. A sit in by irregular workers turned into a full-scale occupation after the protest was attacked by security guards and company thugs. The dispute spread to Chunju and Asan, and in Asan was met with significant violence during a prior attempt to organise a sit-in.

 

The tight supply chains utilised by Asian car companies, in particular Hyundai, with its lean production model, have been successfully disrupted by workers taking strike action in recent years, most effectively in China.

 

<출처>  http://libcom.org/news/hyundai-strike-hit-police-repression-south-korea-24052011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3차 총회는 ‘사노위 해산’ 총회가 되어야 된다

  • 분류
    잡기장
  • 등록일
    2011/05/26 12:29
  • 수정일
    2011/05/26 12:29
  • 글쓴이
    자유로운 영혼
  • 응답 RSS

 3차 총회는 ‘사노위 해산’ 총회가 되어야 된다

 

 

2010년 5월 9일 사노위 출범 총회에서 결의하고 밝힌 1년 또는 1년 3개월 안에 ‘강령/조직/전술’ 상의 통일(통합)을 이뤄 적어도 ‘단일조직’, 나아가 ‘추진위’로 전환한다는 목표는 그 원인과 과정 그리고 책임이 여하하든 간에 달성되기 어렵게 되었다.

 

현 사노위를 유지, 연장하는 것을 통해 목표 달성을 다시 시도하는 것은 가능하지도, 바람직하지도 않다. 가능하지 않은 것은 그럴 수 있는 주객관적 근거와 동력을 현 시점에서 찾을 수 없기 때문이며,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이런 상황에서의 유지, 연장은 사태를 더 악화시킬뿐더러 그나마 있을 수 있는 미래의 가능성마저 더 갉아먹을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지금 사노위가 취해야 하는 그나마 최선의 방안은 사노위 ‘해산보고서’를 사노위 조직의 이름으로 제출하는 것을 통해 사노위 운동을 스스로 객관화하는 일이다. 단지 ‘해산했다’는 사실 보도가 아니라 해산에 따른 ‘(정치)보고서’를 공동으로 제출하는 것까지를 자신의 임무로 감당해야 한다.

 

 

 4차 중앙위 결정을 규탄한다.

 

4차 중앙위는 마지막으로 지켜야 할 사노위 운동의 정당성마저 짓밟는 행위를 저질렀다. 4차 중앙위는 세상을 속이고 자신마저 배반하는 최악의 선택을 하고 말았다.

 

사노위 운동은 실패했다. 이 엄연하고 냉정한 사실로부터 누구도 도망갈 수 없다. 아무리 아프고 인정하고 싶지 않더라도 일단 실패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실패했다고 해서 사노위 운동이 추구하고 시도했던 것 자체마저 부정하거나 부정당해야 하는 것인가의 문제는 아직 그렇다고 말하기에는 이르다.

 

사노위의 실패는 예정된 실패가 아니다. 성공할 수도, 실패할 수도 있는 계기와 과정이 교차했으며 혼재해 있었다. 최종적으로 성공에 이르지 못했을 뿐이다. 누가 어떻게 사노위 운동의 경험과 교훈을 살려 나가냐에 따라 사노위 운동은 지나간 과거가 아니라 미래에도 계속해서 부딪쳐야 하는 문제이다.

 

4차 중앙위는 그럴 수 있는 가능성과 여지를 앗아갔다. 사노위 운동 전 과정의 결말을 희화화시키고 있다. 해프닝, 에피소드로 전락시키고 있다. 3차 총회에서 강령단일안이 성원 모두의 동의를 통해 또는 모두가 인정한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표결을 통해서라도 결정을 지을 수 있는 가능성이 현재로서는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런 현실 앞에서 3개월의 시간과 노력을 들여서 강령단일화를 이루기 위한 시도를 마지막으로라도 한 번 더 하자는 취지로 4차 중앙위 결정을 이해해 보려고 한다 하더라도 “강령초안을 유보없이 채택한다”거나 “단일안 작성을 전제로 강령기초위원을 선출한다”는 방안은 도저히 그런 취지로 받아들일 수가 없다.

 

“유보 없이 채택한다”는 결정은 적어도 두 가지 조건이 충족된다는 것을 전제할 수밖에 없다. 하나는 4차 총회에 상정할 ‘강령단일안’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하며 또 하나는 4차 총회에서는 표결을 통해서라도 찬반을 묻겠다는 것에 모두가 동의해야 한다. ‘특정한 배제’를 전제하지 않고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적어도 진정성 있는 취지라면 다음과 같은 정도가 필요하다. 먼저 기본 인식과 태도를 모두가 공감해야 한다. 첫째 지금까지의 토론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을 모두가 인정해야 한다. 부족하지 않은데 더 토론을 진행시켜야 할 이유는 없다. 둘째 모두가 강령단일화를 이루기 위해 실질적, 적극적으로 임해야 한다. 그럴 생각이 없이 시도할 필요는 없다. 셋째 결과적으로 강령단일화에 실패할 수도 있다는 각오를 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표결 처리를 하는 것밖에 남는 것이 없다.

 

다음으로 방법을 합의해야 한다. 첫째 기존 강령기초위원은 자신이 원할 경우 새롭게 구성되는 ‘000’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들에게 책임을 물어 소환하는 정황이 아니기 때문이다. 둘째 ‘000’은 자원자를 포함하여 구성해야 한다. ‘000’은 토론의 장이지 표결의 장은 아니기 때문이다. 셋째 기존 제출된 3개안도 스스로 거두지 않는 한 선 폐기하지 않고 새롭게 구성할 ‘000’ 안에서 어떻게 할 것인지를 논의해서 합의점을 찾아야 한다. 넷째 ‘000’ 운영/진행 방안과 전조직적, 대외적 토론 방안에 대한 기본적인 가닥을 총회에서 결정해야 한다.

 

그 위에서 8월까지의 조직운영과 지도부의 성격 및 구성에 대한 원칙을 일치시켜야 한다. 8월까지의 기간은 일상적 기간일 수 없다. 작게는 사노위의 진로가 걸려 있으며 크게는 당 건설 노선과 전망에 영향을 미치는 비상한 기간이다. 따라서 조직운영의 초점을 강령 토론에 실어야 한다. 또한 지도부의 성격은 ‘3기’가 아닌 ‘과도기’를 담당하는 것으로 설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추진위’ 건설 방안을 포함한 조직의 진로와 관련된 사안은 ‘실무적/행정적’ 문제를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보류해야 한다.

 

 

사노위의 이름으로 해산보고서를 제출하고, 사노위 운동을 우리 스스로가 객관화해야 한다.

 

결국 4차 중앙위 결정의 취지가 이런 진정성 있는 방안과는 달리 시간을 연장해 8월에 가서 모든 것을 ‘표결 처리’ 할 것을 전제하고 제출하는 것이라면 그것은 시간 낭비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더 나쁜 결과를 낳을 것이 분명하다.

달리 방안을 도출할 수 없다면 사노위는 해산하는 것이 마땅하며, 그것이 마지막 취해야 할 최소한의 방안이자 태도이다. 사노위는 ‘단일조직’이 아닌 ‘공동실천위원회’로서 ‘단일조직’에 이르지 못한 상태에서 조직 진로를 결정해야 할 상태에 놓여 있는 바, 옳고 그르고, 좋고 싫고, 유리하고 불리하고를 떠나 해산만이 유일한 방안이다.

 

해산이 곧 실패나 파국 자체를 뜻하는 것은 아니다. 해산은 새로운 출발과 시도를 위한 불가피한 과정이 될 수 있으며 이후로도 또 다른 형태로 만나고 헤어질 수 있는 가능성과 여지를 남겨두기 위한 적극적 방안이기도 하다. 해산이 정말 아프고 힘든 일일 수는 있지만 마냥 부끄러운 것만은 아니다. 그러나 해산이 아닌 4차 중앙위 결정 방안은 부끄럽기까지 한 일이다.

 

사노위가 설립 본래의 목적에 맞게 유지하는 것이 더 이상 어렵다면 사노위가 마지막으로 해야 할 노력은 사노위의 이름으로 ‘해산보고서’를 제출하는 일이다. 사노위 출범의 의의와 지난 사노위 활동을 스스로 객관화해야 한다. 사노위 바깥이 인정하든 인정하지 않든 적어도 사노위는 자기 자신에 대해 밝혀야 한다. 그 전제 아래에서 각자는 또 각자의 논리를 더 구체화하고 강화하여 세상에 내 놓으면 된다. 단 한 문장이든 장문의 글이든 사노위의 이름으로 ‘해산보고서’를 제출하고 그 다음을 각각 진행시켜야 한다. 이 또한 쉬운 문제는 아니지만 거기까지가 사노위가 해야 할 몫이다.

 

 

                                                 2011년 5월 22일

 

                      고민택, 구재보, 김대환, 김병효, 남궁원, 박준선, 양효식, 오세철,

                      유승철, 윤문호, 이형로, 임천용, 조영태 등  사노위 회원 25인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노조 무력화’ 악명 높은 ‘창조컨설팅’ 개입 의혹

 

  ‘노조 무력화’ 악명 높은 ‘창조컨설팅’ 개입 의혹

 

 
» 24일 오후 경찰이 투입된 유성기업의 경영 컨설팅을 맡고 있는 노무법인 ‘창조컨설팅’의 서울 영등포구 문래동 사무실 들머리 모습. 김봉규 기자 bong9@hani.co.kr
 

 

지난 23일 공개된 현대자동차 부품 납품업체 유성기업의 ‘쟁의행위 대응요령’(2011년 5월11일 작성) 문건에는 노무법인 ‘창조컨설팅’과 ‘경주 발레오전장’이 언급돼 눈길을 끌고 있다. 노동현장에서는 “창조컨설팅이 노사관계에 개입하면 노조가 무너진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지난해 민주노총 산하 금속노조 핵심 사업장이었던 경주 발레오전장과 2006~2007년 민주노총 보건의료노조 사업장인 대구 영남대의료원도 창조컨설팅이 개입하면서 노조가 사실상 무력화됐다. 주간 2교대제 도입을 둘러싼 노사 갈등 끝에 24일 경찰 병력이 투입된 유성기업 노조도 위기를 맞고 있다.

 

창조컨설팅의 대표는 심종두 노무사다. 심 노무사는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에서 노사대책팀장 등으로 13년 동안 근무했다. 그 뒤 노무사로 활동하며 금속노조의 대화 상대인 금속사용자협의회(2004년)와 병원사용자협의회 교섭 대표(2005~2006년)를 맡는 등 노사관계 전문가로 꼽힌다.

 

창조컨설팅은 지난해 현대차 납품업체인 발레오전장 사쪽의 자문을 맡았다. 발레오전장 노사는 그동안 일부 마찰은 있었지만 대체로 원만한 노사관계를 유지해왔다. 하지만 2009년 대표이사가 바뀌면서 분위기가 달라졌다. 지난해 2월 초 회사가 일방적으로 경비업무를 외주 용역화하자 노조는 부분 태업을 했고, 사쪽은 같은 달 16일 전격적으로 직장 폐쇄를 하고 용역경비를 배치해 노조의 출입을 막았다. 이 과정에서 15명이 해고됐고, 30억원의 손해배상이 청구됐다. ‘노조 집단행동→회사 직장 폐쇄 및 용역경비 배쾀대량 징계와 손해배상 청구’의 과정을 거쳐 노조가 사실상 무력화된 것이다. 당시 집행부를 맡았던 노조 관계자는 “창조컨설팅이 개입하면서 회사 쪽이 거세게 노조를 몰아붙였다”며 “노조가 대화를 요구하고 업무 복귀를 선언했는데도 노조 탄압이 계속됐다”고 말했다. 결국 발레오전장에는 또다른 노조가 만들어져 금속노조를 탈퇴했고 2년 연속 임금교섭권을 회사에 위임한 상태다.

 

심 노무사가 2006년 자문 계약을 맺은 영남대의료원에서도 파업을 거치면서 노조가 급속하게 위축됐다. 영남대의료원 노조는 일방적인 조직개편 등에 반대하며 부분파업과 농성을 벌였고, 이 과정에서 노조 간부 11명 고소·고발, 10명 해고, 5억원의 손해배상 청구, 3억원의 조합비 가압류가 이뤄졌다. 보건의료노조 관계자는 “심 노무사가 영남대의료원과 또다른 대학병원 사쪽의 자문을 맡으면서 ‘파업→단체협약 일방해지→징계·손해배상·고소·고발’ 작업이 진행됐다”며 “영남대의료원은 900명이던 조합원이 100명으로 줄었다”고 말했다.

 

유성기업에서도 비슷한 양상이 벌어지고 있다. 노조가 지난 18일 파업에 들어가자마자, 직장폐쇄와 함께 용역경비가 배치됐다. 사쪽이 작성한 ‘쟁의행위 대응요령’ 문건을 보면, 민형사상 책임을 묻겠다는 계획도 밝히고 있다.

이에 대해 심 노무사는 “고객 보호 차원에서 어떤 회사와 자문을 맺고 있는지는 밝힐 수 없다”며 “다만 유성의 경우 열흘 전쯤 몇 가지 조언을 했을 뿐 공식적인 자문 계약을 맺은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사실상 ‘노조 죽이기’에 나서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선 “법과 원칙에서 벗어난 경우는 없었다”며 “노동계가 그렇게 오해하고 있어 유감”이라고 말했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

 

 

 

 

 

그들이 자랑하는 업무실적,  그 실적에는 노동자들의 피눈물이, 죽음이, 분노가.......

 

 

 

   

• 한국방송광고공사, 예금보험공사, M사, 무림페이퍼 등 노사관계
로드맵 수립 컨설팅
•(주)OOO, OOOOO대학교, OOO의료원, OO병원, OOO골프장, OO축협, D사, V사, N사, P사, S사 등 노사관계 안정 컨설팅
• KT, OO은행, OOO의료원, 한국공항, 한일시멘트 등 비정규직 운영방안 컨설팅
• 성남 인하병원, OOOOO공업, 깁스코리아, 동방산업 등 고용조정 컨설팅
• OOOOOO공사, OO의료원, OO공업, OOOOOO병원 등 단체교섭 지원 컨설팅
• 이랜드그룹, 서울문화사 등 인사노무관리 진단 컨설팅
• OO 도급분야 운영진단 및 협력사 지원 컨설팅
• OO 부문별 하도급 운영방안 컨설팅

 

 
    • 2004년 금속노사 중앙교섭 사측 101개사 위임 수행 및 타결
• 2005년 12개 사립대병원 산별교섭 위임 수행
• 2006년 118개 보건의료병원 산별교섭 지원
• 2008년 104개 보건의료병원 산별교섭 지원
• 2009년 101개 보건의료병원 산별교섭 지원
 
    풀무원, 이랜드, 대한항공, CAPS, KT계약직, 서울레이크사이드, 스포츠조선, 매일경제TV, 기독교방송(CBS), 스위스그랜드호텔, 광명성애병원, 신한 등 100여개 사
 
   

KT, KBS, 서울메트로, 현대중공업, 하나은행, 신한은행, 연세대의료원, 대한항공, 삼성테스코, 코오롱, 이랜드, GS건설, 현대카드, GS칼텍스, 풀무원, 한국자산관리공사, 대림자동차, 서울대치과병원, 흥국생명, 그랜드하얏트서울, 코카콜라음료, 매일경제TV, 한국외국어대학교 등 700여 사건

 

 

(창조 컨설팅)   http://www.cjmc.co.kr/about/result.html

 

 

 

 

이제 우리에게는 너희들과의   '교섭, 타결' 이런  자본가 용어, 자본의 규칙이  아닌,  '투쟁, 쟁취'   '단결, 계급투쟁, 혁명' 이라는 노동자계급의 직접행동으로 응징하는 수밖에 다른길은 없다.

 

일단 현자 깡패자본과 그 주구들은 이거 한방 먹고,  다음을 기다려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What’s Wrong with the SPGB?

What’s Wrong with the SPGB?

 

http://www.leftcom.org/files/images/2011-04-17-using-parliament.preview.jpg

Review article of “What’s Wrong with using Parliament?” by The Socialist Party [of Great Britain], 24pp July 2010, £1.00.

 

 

In the light of the referendum on a change in the voting system (see “The alternative vote referendum…” ) we thought we would take another look at the only genuinely socialist organisation which attempts to sell us the parliamentary road to socialism. Over the years we have debated the issue of how we will get to a socialist society several times with the SPGB (1) in both meetings and our press. Indeed several people have contacted us after listening to a tape our 1994 debate which you can still buy from the Socialist Party. Last year they brought out a new short pamphlet, What’s Wrong with Using Parliament?, to restate their belief that socialism can only come about via parliament. It is that which we are reviewing here.

 

The reasons for debating with them, and not other parties claiming the title “socialist” is not simply because they have a culture of debate (propaganda and education are their main activities) but because they share with us a real understanding of what socialism is. Unlike the Stalinists, Maoists and Trotskyists they do not believe that some form of state ownership of the means of production is socialism, or even a step towards it. Like them we are “an organisation of equals. There is no leader and there are no followers”. (Introducing the Socialist Party at the beginning of the pamphlet). But differences over how socialism can be achieved have dug a chasm between themselves and revolutionaries. This pamphlet only underlines that distinction.

 

The pamphlet is neatly laid out and lucidly written. Bizarrely it has a contructivist design (more usually associated with the October Revolution which they reject!) on the cover (with a red wedge flying into Big Ben). The contradiction on the cover however is trivial compared with the contradictions inside. The pamphlet claims to be aimed at “Anti-parliamentarians and Anarchists” but only Anarchists are quoted. This is no accident since the SPGB claims Marxist orthodoxy for its views on parliamentarism and to deal with Marxist critiques would be more difficult. It also frees the SPGB from dealing with the really big issue of working class consciousness (a word which does not appear anywhere in the pamphlet). The pamphlet is a tale of two halves with the first being the SPGB’s defence of using parliament and the second dealing with five arguments against using parliament taken from Anarchist publications in the second. Here we can only deal with some of these

 

 

Instrumentalist Arguments

They set out the premises of the debate accurately enough

what distinguishes us amongst those who want a classless, stateless, wageless, moneyless society based on common ownership and democratic control of the means of life, is our view that parliament can and should be used in the course of establishing such a socialist society. (p.5)

 

But this quickly leads us to the first contradiction. Although they recognise that parliament is a capitalist institution, that voting atomises ands reduces to passivity the mass of the population who only get to put a cross on a piece of paper every 5 years or so, they still argue that

what better way is there to challenge that “democracy and freedom” than by using the accepted legitimate channels and thereby be able to call [liberal democracy’s] bluff.

 

But who is bluffing? The capitalists, who have instituted a political system that not only does not challenge their rule but is the ideal framework for it, or the SPGB who would legitimise working class impotence by supporting it? The increasingly derisory electoral performance of the SPGB over the last 107 years might be taken as sufficient proof of the point that there is no route to socialism via bourgeois institutions but it is a lesson that the SPGB refuses to learn. Instead the pamphlet is full of straw man type arguments which they dig out (and not always fairly) from the anarchist texts they criticise. One of these is to criticise this argument

Socialism cannot come through the Parliament. If we look at a country like Chile we can see why. In 1973 the people elected a moderate socialist government led by President Allende. This democratically-elected government was toppled by a CIA backed military coup. Repression followed in which the workers movement was smashed and thousands of militants lost their lives.

“What is Anarchism?”, www.struggle.ws/pdfs/whatis.pdf

 

The essential part of the SPGB reply is that this is because Allende was not a real socialist and did not have “enough” popular support. But in this argument Allende’s “authenticity” is not the point. The bourgeoisie do not distinguish between real socialists and state capitalists. All they see is a threat to their property and in Chile there was a mass movement seeking to redress the balance for the working class (however deluded we all agree they were). The fact is, as we noted a long time ago, the SPGB are more devoted to parliament than the “democratic” bourgeoisie! The capitalist class will not shrink from switching to a Mussolini or a Pinochet once they see that the rules of the democratic game do not deliver the desired results. The problem is exactly the opposite one. Most Chilean workers believed, like the SPGB, that the elections had guaranteed their legitimate right to rule when in fact it did not touch the essential organs of the state. This error is underlined earlier in the pamphlet when the SPGB write

Gaining control of the state will at the same time give control of this social organ which can be used to co-ordinate the changeover from capitalism to socialism. Of course, it couldn’t be used in the form inherited from capitalism.

 

Like so many caveats the last line is meaningless if you do not actually say that the first thing the workers will have to do in the course of their revolution will be to smash/dismantle the capitalist state and its organs of repression. This argument is an old one as the founding Declaration of Principles of the SPGB (printed a the back of the pamphlet) also argue that all they will have to do is have the state, the machinery of oppression “converted” and it will guarantee workers’ emancipation. For the SPGB winning a majority in parliament is the same as gaining control of the state (p.7) but how different do they think the scenario will be to that in Chile? Allende lasted 3 years because he was slow to move against the old state apparatus. If he had acted faster his government would have not have lasted as long. The point is that the state has to be destroyed in the course of the majority taking over, not via a parliamentary majority after a leisurely debate. Waiting to gain such majority will only allow those who hold all the reins of power to prepare their various contingency plans.

 

The SPGB are also so desperate to assert the importance of parliament that they attempt to deny that bourgeois state power lies elsewhere. When Class War argue that the real power of the state lies in the organs of repression, the permanent bureaucracy etc they are accused of “conspiracy theory” which then can be called “absurd”. But the spontaneous bowing of parliament to the needs of capitalism is plain for all to see and the SPGB accept this on p. 17. You don’t need a conspiracy theory to see that vested interests via lobbying, and think tanks set the agendas and define the limits of policy (one reason why any attempt to reform anything under capitalism sinks in the mire of its own contradictions). Political donations, control of the media, appointments of MPs and ex-Ministers to company boards etc are all part of the way in which capitalism ensures that capital dominates the political agenda. For the SPGB this is irrelevant since for them parliament is the main state organ and thus when they get a majority all these extra-parliamentary organs (including the armed forces and the police) will be so stunned by socialist argument and parliamentary legitimacy that they will be neutered.

 

There are other ways in which the SPGB don’t seem to take on the reality of what they are proposing. If they are for pure socialism (and we believe they are) what are their non-reformist minority MPs going to do whilst awaiting the time when they have 300 plus members in parliament (currently they have none and never have had one) to vote capitalism down? The people who elected them will expect some results in the course of a parliament, unless of course they no longer count on parliament, but then that begs the question as to why did they vote at all. Our new SPGB MPs will arrive in parliament to take the loyal oath to Her Majesty the Queen, and then what? The only concrete activity that the SPGB put forward is that they can use Parliament as a tribune to denounce the system. And after 5 years of doing that they expect to win a majority the next time round? They criticise the anarchists for putting forward “unrealistic alternatives” but nothing seems further from reality than the SPGB’s cosy view of the capitalist political system. The Anarchist Federation, for example, are castigated for envisaging the possibility that the capitalist class will actually put up a fight to defend its property (p.20)! It is clear that what the SPGB stands for is social pacifism and what they stand against is genuine class action. Capitalism will be safe for ever with these comrades.

 

In fact, what characterises genuine class action is beyond the SPGB. On p.19 they quote the Anarchist leaflet “What is Anarchism?”.

The authors of the ‘What is Anarchism?’ web-page leaflet mentioned above, which claims that “socialism cannot come through parliament”, agree with us that the revolution against capitalism must be a majority, participatory revolution. Central to our politics is the belief that ordinary people must make the revolution. Every member of the working class (workers, unemployed, housewives, etc.) has a role to play.
The trouble is they don’t seem to have thought through the implications of this. If on the eve of the revolution a majority of the population are in favour of it and are organised to participate in it, why should they not demonstrate this by putting up their own candidates to oppose and beat those who do support the continuation of the capitalist system? Naturally, these candidates would stand as mandated delegates not as unaccountable representatives. Being the majority, this would be reflected in a majority of seats in parliament. And if some pro-capitalists in the boardrooms, the armed forces or the police attempted a coup, what, as already pointed out, could they do against a participating majority committed to establishing socialism?
Once there is an organised, determined majority the success of the socialist revolution is assured, one way or the other. It is then a question of the best tactic to pursue to try to ensure that this takes place as rapidly and as smoothly as possible. In our view, the best way to proceed is to start by obtaining a democratic mandate via the ballot box for the changeover to socialism. The tactical advantage of doing this is that, when obtained, it deprives the supporters of capitalism of any legitimacy for the continuation of their rule.

 

This is the Monty Python path to socialism. The Anarchists talk of “revolution” as a single process (in our view, an error) but at least they see it as starting a process. The SPGB cannot conceive of a “revolution” until 50% plus 1 of the population is ready. For them “revolution” is a quiet vote, a polite discussion in parliament and the change in ownership of the means of production by legislative enactment? A splendid “tactic” which does not even actively involve most of the working class!

 

But here we are entering a Lewis Carroll world where “words mean what we say they mean”. Revolutions are certainly about more than change in government. They are fundamental shifts in class relationships and they either change the basic way we produce things or they fail. They are also messy unpredictable things but you would not think so reading this pamphlet.

 

In fact the pamphlet is entirely devoid of any reference to real struggles of real workers. It is a utopian plea to participate in the arena where the ruling class is strongest in order to defeat it. However the SPGB are absolutely certain that only they hold the key to the future of the working class. Anyone who advocates anything different is “unrealistic”.

 

The pamphlet arrives at this happy conclusion only by leaving out any discussion of how a real revolution can take place. The SPGB has long been an opponent of real class struggle which it equates with violence. In its founding Principles it states:

It is dangerous and futile to follow those who support violence by workers against the armed force of the state. Violent revolution has sometimes meant different faces in the capitalist class, always meant dead workers, and never meant the liberation of the working class. Unless workers organize consciously and politically and take control over the state machinery, including its armed forces, the state will be ensured a bloody victory.
Political democracy is the greatest tool (next to its labour-power) that the working class has at its disposal. When the majority of workers support socialism, so-called “revolutionary” war will not be required. The real revolution is for workers to stop following leaders, to start understanding why society functions as it does and to start thinking for themselves.

 

Between voting and violence there is nothing for the SPGB. In reality the very nature of capitalism is constantly throwing up class conflict even at times of relative class peace.

 

They see workers coming to understand the need for socialism only by “thinking for themselves” as individuals. This is the same appeal the capitalist makes in trying to stop workers take class action. In reality workers always “think for themselves” but they think different things at different times. When capitalism guarantees them a reasonable livelihood they accept it, and its media claims, to be the best of all possible worlds. However when the system begins to fail and enters into one of its periodic crises workers begin to “think for themselves” but not necessarily individually since their common experience begins to teach them more than all the lectures of the SPGB (or anyone else). This does not mean the end of the system but it does lead to collective resistance on an initially economic level. There is no mechanical link between the economic and political struggle (on this we can agree) but the struggles themselves have the potential to plant the germs of conscious opposition to capitalism. In some cases this consciousness takes political direction and this leads to the formation of class political organisations who make it their task to articulate the lessons of past historical achievements of the class. In doing so they help to define the communist programme.

 

At first is only a minority who tend to coalesce around a political party of the subordinate class. This minority is doomed for long periods to seem isolated and out of touch but the very contradictions of capitalism at certain point create wider class movements in which this minority works for revolution. Massive these movements might be but they still remain a minority of society. It will be a large minority (as in Egypt or Tunisia recently) which will launch the assault on the state. What transforms this minority into something more is the revolutionary act itself:

Both for the production on a mass scale of this communist consciousness, and … the alteration of men on a mass scale is, necessary, … a revolution; this revolution is necessary, therefore, not only because the ruling class cannot be overthrown in any other way, but also because the class overthrowing it can only in a revolution succeed in ridding itself of all the muck of ages and become fitted to found society anew.

 

History suggests that this does not come piecemeal but rapidly. Even those who have been expecting it will be overwhelmed by its force. In the course of it the movement may be peaceful (the bigger and more widespread the more peaceful it is likely to be) but even an overwhelming movement such as in Cairo may have to be extraordinarily courageous in the face of last ditch fight to the death by capitalists defending their property. The collapse of the forces of the state under this mass pressure is the best scenario for the collapse of capitalist order in any one area.

 

This is, of course, only the beginning of the story. The overthrow of capitalism and the establishment of socialism are not necessarily one and the same thing. People will be anti-capitalist before they understand fully what it means. This will be done via combination of propaganda/education and experience. The very process of revolution will lead people to practically solve the problems of how to organise by setting up assemblies, local committees and even workers’ councils based on recallable delegates. In the process people’s perceptions will also change. They will be ready to abandon the former mores of capitalism with its greed and selfishness. They will be more ready to listen to those who defend real socialism. Not all at once, but as the research into the behaviour of the mass movements in the French and Russian Revolutions have shown people began to behave differently in the process of mass action. Marx put this graphically in The German Ideology

… revolution is necessary, therefore, not only because the ruling class cannot be overthrown in any other way, but also because the class overthrowing it can only in a revolution succeed in ridding itself of all the muck of ages and become fitted to found society anew.

 

In contrast to the passive role of the voter under capitalism people will become, to use the words of the Anarchist Federation (quoted in the pamphlet), “energised”. It is only at this point when the old ruling class is on its knees that the implementation of a real socialist programme by the immense majority will be possible (provided that active within this movement are those campaigning for it).

Marx summed this up in the Theses on Feuerbach

The coincidence of the changing of circumstances and of human activity or self-change can be conceived and rationally understood only as revolutionary practice.

 

We do not know how this revolution will develop, or where it will take us, but we do know it will go beyond the mind-numbing passivity of voting for a capitalist parliament. Perhaps even the “changing of circumstance” will affect the SPGB and they will join the rest of us who also

want a classless, stateless, wageless, moneyless society based on common ownership and democratic control of the means of life.

 

Jock
 
 

(1) Although it has since shortened its name to the Socialist Party, the Socialist Party of Great Britain still retains the full title in some circumstances so we will call it the SPGB here. It is not to be confused with its SPGB’s splitters, the Socialist Party of Great Britain which produces Socialist Studies [for our debate with them see “The Fairy Story of the Parliamentary Road to Communism” in Revolutionary Perspectives 39] nor the Socialist Party of the former Militant Tendency after it was expelled from the Labour Party.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자본주의 쇠퇴 규정 폐기의 의미

  • 분류
    계급투쟁
  • 등록일
    2011/05/19 11:49
  • 수정일
    2011/05/19 12:47
  • 글쓴이
    자유로운 영혼
  • 응답 RSS

<자본주의 쇠퇴 규정 폐기의 의미>

 

 

1. 자본주의 쇠퇴 규정과 이행요구

 

우리가 자본주의 쇠퇴를 규정하는 문제는 단순히 좌익공산주의 혹은 트로츠키주의의 특정 경향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다.  “인류에게 더 이상 발전적. 진보적 생산양식이기를 멈춘  쇠퇴하는 자본주의, 인류에게 재앙과 파멸을 안겨다줄 썩어가는 자본주의, 즉 노동자계급에게 전쟁이냐 파멸이냐 혁명이냐를 선택해야 하는 역사적 시대 규정으로서의 자본주의”를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자본주의 쇠퇴 규정의 실천적 의미는 사회주의 혁명의 물질적 토대와 불가피성을 나타내줄 뿐 아니라, 노동자계급이 국가권력을 장악하고 사회주의 혁명을 직접적으로 실현해야 하는 '이행요구'를 강령으로 내거는 전제조건이기도 하다. 자본주의 쇠퇴 규정만이 혁명의 단계론적 사고와 최대강령/최소강령의 분리를 허용치 않는다. 한마디로 자본주의 쇠퇴 규정은 사회주의 혁명의 필연성과 시급성, 그리고 강령에서 혁명적 실천 강령인 ‘이행요구’로 표현되어진다.

 

그런데 현재 사노위에 제출된 강령초안 중에는 자본주의 쇠퇴 규정을 아예 부정하거나 누락시킨 강령들(3인안, 제4인터안)과, 비록 단일한 근거로 쇠퇴기 자본주의를 분석하고 있지는 않지만 강령의 기초를 자본주의 쇠퇴와 프롤레타리아 독재, 그리고 그것에 근거한 이행요구를 내거는 강령(5인안)으로 제출되어 있는데, 이것은 인위적으로 통일될 수 없는 근본적인 사상적인 차이를 포함한다.

 

아직 5인안 강령은 완성되지 않았고 현재에도 앞으로도 꾸준히 검증받으며 건설되어야 할 진행형이기 때문에, 비록 ‘자본주의 쇠퇴의 근거’가 아래 제시한 4가지 경향이 혼재되어 있을지라도 그것을 이유로 혁명 강령의 기초가 되는 원칙마저 훼손될 수 는 없다. 그 근거야말로 당 추진위 단계에서 심화된 강령토론을 통해 보다 구체화되고 엄밀해져야할 과제일 뿐이지, 폐기해야 할 대상이 아니다. 오히려 자본주의 쇠퇴 규정을 폐기하라고 요구하는 것이야말로 무기로서의 강령의 근본체계를 흔들어 결과적으로 '혁명이론 없는 혁명전략'을 가공하여 '원칙 없는 실천‘을 강제하는 개량주의적 발상이다. 또한 쇠퇴규정의 폐기를 주장하는 이들 중 일부는 자신들의 가장 강력한 강령적 무기인 이행요구의 물질적 토대마저 제거하게 되어, 이행요구를 최소강령 수준으로 추락시킨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

 

 

2. 자본주의 쇠퇴 규정의 근거

 

1) 맑스, 엥겔스의 역사적 유물론적 쇠퇴규정 : 사멸해가는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상승기와 쇠퇴기 규정

 

2) 레닌, 트로츠키(볼셰비끼, 스파르타쿠스 그룹 등)의 쇠퇴기 규정 : 제국주의 시대, 전쟁과 혁명의 시대인 자본주의 쇠퇴 규정

 

3) 로자 룩셈부르크의 쇠퇴기 진입 규정 : 이윤율 저하 경향을 상쇄할 수 있는 외부시장 소진 문제(잉여가치 실현문제)에 착목한  쇠퇴기 진입규정

 

4) 폴 매틱 등의 이윤율저하 경향에 따른 자본주의 쇠퇴 규정과, 이윤율 하락 경향과 시장 포화론의 상호작용과 종합적 판단에 근거한 쇠퇴 규정

 

 

3. 3인안과 정원현 동지의 왜곡 

 

1) 3인안에서 제기하는 ‘외부시장 소멸론의 비과학성’ 문제는 자본주의 쇠퇴 규정의 악의적 왜곡이다. 우리는 외부시장 소진(시장포화)만이 자본주의 위기의 근본원인이라 주장한 것이 아니라, “과잉생산, 공황, 이윤율 저하경향” 등의 자본주의 근본적 위기가 외부시장이 소진됨으로써 더욱 촉진되고 전면화 되었다는 입장이다. 5인안은 위(2번 항목)에 언급한 4가지 근거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자본주의 쇠퇴를 규정하고 있는 것이지, 시장포화라는 한 가지 근거만을 절대화시키지 않았다. 다만 근거들의 연관성은 추후의 과제로 미루어 놓았을 뿐이다.

 

자본주의 쇠퇴 경향을 ‘외부시장 소진’으로만 설명하고 있지 않다는 것은, 아래 1914년 이후 자본주의(5인안 해설서)를 주목해보라.

 

“1914년 이후 ("쇠퇴시기" "제국주의의 쇠퇴 시기" "자본의 실질적 통치" 라 불리기도 하는)의 특징은, 이전 시기와는 대조적으로, 자본이 팽창하고 사회적 재생산이 수축한다는 점이다. 전후 붐(1945-1970)과 같은 회복은 그러한 재구성을 수반했는데, 이 재구성을 가능케 한 것은 초기 대량 파괴(두 번의 세계대전, 불황의 10년, 파시즘 그리고 스탈린주의), 세계체계의 재편성(영구 프랑스 제국의 종말, 마샬 플랜 하에 이루어진 세계경제 - 구소련  블럭과 중국을 뺀- 의 "달러 블럭"으로의 변환, IMF 와 세계은행, 그리고 이전에 대체된 국가시장에 의해 억제되어왔던 20-30대의 신기술(주로 자동차나 가전제품과 같은 내구성 소비재)에 근거한 새로운 "가치 기준"의 강제 등이다. 이러한 재구성은 1966년 경기후퇴 (일본, 독일, 미국), 1968년 달러 위기와 브레튼 우즈 체계의 재정적 붕괴(1971-73)와 함께 동력을 다 소모해버렸다. 문제들이 풀려나가던 전후로 수십 년간 가장 치열한 계급투쟁이 벌어진 것도 우연이 아니었다.”

 

그리고 3인안의 ‘생산력 정체의 비과학성’ 이라는 규정도 5인안 해설에서 다룬 쇠퇴의 근거를 애써 외면하고 있는 것일 뿐 어떠한 반박의 근거도 없다.

 

한 사회의 쇠퇴의 시기는 생산력 성장의 총체적이고 영원한 정지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이 “성장의 명백한 약화”에 의해 설명된다. 따라서 결정적이고 돌이킬 수 없는 “갈등의 출현”이 낡은 사회의 쇠퇴의 시대를 여는 것이지, 생산력 발전의 정지가 그것을 여는 것이 아니다. 1914년 제국주의 전쟁, 1917년 러시아 혁명은 이러한 결정적이고 돌이킬 수 없는 “갈등의 출현”을 나타내준다“

 

2) 쇠퇴라는 용어 자체와 사회주의 혁명의 필연성을 주장한다는 이유로 이른바 ‘파국론’, ‘자동붕괴론’의 혐의를 두는 것 또한 자본주의 쇠퇴를 부정하기 위한 논리비약에 불과하다. 쇠퇴라는 용어는 ‘노쇠의 시기’,  ‘퇴행하는 사회체제’,  ‘생산력 발전의 족쇄’등으로 표현되듯이, 천천히 진화되는 ‘경제적 토대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지, 짧은 기간 사회적 급변을 나타내는 ‘혁명적 정세’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자본주의 쇠퇴를 부정하는 동지들은 쇠퇴의 규정이 ‘파국론’ 이나 ‘자동붕괴론’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근거 없는 상상을 할 것이 아니라, 야만의 자본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사회주의 혁명이 필요하며, 노동자계급 스스로 혁명을 수행해야 한다는 쇠퇴론의 핵심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노동자계급이 자본주의 생산관계를 파괴하는 임무를 아직 수행하지 않는 한, 자본주의 생산관계는 생명을 유지하면서 인류를 점점 더 지독한 모순들 속으로 몰고 간다는 것을 말한다.”  “자본주의 생산양식이 살아있는 한, 인류는 그 생존을 위협당하면서 이 죽어가는 체제가 부과하는 파국의 증대를 감수해야 하는 운명에 처해있다. 이것은 쇠퇴하는 자본주의 파국 속에서 전쟁이냐? 파멸이냐? 혁명이냐? 의 선택이 오로지 노동자계급에 달려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3) 마지막으로 3인안과 정원현동지 등이 주장하는 “자본주의 쇠퇴 규정이 노조개입, 의회전술 거부로 이어진다.” 는 비약이야 말로 중상모략에 가깝다. 오히려 개량이 불가능해지고 상설적 대중조직의 유지가 어려워진 상황에서 혁명정당의 절대적 필요성과 대중기관에서의 혁명적 실천(현장분회 건설, 강화)이 즉시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근거로 사용되고 있다. 자본주의 쇠퇴를 규정한 강령이야말로 주체들의 역할을 극대화하여 권력 장악을 위한 혁명적 실천을 이행요구에 담을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5인안 강령초안의 문구 중에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쇠퇴하는 자본주의에서 계급투쟁은 노동자계급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들이 있다. 첫째, 노동자계급의 투쟁에 의해 쟁취 되는 지속적인 개선이 더는 불가능하여, 그것의 경제적인 이해관계에 근거한 특별하고 영구적인 조직들을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그것은 여전히 노동조합을 통해 생존권을 방어하고 자본가계급과 투쟁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산업별 혹은 대규모의, 대공장 노동조합들은 그것을 설립했던 당시의 그 기능을 상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

 

즉, 자본주의 쇠퇴기에 총자본의 쇠퇴는 노동자계급에게도 투쟁을 통해 쟁취되는 개량의 한계를 분명히 하여, 투쟁을 중심에 둔 전투적인 계급조직은 상시적이고 항구적으로는 유지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에, 전통적인 노동조합들이 전투성을 잃고 자본에 포섭되던가, 투쟁이 아닌 협상을 통해 그 조직형식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지배적이다. 이것은 여전히 노동조합을 통해서만 노동자계급의 자기방어와 자본과의 투쟁이 가능하고, 미조직 노동자들의 단결을 이끌어낼 수 있지만, 산업별 혹은 대공장 노조 조직들이 출범당시의 본래 기능을 상실했다는 사실 또한 부정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러한 노조주의, 계급협조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혁명당의 강령과 계급투쟁 전술이 필요하다. 이것은 때때로 노동조합 자체를 넘어서야 하기도 하며, 혁명시기에는 그것의 완전한 극복만이 계급의 조직을 혁명기관으로 전환시켜낼 수 있다. (위의 강령문구는 이정도로 누구나 인정하는 사실에 근거한 일반적 서술이다. 여기에는 현재의 노동조합운동에 안주하고 있는 사회주의 활동가들에 대한 경고의 메시지도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이문구 하나를 두고 “노동조합 포기주의”, “노조활동 무용론”이라고 공격을 해온다. 정작 자신들이 전투적 조합주의를 지지하는지 전면적으로 거부하는지, 노동조합 특히 대공장 노조가 아직도 건강하기 때문에 혁신만 하면 된다는 건지, 노조개입 전술이 있기는 한지, 강령적 내용을 갖고 실천을 해온 건지 밝히지도 않은 채...

 

분명히 말한다. 노동조합의 성격이 혁명성을 잃고 자본의 도구가 되어 가고 있으며, 노동자평의회로 향하는 유일한 경로가 아니라는 명백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의 전투적 노동자계급이 여전히 노동조합에 속해있고 그곳을 기반으로 투쟁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이 존재하고 있는 노동조합이라는 공간에 개입하고 함께 투쟁해야 한다는 것과는 충돌되지 않는다. 노조의 한계를 지적하는 것과 그것에 대한 개입을 기권하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이다.

 

다만 전체 노동자계급을 향해야 하는 혁명당에서는 90%이상의 노조밖에 있는 노동자들에 대한 계획과 전망을 강령으로 반드시 제출해야 하며, 노동조합 안에서 활동 하는 것조차 전체 노동자계급을 향한 활동이어야 하며, 평조합원들이 노동조합의 한계를 넘어 혁명적으로 나아가고 행동할 수 있도록 '강령적 실천'을 하는 것이어야 한다.

 

이것이 바로 5인안의 강령체계가 사회주의 혁명으로 향하는 수미일관한 체계이며, 가장 실천적인 강령임을 증명하는 사례이다. 

 

마지막으로 혁명정당 건설을 위해 노동자계급에게 혁명 강령을 제출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운동의 확장과 조직 확대를 위해 자신의 무기마저 내려놓고 오로지 다수파에게 손을 내밀어야 하는 척박하고 일천한 당 건설 운동의 환경과 그것조차 넘어서지 못하는 이탈파들의 가련함에 애도를 표한다.     (이형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강령토론회 - 5월10일] 혁명정당 강령 정립을 위한 토론회 - 3차

  • 분류
    계급투쟁
  • 등록일
    2011/05/09 01:21
  • 수정일
    2011/05/09 07:48
  • 글쓴이
    자유로운 영혼
  • 응답 RSS

중국, 북한, 쿠바를 계승하겠다고?

 

 

무엇을?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노동자권력를? 

노동자통제 없는 국유화를???   가짜 사회주의 환상과 스탈린주의 잔재를???

 

우리가 계승해야 할것은 1917년 최초로 이루어 낸 노동자계급 스스로의 혁명과  그 위대한 역사적 창조물인 노동자평의회 권력이다.

또한 스탈린주의 반혁명에 목졸림당하고 살해당하면서도 항상 노동자계급의 권력과 해방을 지향했던 혁명적 원칙,  국제주의 공산주의 원칙이다.

 

 

 

노동자국가?   주체형성?

 

프롤레타리아 독재는 자본가계급에 대한 독재이지 노동자계급을 향한 그 어떠한 통치 행위도 아니다.  사회주의는 생산 수단의 사적 소유와 양립할 수 없지만, 사적 소유의 부재(사회주의 경제의 창조를 위한 필요 불가결한 전제조건임에도)는 그것 자체로 사회주의와 동의어가 아니다.  노동자국가는 오로지 전체 노동자계급의 통제 아래 존재할때 사회주의와 동일시 될 수 있다.  계급으로써의  노동자계급 전체를 포괄하는 권력형태는 노동자평의회 권력으로 현실화 되었으며,  프롤레타리아 독재는 노동자평의회 체제이다.

 

혁명당은  노동자계급의 권력장악,  노동자계급의 권력(노동자평의회 체제)에 대한 절대적 방어,  세계혁명, 공산주의 사회로의 이행에 복무하는  노동자계급의 전위이자,  혁명적 계급의식의 담지자이자,  끊임없이 변화 발전하는 공산주의 강령의 실체이다.  그리고 공산주의 강령의 현실화는 오직 노동자계급 스스로에 달려있다.  

 

노동자계급의 자립성은 사회 내부의 모든 다른 계급들에 대한 노동자계급의 독립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자립성은 계급의 혁명 활동을 위해 하나의 불가분한 전제조건을 나타내는데, 노동자계급만이 유일한 혁명계급이기 때문이다.  노동자계급의 자립성은 계급의 자립적 조직인 노동자평의회와 계급의 정치조직인 혁명당과 강령으로 표현된다. 노동자주의 또는 써클주의 관점에서의 노동자계급의 자립성은 단지, 노동자계급으로 자칭하기는 원하는 작은 파벌로서 자신의 자립성을 보여줄 뿐이다. 그들은 결국 전체 노동자계급이 다른 계급들에 대해 갖는 자립성이 아니라, 같은 노동자계급 내의 다른 부분들에 대해서(작업장들, 업종들, 노동조합들, 지역들, 부문운동사이의) 자립성을 가져올 뿐이며, 나아가 이들의 부문운동, 지역운동의 총합으로써의 주체형성 전략은 정치조직에서의 연방주의를 강화한다.

 

혁명적 주체형성  노동자계급의 혁명기관인  노동자평의회와 혁명정당으로  모아져야 하며, 현실에서의 맹아는 오직 계급투쟁속에서 노동자계급 스스로의 의지와  혁명가들의 강령적 실천을 통해 창출될 뿐이다.

 

 

 



[혁명정당 강령 정립을 위한 3차 토론회]

일정 : 2011년 5월 10일 오후 3시
장소 : 전국철도노동조합 서울지방본부 2층 강당

1주제 : “프롤레타리아 독재와 ‘역사적’사회주의”(오후 3시)
- 발제 : 오세철 / 사회 : 고민택
2주제 : “노동자계급의 권력장악을 위한 이행요구”(오후 5시 30분)
- 발제 : 양효식 / 사회 : 고민택

동지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 사노위 혁명정당 강령 정립 모임-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