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국정원 대선 개입 규탄’ 언론인 시국선언

‘국정원 대선 개입 규탄’ 언론인 시국선언
 
[0호] 2013년 08월 08일 (목) 13:36:30 이기범 언론노보 기자 bumcom@daum.net
 
 

8일 프레스센터 앞 기자회견 … 서명에 1954명 동참

국정원 대선 개입 규탄과 민주주의 회복을 촉구하는 언론인 시국선언이 8일 오전 11시 서울 중구 태평로 프레스센터 앞에서 열렸다. 시국선언 참가자들은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국정원 사태의 진실을 규명하고, 국민 앞에 진심으로 사과할 것을 요구했다.

이날 발표된 ‘벼랑 끝에 내몰린 민주주의,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라는 내용의 시국선언문에는 신문 방송 출판 언론유관 등 언론노조 소속의 현직 언론인 1855명과 언론시민사회단체 99명 등 모두 1,954명이 동참했다.
 

   
 
 


언론인 시국선언 참가자들은 “국정원이 지난 대선에서 여당 후보를 당선시키기 위해 조직적으로 개입했고, 경찰은 이를 의도적으로 왜곡했다”며 “선거 중립을 지켜야 할 국가기관들이 정권의 하수인을 자처하며 범죄를 공모, 은폐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어 “국정원의 선거 개입을 다룬 시사프로그램과 뉴스가 방송되지 못하는 일이 비일비재하고, 독재정권에서나 있을 법한 국가기관의 보도 통제가 버젓이 자행되고 있다”며 “보도통제에 맞서 진실 규명과 함께 국정원 개혁을 위한 단호한 투쟁을 전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강성남 언론노조 위원장은 "언론장악으로 그들이 하고자 했던 것이 무엇인지 명확해졌다. 민심을 왜곡시켜 정권, 자본이 함께 이나라를 망가트리려는 것이 목적이었다"며 "언론인들은 이제 더 이상 굴종의 역사를 이어가지 않겠다. 다시 나서서 바로 잡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신승철 민주노총 위원장은 "현재 박근혜 정부와 그 주변의 수구세력들은 진실을 왜곡하고 은폐하고, 진실을 이야기 하는 사람들에게 탄압을 하고 있다"며 "(이 자리는) 본인의 가치와 행동이 일치하지 않는데서의 갈등을 극복하고 저항과 투쟁을 선언하는 자리다. 언론노조의 결단과 투쟁에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전했다 .

이명순 동아투위 위원은 "언론계 현역들이 모여 시국선언을 한다고 해서 기쁜 마음으로 나왔다"며 "현재 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가는 언론에 역할이 달렸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고승우 80년해직언론인협의회 공동대표는 "박정희가 총칼로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찬탈했다면 박근혜 대통령은 사이버 쿠테타를 통해 대통령 직을 강탈한 것"이라며 ""현업언론인들이 오늘처럼 진작에 뛰쳐나왔더라면 오늘날 국정원 사태는 벌써 종식되었을 것이다. 전직 언론인으로서 오늘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박래부 새언론포럼회장은 "국정원과 경찰, 새누리당이 민주주의를 유린한 사실에 대해 우리는 더이상 놀라지도 않는다. 비통하고 개탄스럽다"며 "우리가 이렇게 무감각하고 무신경하게 된 데는 언론이 작용했다는 사실도 중요한 사실이다. 이 기회에 언론의 자유를 다해 빼앗긴 민주주의를 되찾아 민주주의 선거를 회복하고 자유언론을 회복해야한다"고 밝혔다.

남상석 SBS본부장은 "시국선언 명단을 조직하면서 말을 꺼내기도 전에 조합원들이 서명에 동참하겠다는 의지를 신속하게 보여주는 모습에 놀랐다"며 "그만큼 언론 현실이 암담하고 어두운 상태다. 언론자유와 공정보도는 언론인들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오늘 시국 선언을 계기로 교묘한 언론 탄압을 분쇄하고 깨 나가는 데 다시 한번 결연한 의지를 다지겠다"고 밝혔다.

언론노조는 오는 10일 전국 곳곳에서 열리는 ‘국정원 정치공작 대선 개입 규탄 범국민 대회’에 결합하겠다고 밝혔다.
 

   
 
 

 


[언론인 시국선언문]

벼랑 끝에 내몰린 민주주의,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

민주주의와 헌정 질서를 파괴한 국가정보원의 대선 개입 사건이 정치권의 진흙탕 싸움과 언론의 외면으로 묻히고 있다. 본질을 흐리는 물타기와 조직적인 비호, 사실 관계의 왜곡과 축소 등 작금에 벌어지고 있는 일련의 사태를 지켜보며 우리 언론인들은 참담한 심정을 가눌 길 없다. 피와 눈물로 이룩한 우리사회의 민주주의가 송두리째 무너지는 상황을 목도하도록 강요당하고 있는 것이다.

이번 사건의 진실은 명료하다. 국정원이 지난 대선에서 여당 후보를 당선시키기 위해 조직적으로 개입했고, 경찰은 이를 의도적으로 왜곡했다는 것이다. 선거 중립을 지켜야 할 국가기관들이 정권의 하수인을 자처하며 범죄를 공모, 은폐한 것이다.

석고대죄해도 모자랄 판에 국정원은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을 불법적으로 공개하며 NLL 의혹을 제기했고, 여당인 새누리당은 이에 동조하며 사건의 본질을 흐리는 데 심혈을 기울였다. 나아가 새누리당은 국정조사에 합의해 놓고도 여전히 어깃장 놓기와 태업으로 진실 규명을 방해하고 있다. 국정원은 오만방자하게도 국정조사 출석을 거부하거나 거짓 변명으로 일관해 국회와 국민을 우롱하고 있다. 이것이 민주주의 국가라는 대한민국의 부끄러운 민낯이다. 국민들은 이제 국정조사를 통해 이번 국기 문란 사건의 진실이 규명될 것이라고 거의 믿지 않고 있다.

언론도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다. 시간이 지날수록 시민들의 분노의 촛불은 더 뜨거워지고 있지만 언론인은 침묵하거나 왜곡 보도의 첨병 역할을 강요당하고 있다. 국민과 진실의 편이기를 거부한 많은 언론사의 경영진과 간부들은 정권의 눈치를 보는 데만 급급하다. 국정원의 선거 개입을 다룬 시사프로그램과 뉴스가 방송되지 못하는 일이 비일비재하고, 독재정권에서나 있을 법한 국기기관의 보도 통제가 버젓이 자행되고 있다. 선배 언론인들이 투쟁과 희생으로 쟁취한 언론의 자유마저 땅에 떨어지고 만 것이다.

우리 언론인들은 한없는 자괴감과 절망감을 딛고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진실 규명에 나서야 한다. 국민 앞에 진심으로 사과하고, 국정원과 경찰의 부당한 정치 개입에 대해 철저하고 엄중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 정치권은 국민에게 더 이상 죄를 짓지 말고 국정원을 뿌리부터 개혁해야 한다. 이것이 온 국민의 열망과 열사들의 희생으로 이룩한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회복하는 길이다. 우리 언론인들도 보도 통제에 맞서 진실 규명과 국정원 개혁을 위한 단호한 투쟁을 전개할 것이다.

2013년 8월 8일

언론인 시국선언 참여자 일동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