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추다르크’ 추미애냐 ‘민생 실력자’ 우원식이냐, 국회의장 놓고 맞대결

 

국회의장 후보 민주당 추미애 의원과 우원식 의원. ⓒ민중의소리
22대 전반기 국회의장을 정하는 민주당 경선이 추미애 의원과 우원식 의원 간의 2파전으로 변경됐다.

국회의장은 다수당에서 선출한 후보가 본회의 의결을 거쳐 확정된다. 의석 과반을 점한 민주당 경선으로 사실상 의장이 결정된다.

당초 민주당 의장 후보 경선에는 6선의 추미애, 조정식 의원과 5선의 우원식, 정성호 의원 등 4명이 참여해 뜨거운 경쟁이 예고됐다. 성향으로 보면 추미애, 조정식, 정성호 의원이 범친명 그룹으로 분류되고, 우원식 의원은 김근태 의원과 가까웠던 민주평화국민연대(민평련) 그룹의 좌장 격이다.

12일 경선 구도가 급변했다. 친명계 ‘좌장’으로 불리는 정 의원이 먼저 후보 사퇴를 선언했다. 오후에는 조 의원이 추 의원과 회동한 뒤 지지를 선언했다. 두 사람은 합의문을 통해 “국민과 당원이 바라는 개혁국회 구성을 위해 국회의장 선출에 있어 경쟁보다는 순리에 따라 최다선 중 연장자인 추미애 후보를 단일 후보로 추대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추 의원과 우 의원 두 사람이 의장을 놓고 경쟁하게 됐다. 이날 단일화 합의에 우 의원은 “우리는 개혁국회를 만들어야하며, 선수는 단지 관례일 뿐”이라며 “지금 중요한 것은 성과 내는 국회를 만들 적임자가 누구냐이다”라고 주장했다.

추 의원은 ‘추다르크’라는 별칭이 상징하듯 강력한 투쟁력을 자랑하고 있다. 거부권 남발로 훼손된 입법부의 권위를 세우고 민심을 반영해 개혁입법을 밀고 나가겠다는 의지를 강조해왔다.

우 의원은 을지로위원회를 만들고 자리 잡게 한 주역으로서 민생 분야에서 높은 성과를 쌓아왔다. 거부권을 넘어서는 정치력과 민생정책의 실력으로 국회의 역할을 강화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두 사람 모두 총선에서 드러난 민의를 반영해 윤석열 정부의 국정기조를 바로잡기 위해 의장이 단순한 중재자를 넘어 입법부 수장으로 적극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은 같은 목소리를 내고 있다.

22대 전반기 국회의장을 맡을 최종 후보는 16일 민주당 당선자 총회에서 결정된다. 이후 국회 본회의를 거쳐 의장으로 정식 선출된다.
 

“ 김도희 기자 ” 응원하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