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정신 현상학 A. 의식 II. 지각; 혹은 사물과 착각 (번역 재개) -가재걸음: (§ 6) 분석 및 번역 (5)

4. 넷째 문장

 

„Das Wahrnehmende hat das Bewußtsein der Möglichkeit der Täuschung; denn in der Allgemeinheit, welche das Prinzip ist, ist das Anderssein selbst unmittelbar für es, aber als das Nichtige, Aufgehobene.“


 

„Das Wahrnehmende hat das Bewusstsein der Möglichkeit der Täuschung.“(„지각하는 [의식은] {착각}의 가능성도 의식하고 있다.“)


 

어? 흄과 칸트에 따르면 {착각=Illusion}은 불가피한 것으로서 필연성에 가까운 것인데 헤겔은 가능성이라고 한다.


 

헷갈린다. 흄-칸트의 {필연성}은 헤겔의 {가능성}과 같은 것인가?


 

1) 이해 첫 접근


 

{착각}의 맛이 각기 뭔가 다르다. {착각=Illusion}의 필연성하면, 흄과 칸트에게는 뭔가 해서는 안 되는 일이지만, 그래도 할 수 없는, 빼도 박도 못하는 {나쁜} 필연성이다. 근데, {착각=Täuschung}의 가능성하면 뭔가 좋게 들린다. 빼도 박도 못하는 상황이지만 달리 뭔가 할 수 있다는, 선택의 여지가 있다는 맛을 준다. 말장난 같지만 {착각=Illusion}의 필연성은 {착각=Täuschung}이 가능해야만 그런 게 아닌가? 다시 말해서 어떤 {구체적인} {착각}행위가 가능해야만 그런 게 아닌가? 그렇다면, 흄과 칸트의 필연성은 현실에서 별 볼일 없는 추상인가?

 

헤겔의 {착각=Täuschung}은 {나쁜} 필연성이 아니라 {좋은} 필연성이라고 할 수 있을까? 좋은 필연성이라면 {착각=Täuschung}의 의미에도 변화가 있을 것 같다. {착각=Täuschung}이 의식이 할 수 있는 일이라면, {착각=Täuschung}은 긍정적인(positiv-ponere-setzen-gesetzt-정립된) 것이다. 이 정립은 우선 ‘이것’과 ‘저것(=이것이 아닌 것)’ 간의 관계인데, 어쨌든 ‘이것’과 ‘저것’을 바꾸는 행위다.

 

그래서 „Das Wahrnehmende hat das Bewusstsein der Möglichkeit der Täuschung.“은 „지각하는 의식은 [이것과 저것을] 바꿔치기하는 가능성을 (혹은 이것과 저것을 바꿔치기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의식하고 있다.“ 정도로 번역될 수 있겠다.  

 

번역 첫 시도에서 „Täuschung“을 „불량거래“로 번역한바 있다. "täuschen"(기만하다)의 어원 ”tauschen"(교환하다)에 기댄 번역이었다. 이제와서 보니 그리 틀린 번역이 아니었던 것 같다.

 

문제는 {번역}이다. „täuschen“의 몸체에 있는 이런 'Schein'이 어떻게 다른 말의 몸체로 {번역}될 수 있는가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