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더러운 땅 앉지 않는 큰기러기, 착지 동작도 ‘만점’

더러운 땅 앉지 않는 큰기러기, 착지 동작도 ‘만점’

윤순영 2017. 10. 27
조회수 355 추천수 0
 

강한 가족애와 부부애로 예부터 친근한 새, 한강하구에 출현해 가을 알려

농경지는 아파트와 창고로 바뀌어, 멸종위기종 지정됐다지만 위협은 여전

 

크기변환_YS1_0375.jpg»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큰기러기.

 

9월 28일 큰기러기가 어김없이 한강하구에 찾아 왔다친숙한 겨울철새인 큰기러기가 계절의 변화를 알린다.

 

한반도를 찾아 오는 큰기러기는 중간 기착지인 한강하구에 잠시 머문 뒤 천수만우포늪주남저수지 등 우리나라 전역에서 월동한다우리나라에서 겨울을 나는 대표적인 겨울철새다.

 

크기변환_DSC_0675.jpg» 한강하구 갯벌에서 먹이를 먹고 있는 큰기러기 무리.

 

크기변환_YS1_8778.jpg» 이른 아침, 추수가 끝난 논에 떨어진 낱알을 먹으러 날아드는 큰기러기.

 

큰기러기는 행동이 묵직하다가족애가 강해 가족과 먹이를 함께 먹고 이동도 같이 한다가족이 사고를 당하면 좀처럼 그 자리를 뜨지 않는다.

 

다친 가족을 위해 상처가 아물 때까지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는 사례가 종종 관찰되곤 한다큰기러기는 한 번 짝을 맺으면 평생을 함께하며 암컷과 수컷 중 하나가 남게 되더라도 새로운 짝을 맺지 않고 홀로 사는 새다.

 

크기변환_YS1_0025.jpg» 날개를 뒤로 한껏 젖히고 힘을 싣는 큰기러기.

 

크기변환_YS1_0022.jpg» 속도를 줄이기 위해 날개를 최대한 펼쳐 공기의 저항을 늘린다.

 

크기변환_DSC_4132.jpg» 주변을 경계하는 큰기러기.

 

가을에 무리지어 찾아오는 새라 하여 추금(秋禽)’, 달 밝은 밤 갈대 숲을 찾아 기러기 떼가 날아드는 광경에 달밤에 떠다니는 새라 하여 삭금(朔禽)’이라고도 한다계절이 변하는 소식을 전해주는 새로 여겨져 편지를 雁書(안서)’라고도 했다기러기만큼 많은 이름을 가진 새도 없을 것이다.

 

크기변환_DSC_9541.jpg» 초저녁 달과 함께하는 큰기러기.

 

크기변환_YSJ_8635.jpg» 달을 스쳐가는 큰기러기.

 

갈대 ()’와 기러기 ()’을 쓴 노안도(蘆雁圖)에서는 저녁노을의 붉은 해 혹은 달을 그렸다해 질 무렵 기러기가 갈대밭 잠자리로 찾아들어 편안하게 쉼을 상징한다이 한국화에는 다른 사물을 그리지 않는다노안(蘆雁)을 늙은 노(편안할 ()’의 의미로 여겨 노후의 안락함을 기원하는 그림으로도 그렸다.

 

크기변환_YSJ_9360.jpg» 석양빛에 물든 하늘을 나는 큰기러기.

 

안평대군의 회화 수장목록에는 안견의 노안도 한 폭이 언급되어 있고, 조선시대 노안도 가운데는 신사임당의 그림 두 점이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지금도 변함없이 화가들은 기러기 그림을 그린다모든 사람들로부터 사랑받는 새임이 분명하다.

 

크기변환_YS1_9939.jpg» 혼자 나는 기러기는 외롭다. 그래서 자기가 있는 곳을 소리 내어 알리며 날아간다.

 

단풍이 들면 우리나라를 찾아오고 얼음이 풀리면 번식지로 돌아가는 큰기러기는 암컷과 수컷 모두 어두운 갈색과 흰색주황색 3가지 색으로 멋을 부리지 않는다어두운 갈색으로 몸보다 어둡게 보이는 목은 몸보다 길고 앞가슴은 연한 회갈색이며 주황색의 다리는 짧아 뒤뚱뒤뚱 걷는다. 유난히 하얀 엉덩이는 우습게 실룩거리지만 해학적이다.

 

크기변환_YS1_7886.jpg» 착지를 위해 속도를 줄이는 큰기러기.

 

크기변환_YS2_7388.jpg» 큰기러기는 항상 무리를 이루어 나는 습성이 있다.

 

검은 부리 중간에 주황색 띠가 선명하고 날개깃 중심은 어두운 갈색이다. 깃 가장자리엔 흰색 테두리가 있어 물고기의 비늘이 박혀 있는 것처럼 눈에 띈다.

 

내려앉을 때는 짧은 꼬리 끝 가장자리 흰 선이 부채 모양으로 활짝 펼쳐져 순박한 아름다움을 더한다육중한 몸을 하늘에 맡기고 힘차게 나는 모습은 하늘을 당장이라도 부숴 버릴 것 같은 힘을 느끼게 한다.

 

크기변환_YS1_9785.jpg» 큰기러기의 뒷모습.

 

크기변환_YS1_9777.jpg» 날다가 서로 부딪힐 것 같지만 그런 일은 없다.

 

지난 날 농한기 겨울철 기러기들이 수난을 당하기도 했다독극물과 엽총으로 사냥하는 모습을 흔하게 볼 수 있었다현재는 야생동식물 보호법에 의해 포획이 금지되어 평화롭게 살고 있지만 그렇다고 위협이 모두 사라진 것은 아니다.

 

크기변환_YSJ_9175.jpg» 큰기러기의 비상.

 

크기변환_DSC_8544.jpg» 농경지를 매립하고 들어선 건축물과 비닐하우스는 큰기러기의 월동을 힘들게 한다.

 

크기변환_YSY_8583.jpg» 농경지의 볏짚 수거는 월동하는 큰기러기의 먹이 부족을 초래한다.

 

3월이면 번식지로 돌아가는 기러기는 남쪽의 봄소식을 전하며 민가 근처 농경지로 날아들어 더욱 친근감이 든다물가 가까이 있는 농경지를 좋아한다. 밤하늘을 떠가며 과안과안~’ 울어대는 소리는 깊어가는 가을을 얘기하는 듯하고갈대와 황금 벼 이삭과 어우러져 날아드는 모습은 넉넉함을 안겨 준다수천 년을 부모로부터 이어온 본능으로 변함없이 찾아오지만 그들의 땅은 점차 사라지고 있다.

 

 큰기러기 착지 연속 동작

 

크기변환_YS1_9980.jpg

 

크기변환_YS1_8973_00001.jpg

 

크기변환_YS1_8976_00001.jpg

 

크기변환_YS1_8979_00001.jpg

 

크기변환_YS1_8981_00001.jpg

 

크기변환_YS1_8958.jpg

 

크기변환_YS1_8982_00001.jpg

 

큰기러기는 우리에게 가장 정겨운 새다. 이 땅을 버리지 않는다면 기러기는 자연과의 약속을 지키며 이곳을 변함없이 찾아올 것이다기러기는 높이 날면서 더러운 땅에는 머무르지 않는다. 그리고 그런 곳에선 사람도 살 수 없다.

 

·사진 윤순영한국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한겨레 환경생태 웹진 <물바람숲필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