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정신 현상학 A. 의식 II. 지각; 혹은 사물과 착각 (번역 재개) -(§ 12)

[보이스 오버]

 

자 이제 의식이 이전에 [대상과 지각간 불일치가 발생할 때의 비진리를] 자기의 탓으로 돌렸던 것과 지금 자기의 탓으로 돌리는 것, 그리고 이전에 [진리인] 사물의 전유물(專有物)로 확정했던 것과 지금 확정하는 것을 돌이켜보자. 그러면 의식이 번갈아가면서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사물을 똑 같이 두 갈래의 것, 즉 여럿이 없는 순수한 하나와 [이에 대립되는] 독자적인 물질들로 해상(解像)된 또한으로 만든다는 결과로 이어진다. 결국 의식은 이와 같은 비교를 통해서, 그가 진리를 취할 때, 받아들임(Auffassen)자기-안으로-뒷걸음질함(In-sich-zurückgehen)이란 차이(Verschiedenheit)가 자기에게서만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참다운 것 자체, 즉 사물이 이와 같은 이중적인 양식으로 자신을 드러낸다는 것을 발견한다. 이와 함께 [사물에 대한] 경험으로 [의식에게] 남게 되는 것은 사물이 나타날 때, 받아들이는 의식(das auffassende Bewußtsein)에게는 단지 특정한 양식으로(auf eine bestimmte Weise) 나타나지만, 그러나 동시에 그런 [의식에게 자신을 드러냈던] 양식으로부터 벗어나 자기 안으로 반성된 것, 달리 표현하면  사물이 [하나의 진리를 갖는 것이 아니라, 이에] 대립되는 진리를 그 자체에서(an ihm selbst=사물에서 진리와 이에 대립하는 진리가 아직 분별되지 않은 상태/Ungeschiedenheit, 즉 아직 für sich가 아닌 상태) 갖는다는 것이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정신 현상학 A. 의식 II. 지각; 혹은 사물과 착각 (번역 재개) -(§ 11)

[보이스 오버]

 

허참, 저놈 봐라! 제법인데. 우주의 신비를 깨닫네. 처음엔 달이 지구에 찰싹 붙어서 지구와 함께 원을 그리듯이 다람쥐 체 바퀴돌기만 하더니, 이젠  달이 지구에서 떨어져 나와 스스로 원을 그리듯이 지각함에서 떨어져 나와 자기도 원을 그리네! 그러나 “원들의 원”(“ein Kreis von Kreisen”, 논리학, 절대적 이념)은 소원하기 그지없다.

 

 

위와 같이 개진된 지각함에서는 이제 의식이 지각함과 동시에 [단지 진리(=대상)로부터 꺾여 나와 자기 안으로 뒷걸음질하는 가운데 지각함으로부터도 떨어져 나와 지각함과 대상(=진리)을 마주하는데 그치는 일직선의 반성운동만을 하지 않고] [직선의 처음과 끝을 굽혀 연결하여 원을 그리듯이] 자기를 자기 자신 안으로  다시 한 번 더 꺾어 들어가는 반성[운동]을 하고, 그러는 가운데 지각함에서 <또한>에 대립되는 모멘트(Moment)가 발견됨을 스스로 의식한다. 이 모멘트(Moment)를 명명하자면(aber) 사물의 자기(자신과의)통일성(Einheit des Dings mit sich selbst)으로서 모든 구별을 자기 밖으로 따돌리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바로 이것을 의식이 짊어져야 한다. 왜냐하면, [진리가 되는 사물 자체는 [자기(자신과의)통일성이 없고, 단지] 다수의 차별된 그리고 독립적인 성질들의 존립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물에 대하여 이런 저런 언명이 있다. 예컨대 사물은 희고, 또한 입체적이고, 그리고 또한 톡 쏘는 짠맛이 있다는 등 갖가지로 언명된다. 그러나 사물이 흰색인 한에서 입체적이지 않고, 그리고 흰색이고 입체적인 한에서 톡 쏘는 짠맛이 아니다. 이런 성질들을 하나-안으로-정립함(In-eins-setzen)오직 의식이 떠맡아 해야 하는 일이다. 그래서 의식은 사물(안)에서는 성질들이 [안쪽으로 붕괴되듯이] 하나로 떨어지게 해서는 안 된다(앞에서 개진된 사물에 따르면 진리인 사물에서 성질들이 그런 식으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의식은 ‘한에 있어서’(das Insofern)란 표현을 차용하는데, 의식은 이 표현의 힘을 빌려 성질들을 겹치지 않게 펼쳐 사물을 [일반매체가 되는] <또한>으로 유지한다. 그러나 의식이, 성질이라고 명명된 것이 자유로운 물질(freie Materie)로 표상되게끔 통일(Einssein)을 [사물에서는 말끔히 말소하고 오로지 자기의 것으로만 하여] 짊어질 때 비로소 의식이 진정한 의미로 통일을 짊어지게 된다. 사물은 이렇게, 물질들의 집합이 되고, 그리고 하나가 되는 대신 그저 에워싸는 표면만이 되는 가운데 진정한 <또한>으로 우뚝 추켜세워진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