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어머니' 호칭이 문제되는 이유

  어제 대우건설 집회에 갔다가 노학연의 '활동가' 2호를 받았다. 받고서 읽다가 어머니에 대한 호칭 문제에 대한 단락을 보고 전에 했던 고민(트랙백-[왜 꼭 "어머님" 일까?] 에 관련된 글)을 좀 더 구체적으로 정리할 필요가 있겠다 싶어, 게시판에도 남기고 블로그에도 남기고.

 

 


 

 

 활동가 2호 잘 받았습니다. 여러가지 이야기할 것이 많겠지만, 저는 대우건설 투쟁글에서 '왜 대우건설 여성노동자들은 어머니가 아닌 동지인가'라는 단락에 대한 생각을 올려보고자 합니다.

 

 

  이 단락의 내용을 제가 요약해보자면 "나이 많은 여성노동자를 어머니로만 인식하는 것은 문제가 있는데, 이는 보호해주어야할 대상으로 바라보게 되기 때문"이라는 것 같습니다. (제 독해가 잘못된 것이라면 지적해주세요.) 그런데 이 논리에는 상당한 비약이 있고, 사실 정확하게 어머니와 보호라는 개념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여성이라서 보호를 해야한다는 것인지, 나이가 많기 때문에 보호를 해야한다는 것인지, 아니면 어머니라는 정의 자체에 보호해주어야된다는 관념이 있는건지....말이죠.

 

  제 생각으론 '어머니'라는 호칭은 여성을 남성과의 관계, 특히 남성을 중심으로 한 가족관계 속에서만 사고하는 방식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즉, 여성은 개인 그 자체로 독립적이고 주체적이며 활동적인 것이 아니라, 남성과의 관계(가족관계)속에서만 의미를 획득합니다. 가부장적 사회에서 여성들은 독립적인 개인으로 존재할 수가 없습니다. 어릴 때는 아버지로부터, 커서는 남편으로부터, 나이가 들어서는 아들로부터 보호받아야 하죠. 그렇지 않은 여성들-결혼을 하지 않거나, 자식을 낳지 않거나, 돌봄 노동을 하지 않으면- '가족을 내팽겨치는 비정한' 혹은 '사회성이 결여되었거나 심한 경우 정신세계에 이상이 있다'고 비난을 받게 되고요. 어느 책에선가 '어머니'는 곧 아버지의 '아내'이기 때문에 어머니 개념과 아내 개념은 연결될 수밖에 없다는 내용의 글을 본적이 있는데, 그래서인지 나이가 든 여성들은 누군가의 '아내'이거나 '엄마'일꺼라고 당연하게 간주됩니다. 그녀가 실제로 결혼을 했는지 아이를 낳았는지는 별로 중요하지 않은거죠. 나이가 든 여성들을 한 치의 의심도 없이 '아줌마' '어머니'라고 뭉뚱그려부르는 걸 보면, 나이 든 여자가 '아이를 낳지 않고' '남자와 함께 하지 않은 채' 혼자 살아간다는 것을, 또 그것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는 권리가 있다는 걸 상상조차 하기 힘든 것일런지도 모르죠.
 
   만약 결혼을 통해 가족관계를 꾸린 여성들이 다른 식의 정체성을 갖고(예를 들어 노동자) 활동하더라도, 사람들은 가족과 가족과의 관계는 그녀에게 가장 우선적인 과제이고 그렇지 않더라도 최소한 반드시 병행해야만 하는 '의무'로 생각합니다.예전에 이런 얘기를 들은 경우가 있습니다. 결혼한/아이를 가진 여성활동가들은 회의를 할때마다(회의는 보통 저녁시간 시작해서 밤 늦게까지 하죠) 곤욕스럽다고 하더군요. 가사노동과 양육을 위해 집으로 일찍 돌아가면 "활동가로서의 자세가 투철하지 않다"고 비난받고, 밤샘회의를 하면 "집과 아이를 내팽겨쳐두는 여자"로 비난받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같은 연령대의 남성노동자들에게는 최우선적인 것이 '활동'이고 그가 가사노동이나 양육을 병행하지 않더라도 비난 받을 일은 결코 없죠. 그래서 저는 '어머니'라는 호칭 뿐만이 아니라 '아줌마', '아가씨'(아가씨의 대립항은 아줌마죠)라는 호칭들, 유독 여성노동자들에게만 붙는 '아줌마' 조합원, '어머니들'...을 문제삼아야 하는 이유도 같은 맥락에서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식의 사고는 글쓴 동지가 서술해놓은 것처럼 당사자 여성들을 대상화함으로써 여성들 스스로가 주체화되는 것을 막습니다. 그녀들의 노동을 '생계에 절박한 것'이 아니라 '언제든지 그만둘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처럼, 그녀들의 투쟁'만'이 조합주의적이고, 미숙한 것처럼 말이죠. 특히 (나이와 관계없이) 여성노동자들의 투쟁에서 남성 간부(혹은 지도부)들의 태도가 대리주의적인 경향을 띄는 건 이런 맥락과 무관하지 않다고 봅니다. 

 

 

 



 덧붙여, 왜 대우건설 여성 노동자들은 '어머니'가 아닌 '동지'인가

 

 대우건설 조합원 가운데 나이가 많으신 여성 동지들이 많으십니다. 그래서 그런지 많은 사람들이 여성조합원 동지들을 보고 "우리 어머니 같은 분"이라고 얘기합니다. 실제로 어머니와 비슷한 연령의 여성 동지들이기는 하지만, 나이 많은 여성 노동자들을 단순히 '어머니'로만 인식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여성 조합원 동지들을 투쟁에 함께 하는 동등한 동지가 아닌 보호해주어야 할 대상으로 바라보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래서 여성 조합원들을 투쟁의 주체가 아닌 보조적인 역할로 한정짓게 됩니다. 그래서 진정으로 여성 노동자들의 문제를 고민한다면 '여성 동지들을 보호해주는 것이 아닌, 여성 동지들이 주체적으로 함께 활동하고 투쟁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