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분류 전체보기

[펌]소르본, 다시 저항의 상징으로

Sorbonne, le retour d'un symbole

소르본, 다시 저항의 상징으로

 

Publié le 15 mars 2006

 

Après Mai 68, Mars 06 ? Voilà une semaine que le site parisien connaît une agitation quotidienne. Comme leurs aînés, les manifestants anti-CPE veulent faire de la Sorbonne le lieu symbolique de leur contestation. Et déterrent l'arsenal soixante-huitard. Occupations de locaux, manifs, pavés... En face, l'extrême droite se réveille. Et au milieu, les CRS. Cliquez sur la photo ci-dessous.

68년 5월 다음은 2006년 3월? 여기 이 파리구역이 일상적인 동요를 겪는 일주일을 보라. 그들의 선배들 처럼 CPE(최초고용계약법) 반대 시위자들은 소르본을 그들의 저항의 상징적인 장소로 만들기를 원한다. 그리고 68세대의 무기고를 발견한다. 점거, 시위, 보도블럭... 반대편에서는 극우파가 깨어난다. 그리고 그 중앙에 CRS(공화국기동경찰대)대원들이 있다.      

 


Jeudi 9 mars, en milieu d’après-midi, les étudiants à l’extérieur de la Sorbonne viennent soutenir la soixantaine d’occupants du site symbolique, fermé depuis la veille. Le lendemain, plus de trois cent manifestants les rejoindront, déjouant les cordons de CRS et pénétrant dans la faculté en brisant les vitres du rez-de-chausée. PHOTO AFP/ Olivier Laban-Mattéi

3월 9일 목요일 오후, 소르본 밖에 있는 학생들이 전날밤부터 폐쇄된 상징적인 장소에 있는 60여명의 점거자들에게 지지를 보내온다. 다음날, CRS의 방어선을 피해 1층 창문을 깨고 들어올 300여명 이상의 시위자들이 합류할 것이다.

 


Samedi 11 mars, au petit matin, les CRS ont évacué la cour d’honneur de l’établissement, après quelques heurts minimes avec les occupants. Le recteur de l’Académie de Paris ordonne la fermeture de la Sorbonne et évalue le coût des dégâts entre 500 000 et un million d’euros. Les étudiants, dépités, ne s’avouent pas vaincus. Chassés par la police, ils scandent : « La Sorbonne aux étudiants ». PHOTO AP/ Jacques Brinon

3월 11일 토요일 아침, CRS대원들이 점거자들과의 사소한 충돌 이후 소르본의 '명예의 뜰'에서 몰아냈다. 파리대학 총장은 소르본의 폐쇄를 지시하고 50만에서 백만유로의 피해액을 추산한다. 학생들은 패배를 인정하지 않는다. 경찰에 붙잡힌 이들은 "소르본을 학생들에게"라고 박자에 맞춰 구호를 외쳤다. 

 


Lundi 13 mars,  en début d’après-midi, les étudiants se réunissent à la faculté de médecine, toute proche, afin de voter la continuation de leur mouvement de grève. Regonflé à bloc, ils retournent manifester dans le Quartier Latin. PHOTO AP/ Michel Euler

3월 13일 월요일, 이른 오후, 학생들이 그들의 동맹휴업을 계속할 것인지 투표하기 위해 가까운 의대건물에 모였다. 다시 세력을 확대한 그들은 라탱지구의 시위로 돌아갔다. 

 


13 mars toujours, avec les lycéens de Montreuil en renfort, les anti-CPE « jouent le rapport de force » avec les CRS et tournent autour de la Sorbonne. En fin d’après-midi, ils investissent les locaux du Collège de France. Une quarantaine d’étudiants occupera le haut-lieu de la recherche universitaire française quatre heures durant, avant l’évacuation policière, vers 22h. PHOTO AP/ Michel Euler

여전히 3월 13일, Montreuil고등학생들이 가세한 CPE반대자들은 CRS와 소르본 주변에서 '힘겨루기'를 했다. 늦은 오후, 그들은 꼴레쥬드프랑스를 포위한다. 40여명의 학생들이 경찰이 몰아내기 전까지 4시간동안 프랑스 최고 대학연구기관을 점거할 것이다. 

 


Mardi 14 mars, une manifestation spontanée de 5 000 jeunes, partie de la place d’Italie en début d’après-midi, se terminent devant la Sorbonne. Décidés à en découdre, 2 000 à 3 000 manifestants font monter la pression. Rapidement, les CRS leur lancent des gaz lacrymogènes. PHOTO AP/ Michel Euler

3월 14일 화요일, 이른 오후 이태리광장을 출발한 5천명의 젊은이들의 자연발생적인 시위는 소르본앞에서 끝났다. 싸우기로 결정한 2, 3천의 시위자들은 경찰의 진압수위를 높이게 만들었다. 즉시 CRS는 그들에게 최루가스를 뿌렸다.  

 

 

En début de soirée, les premières charges se succèdent. Ainsi que les interpellations, parfois musclées. Il y en aura neuf au total. PHOTO AP/ Michel Euler

이른 저녁, 첫번째 체포작전이 이어졌다. 이처럼 종종 강제적인 방식으로. 총 9명이 연행되었다.

 


Comme en Mai 68, l’extrême droite se mêle à la partie. Une centaine de militants se réclamant de la «fédération des étudiants contre le travail perturbé», vient faire le coup de poing. PHOTO AFP/ Olivier Laban Mattéi

68년 5월처럼, 극우파가 한편에 섞여 있었다. "학업방해에 반대하는 학생연합"이라 내세운 100여명의 당원들이 또하나의 상황을 만들었다.

 

 

Grilles d’arbres, fumigènes ou pavés… Les forces de l’ordre ne sortent pas indemnes de l’affrontement. Selon la préfecture de police, neuf personnes, dont un commissaire de CRS sont blessés. En revanche, aucun chiffre n’est fourni sur d’éventuels blessés parmi les manifestants. PHOTO AP/Michel Euler
나무격자, 연막탄 혹은 보도블럭... 공권력은 출동에서 피해를 면하지 못했다. 경찰청에 따르면, CRS대원 1명을 포함한 9명이 다쳤다. 반면, 시위자들 사이에서는 인명피해에 대한 어떤 수치도 발표되지 않았다.
 
 
Diaporama réalisé par Stéphane Alliès (lefigaro.fr)
 
출처 : 르피가로 http://www.figaro.fr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민주노총 2/1 임시대의원사태, 어떻게 볼 것인가

(www.pssp.org에서 펌)

<현 사태에 대한 게시판 토론을 위해 개인적인 단상들을 급하게 두서없이 썼습니다. 고려하여 여러분의 토론에 보탬이 되기를 바랍니다>


1/ 향후 사태 진행방향에 대하여

- 신문방송언론에서는 이번 사태를 민주노총 강경파의 폭력난동으로 규정하면서, 노사정 대화시도 좌절을 중점적으로 문제 삼고 있다. 민주노총의 내부분열과 폭력사태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민주노총 강경파 분리 매도에 중심이 실린 것이다.

- 이수호 집행부는 이번사태를 민주노총 대의원이 아닌 일부단체, 학생, 비조합원(해고자, 비정규직, 미조직사업장)이 일으킨 폭력사태로 규정하고, 이들 비대의원, 비조합원들의 참여와 이들과 함께 움직인 대의원 조합원들에게 책임을 돌리고 있다.

- 사태를 주도한 세력들은 아직까지 뚜렷한 입장을 밝히고 있지 않지만, 사회적 교섭안 철회에(두 번의 대대 유예로 결과) 실패한가운데 우파와 여론의 역공에 노출되어있는 처지인 것은 분명하다.

- 이번주중 중앙위원회와 2월말 임시대의원대회 개최. 사회적교섭 안건은 재상정될 듯 하다.

- 이수호 집행부는 2/1 사태 책임추궁과 함께 여론의 추이에 따라 위원장집행부 사퇴-재신임안으로 자기세력 결집과 공세적인 국면전환을 노리는 대응방안을 구사할 가능성도 매우 크다.

- 임시국회에서 비정규 개악안이 통과될 경우와 유예될 경우가 있을 것이다.
국가보안법 처리 등을 둘러싼 한나라-열린 우리당의 대치가 명쾌하게 정리되지 않는 경우 비정규개악안은 이번 임시국회에서도 유예될 가능성이 높다. 열린우리당으로서는 민주노총 강경파의 분리타격을 통한 민주노총의 노사정위 복귀를 작은 않은 플러스요인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단순히 사회적교섭안 철회를 방침으로 한 전노투 측의 물리적 동원이 1/16대대와 2/1대대 수준으로 조직되고 실행되기는 만만치 않다. (2/1 대대에서 시도된 안 철회/투표저지 방침만으로는) 중앙파와 비전노투세력의 적극적인 참여가 쉽게 보장되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 집행부 재신임안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교섭안 철회를 집행부 탄핵 수준으로 높이지 않는 한 수세적 위치에 몰린 전노투 측의 국면전환은 어렵다. 그러나 집행부 탄핵은 실질적인 성과가 보장되는 2월파업(당면 비정규개악안저지)계획이 뒷받침되지 않는 한 채택되기 곤란하기 때문이다.


2/ 쟁점 추출


1/ “사회적 교섭철회 입장은 옳았으나, 문제제기 방식에 과도함이 있었다”는 식의 양비론은 현상황의 개선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 같은 양비론은 (분리될 수 없는) 입장과 문제제기방식에 대한 평가를 관념적으로 분리함으로써 벌어진 폭력사태에 맞서기 보다는 그것을 (관념적인 분리평가방식을 통해 지체된 노동자운동 혁신의 필연적인 귀결이라기보다는) 사후적인 평가의 형태로 회피 가능한 무언가로 부당하게 위치 짓기 때문이다. 평가의 핵심은 양측의 입장대립이 물리적 충돌방식으로 변질된 원인에 대한 사고이다.
그렇지 않다면, 전노투 등의 대응이 우파지도부에 대한 책임전가를 통한 반정립인 것처럼 전노투 등에 대한 책임전가를 통한 ‘반정립의 반정립’ 이상이 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신자유주의 하에서 ‘우파의 타협과 변절’이 운동위기진행의 구조적인 조건인 것처럼 ‘좌파의 무능’ 또한 비난과 책임전가로는 풀릴 수 없는 구조적 조건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먼저 이수호 집행부의 사회적교섭안 강행처리 방침과 전노투의 사회적교섭안 철회방침의 충돌이 왜 물리적 충돌로 치달았는지를 발본적으로 숙고해야 한다. 양측의 대립이 물리적 충돌로 치달은 본질적인 이유는 당면한 「비정규개악안 저지 2월파업」과 구조조정저지투쟁의 불확실한 전망에 대한 뚜렷한 대안이 상호부재한 가운데, 양측의 대립이 대안부재의 책임전가 양상으로 변질되었기 때문이다. 이수호집행부가 투표강행과정에서 보여준 비민주성과 전노투의 물리적 대응방식의 한계는 오히려 부차적인 원인이다.
양측의 물리적 충돌이 벌이지고 있던 현장에 걸려있던 「2월 총파업, 비정규개악법안저지」 플랭카드가 위기에 빠진 민주노총의 조직적 이념적 구조를 공유하는 강온파가 제각기 다른 방식으로 내세우는 대안부재책임의 알리바이였다는 사실이야말로 현 사태 근본적 평가의 출발점이다.


2/ 이수호집행부와 전노투등의 반대파는 「2월파업-비정규개악안저지」를 공히 민주노총이라는 노조조직 차원의 이익을 방어하는 「구조조정 저지」투쟁의 관점에서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경제위기국면에서 미시적 경제정책조정의 성격을 가지는 구조조정을 막아내기 위한 방어적 활동이 어떤 유의미한 성과를 내올 것이란 확신은 누구에게도 없다.
이수호집행부의 「사회적 교섭안」이 이같은 현실을 고스란이 받아들이는 대안이라면(투쟁과 교섭의 병행으로 표현된 허구적인 사회적 교섭과 정치적 경제주의 혹은 우파적으로 재해석된 사회적 연대), 전노투의 「사회적 합의주의 반대-실질적 총파업안」은 구조조정 저지투쟁의 형식으로는 극복되기 어려운 의지주의적인 대안이다.
경제공황시기에 기존의 고용-임금 및 노조조직을 방어하기 위한 투쟁은 지배체제와 지배계급의 위기 진행과정에 뒤따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종종 대중의 일차적인 저항은 지배계급내 개혁분파의 정치적 동원에 종속된다. 집단적인 형태의 저항행동 마저 지배계급이 단결한 결과이지 피지배계급이 단결한 결과가 아니며, 이 과정에서 (기존 체계에 머물러있는) 조직대중의 자기방어행동은 점차로 내외부적으로 의심되고 공격받는 자기한계의 정당성여부에 골몰하게 될 수밖에 없다.

이때 대안체계적인 관점과 이에 부합하는 운동이 등장하기 이전에 객관적으로 주어진 운동의 방어적 한계를 받아들일 것이냐 거부할 것이냐의 형태의 쟁점은 기본적으로 자기파괴적인 성격을 가진다.
(망하는 회사에서 회사-현장을 벗어나는 계획 없는 구조조정반대는 노조사수VS구조조정수용으로, 국민경제적인 민족(국가)적 대안을 벗어나지 못하는 반세계화 대안은 산업별 이해에 종속된 국제경쟁력-수출경쟁력 확보로 귀결되어 산업별 이해관계와 위계화에 기반하여 분열된 노동자들 간의 대리전이 된다.)

그렇다면 지배계급의 정치적 동원을 벗어나기 위한 해결책은 무엇일까? 혹은 그 해결책을 찾아가기 위한 우리의 원칙은 무엇일까? 아마도 그것은 지배계급의 대응에 의해 출현하게 되는 새로운 계급투쟁의 조건을 객관적인 기반으로 하는 대안체계적인 운동 형성의 성패에 달려 있을 것이다. 또한 대중의 자기방어행동은 정치적으로 한계적이지만, 그 자체로 정당하며, 대안체계적인 행동은 자기방어행동의 외곽이 아니라 그 내부로부터 형성된다는 점이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우리가 가장먼저 확인해야할 기본원칙이 아닐까한다.


3/ 이수호집행부의 사태책임 추궁 방향은 기본적으로 비조합 단체, 비대의원 현장조합원의 대대 참가제한과 대회장내 질서규율 확보일 가능성이 높다. 2/1 사태의 직접적인 도화선이 되었던 것도 참관인석의 연호(대회장 참가)에 대한 물리적 제지였다.

그러나 민주노총 조직의 폐쇄성이 강화되는 방향은 사태를 더욱 악화시킬 것이란 점은 분명하다. 민주노총은 그 설립과정에서 비노조노동자운동단체 배제, 지역운동으로부터의 노동자운동 철수를 감행함으로써 탈사회운동적인 방향을 지향했다. 오늘의 사태가 이러한 반사회운동적 지향이 빚은 근본적 혁신 지체의 결과라고 본다면, 비노조 운동단체, 해고자, 미조직-비정규직 비조합원, 비대의원 평조합원의 대의원대회 논의참여-참관을 제한하고, 토론질서규율을 강화하는 등의 대응방향은 이러한 민주노총의 운동사적 역행에 입각한 반동적인 대응인 것이다.

민주노총의 대표성 위기는 오히려 조직구조를 더 열린 구조로 혁신하는 방향을 통해서만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민주노총 지도력/조직력의 위기의 원인은 이수호집행부가 주장하는 바와 같이 현장(동력)과 무책임한 전투성도 아니며, 우파 지도부의 타협과 변절도 아니다. 자본주의 구조적위기와 이에 동반하는 민족국가-정치의 위기, 말하자면 집단적해결방식의 포기와 대안부재가 그 원인이다. 때문에 그 대안 역시, 전투성의 완화, 강경지도부구축이 아니라 민주노조운동의 보다 확장된 연대와 민주적 관계의 재정립 과정을 통해 새롭게 형성되어야하는 과제인 것이다.

4/ 그간 우리가 줄곧 주창해온 노조조직의 사회운동적 개조, 사회적 연대 실현의 문제의식에 입각해볼 때, 노동자운동의 새로운 대안적 방향을 추상적인 차원에서나마 정리해보자면, 그것은 첫째, 현장주의와 정파성의 동시극복을 통한 노동자 사회운동의 실현, 2> 인간학적(성적 지적) 차이속의 평등과 국제주의에 적합한 새로운 노동자운동 형태 창출일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단식 평화 순례를 떠나며...>

<단식 평화 순례를 떠나며...>
  
  전쟁을 막지 못한 우리들의 무관심과 잘못을 참회하고 전쟁 희생자들에게 용서를 청하며, 추가 파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간절히 호소하고 기도했던 단식 40일.
  
  8월3일에 이어 8월28일은 우리나라가 전범국가로 역사에 기록된 치욕스런 날입니다. 노무현 정부는 국민의 마지막 기대와 바람을 저버리고 '도둑파병'을 강행함으로써 우리 국민을 전범 국가의 국민으로 전락시키고 말았습니다. 굴욕적이고 반생명적이며 반평화적인 추가파병은 돌이킬 수 없는 재앙이 되어 노무현 정부에게 부메랑으로 돌아올 것입니다.
  
  희망은 아직 꺾이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파병철회를 통해 많은 가능성과 희망을 보았습니다. 이제 생명과 평화, 한국군 완전 철군과 이라크 평화를 염원하며 희망의 고리, 생명 평화의 고리를 만나는 여정을 시작하고자 합니다. 생명 평화를 간절히 원하는 한사람 한사람이 맞잡은 그 손에 진정한 희망이 있습니다. 한사람 한사람이 생명 평화의 고리가 되고, 고리와 고리가 만나 평화의 물결이 되어 침략전쟁을 막고 생명과 평화를 살아 숨쉬게 할 것입니다.
  
  단식은 끝이 아니라 시작입니다. 예수님께서 단식을 시작으로 하느님 나라 운동을 시작하셨듯이 생명과 평화를 위한 운동은 이제 시작인 것입니다. 단식 41일째의 첫걸음은 모든 생명과 평화를 위하여, 두 번째 걸음은 한국군의 완전한 철군과 이라크의 평화를 위하여, 세 번째 걸음은 단식평화순례길에서 만나게 될 모든 평화고리들을 위하여 내딛을 것입니다. 그리고 수천 수만의 희망을 안고 다시 이곳 청와대로 돌아올 것입니다.
  
  생명 평화의 순례 길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2004년 9월3일 단식 40일째 청와대 앞에서
  김재복 수사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한일 FTA 체결반대 및 밀실협상 중단 기자회견문

한일자유무역협정(FTA) 5차 협상에 즈음한 한일FTA 체결 반대 및 밀실 협상 중단 기 자 회 견 2004. 8. 23(월) 11:00 경상북도 경주 현대호텔 앞 • • • ■ 주 최: 전국민중연대, 자유무역협정․WTO반대 국민행동, 의료시장개방저지공대위원회, 범국민교육연대, 민주노동당, 민주노총 【 기자회견문 】 민중생존권 파괴, 밀실협상 한일자유무역협정 반대한다! 한국과 일본 양국은 오늘부터 8월 25일까지, 서울에서 350㎞나 떨어진 경상북도 경주에서 한일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위한 5차 협상을 진행한다. 작년 12월 협상이 개시된 이래 많은 시민사회단체와 노동자․민중이 한일FTA에 상당한 우려를 표명하였음에도, 양국 정부는 지난 4차 협상에서 “포괄적이고 수준높은 FTA를 체결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하였고, 지난 7월 22일 제주에서 개최된 한일정상회담에서는 FTA 체결을 위한 “환경조성을 위해 공동으로 노력할 것”을 다짐했다. 그리고 5차 협상인 오늘부터는 본격적으로 “통합 협정문”을 논의하겠다는 등 오히려 더욱 졸속으로 밀실에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초국적 자본에게만 자유를 부여하는 신자유주의 ‘자유무역’ 질서는 WTO 형태로든, FTA 형태로든 민중에게는 삶의 파탄을 의미한다. 이런 본질은 한칠레FTA를 통해 현실로 나타나고 있으며, 최근에 타결된 WTO의 도하개발의제(DDA) 기본골격에서 확인되었고, 지금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한일FTA를 통해 더욱 명확해지고 있다.


우리는 FTA의 파괴적 효과를 이미 경험하고 있다. 작년에 체결된 한칠레FTA로 과수 농가를 중심으로 농가 파탄이 속출하고 있어 250만 농민들은 농사 짖기를 포기해야 실정이 되었다. 정부 관료가 예견했던 대로 250만 명에 달하는 농민은 40만 농민시대로 본격 진입하고 농촌에서 퇴출된 농민들은 자본과 정권이 좋아하는 도시의 비정규 노동자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 이런 현실을 눈앞에 두고도 한국과 일본 양측 정부가 밀실협상으로 한일FTA를 졸속으로 체결하려는 목적이 무엇인가? 노동자 민중에게 한일FTA이란 구조조정을 강요하고, 항시적 고용불안과 비정규직을 더욱 양산하는 노동시장 유연화 정책이다. 협상 과정에서 일본 측은 한국의 노동기본권과 단결권을 보장하기 위한 여러 법․제도를 ‘비관세 장벽’으로 취급하면서 철폐하라고 주문하고 있다. 최근 서울재팬클럽은 한국에 단시간근로자 노조전임자수 감축․임금지불 금지, 노조의 불법노동행위 엄정․신속 대처, 정규직 해고조건 완화 등 13가지 노동 관련 건의사항을 한국정부에 제출했다. 일본 자본의 이런 뻔뻔한 요구들이 FTA의 ‘비관세조치’를 통해 관철될 경우, 노동자의 삶은 완전히 파괴될 수밖에 없다. 아울러 ‘무역의 신속화’를 명분으로 식품 및 의약품 등이 안전한지 여부를 각 국이 검토할 기회를 박탈하는 ‘상호승인’제도를 도입하려고 하고 있으며, 투자를 활성화한다는 명목 하에 투기자본을 투자로 둔갑시키는 조치들을 협정에 포함시키려 하고 있다. 양국 간 지적재산권 보호 조치를 강화함으로써 초국적 자본의 이윤을 보장하면서 의약품이나 정보에 대한 민중의 접근권을 제한하는 내용도 포함시키고 있다. 아울러 한국 정부는 조만간 기간산업과 공공서비스 사유화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서비스 양허안을 일본에 제출한다고 한다. 많은 연구자들이 내놓고 있듯이, 한일FTA가 체결되면 관세가 상대적으로 높은 한국은 중화학공업이나 자동차, 기계조립산업을 중심으로 타격이 매우 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일 무역적자가 더욱 심해질 것이라는 예고는 정부와 산하 연구소들이 작성한 보고서에도 나와 있는 바이다. 일본 자본은 한국에의 수출 증대로 환호성을 지를 것이며, 한국 기업들은 이를 핑계삼아 해고와 구조조정을 강화할 것이다. 더욱이 경제규모가 9배나 큰 일본과 한국의 시장통합은 일본 거대 경제구조에 한국 기업이 수직 계열화되는 예속적 경제구조를 더욱 고착화하게 된다. 한국 정부는 중국, ASEAN이나 남미와 FTA를 체결해 수출을 증대함으로써 한일FTA의 부정적 효과를 만회한다고 하지만, 이것은 허상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우리는 너무나 잘 안다. 정부는 ‘자유무역’이 대세라며, 대외 무역에 의존적인 한국 경제의 유일한 살 길이라며 FTA 체결을 정당화하고 있다. 그러나 WTO와 지역 또는 양자간 FTA에 대한 전세계의 거센 저항은 ‘자유무역’이 절대 대세가 아님을 증명한다. 그리고 FTA가 체결되면 체결될수록 한국 경제의 대외의존도가 더 높아지면서 오히려 경제위기 가능성이 커진다는 사실 또한 이미 세계 곳곳에서 증명된 바 있다. 우리는 한일FTA이 가져올 전사회적 불행과 파괴를 지적하며 협상을 즉각 중단할 것을 양국 정부에 요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국 정부가 협상을 지속한다면, 이 협정의 체결을 저지하기 위한 우리의 투쟁은 더욱 거세질 것이다. 이에 우리는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 하나, 밀실협상을 즉각 중단하고 모든 내용을 공개하라! 하나, 노동권을 말살하고 사회공공성을 파괴하는 한일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즉각 중단하라! 하나, 전세계가 외치고 있다! 노동자 농민 다죽이는 WTO 반대한다! DDA 협상 중단하라! 2004년 8월 23일 전국민중연대 자유무역협정․WTO반대 국민행동 의료시장개방저지공대위원회 범국민교육연대 민주노동당민주노총 【 참고자료 】 <일본에서 한국에 보낸 연대메시지> 한국의 투쟁하는 동지들에게, 바다를 사이에 두고 일한자유무역협정 저지를 위해 싸우는 한국의 모든 동지 여러분들께, 일본으로부터 연대의 인사를 보냅니다. 오늘 23일부터 25일까지 경주에서 일한FTA의 제5회 정부간교섭이 열립니다. 우리들은 한국의 동지여러분들이 이번 제5차 교섭에 반대하여 경주시내에서 항의 집회를 가질 것이라는 소식을 접하였으며, 이에 뜨거운 연대를 보냅니다. 저희들도 오늘 한국의 동지 여러분들이 투쟁하는 시간에 동경의 외무성 앞에서 항의 집회를 가질 것 입니다. 현재 각국 정부는, 지난 7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WTO일반이사회에서 도하개발아젠다의 기본골격이 합의된 것을 바탕으로, 지금까지 진행해 온 양자간․지역 FTA의 체결교섭을 한층 더 강력히 추진하려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일본과 한국정부는 일한조약체결 40주년이 되는 2005년 초에 일한FTA를 체결하고, 이를 계기로 ASEAN각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각국과의 FTA체결을 추진, 중국을 포함하는 동아시아지역의 자유무역권을 창출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일본정부는, 국가간의 경제 역학관계가 여실히 반영되는 양자간FTA교섭에 있어서, WTO 이상의 이슈를 제안하여 토요타와 소니 같은 일본계 다국적기업의 이익을 확보하려 하고 있습니다. 일한FTA에서는 ‘비관세조치’(NTMs를 명목으로 한국의 노동운동에 대한 탄압 조항을 삽입하려 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 일본정부는 다른 국가와의 FTA교섭에서, '비지니스환경정비'라는 항목을 삽입하려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기업환경에 방해가 되는 문제들을 검토하기 위해 양국이 '기업환경정비위원회'를 구성하며, 필요하다면 상대국 정부에게 시정을 권고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예로 일본과 멕시코 사이의 FTA에서는 제조거점으로서의 매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임금인하 등의 ‘법개정을 포함하는 노동개혁’을 들 수 있습니다. 이처럼 노동운동뿐만 아니라 농민운동, 환경보전운동, 소비자운동 등 우리들의 생활에서 빠질 수 없는 권리와 운동의 성과가 ‘[비관세조치’ 및 ‘기업환경정비’라는 명분으로 탄압받게 되는 것입니다. 지난 8월10일, 한국에 진출한 일본계기업의 모임인 서울재팬클럽(SJC)은, 한국정부에 대하여 49개 항목으로 된 ‘사업환경 개선을 위한 SJC건의사항’을 제출하였습니다. 이 가운데 13개 항목은, ‘노동/노사관계 분야’에 관한 사항입니다. 여기에는 한국노동운동에 대한 적대적 자세가 노골적으로 표명되어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과도하게 노동자에게 유리한 노사협정 및 관행의 시정”, “격렬한 노동쟁의가 횡행하지 않도록 정부와 각종기관이 철저하게 지도할 것”, "법정퇴직금제도의 폐지", "무노동 무임금 원칙의 철저한 준수" 등 기존의 건의사항에 추가하여, "노동조건의 하향조정이 가능한 제도의 도입 및 보급", 정당한 이유없이 해고한 사업주에 대한 벌칙과 해고60일전 통고제 등 근로기준법에서 정하고 있는 "정규직의 해고조건을 완화"할 것 등의 새로운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처럼, 일한FTA는 서울재팬클럽과 같은 일본계 진출기업의 이익만을 보장하며, 일한양국의 노동자 민중의 생존권은 벼랑으로 몰아넣는 협정에 다름 아닙니다. 우리들은 올해 6월에 서울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 동아시아회의에 반대하는 데모 행진과 아시아민중사회운동회의에 참가하여 한국의 투쟁하는 동지여러분들과 어깨를 맞대었습니다. 그리고 오늘 우리들은 일한FTA 제5차 교섭에 반대하여 동경과 경주에서 다시 한 번 공동행동에 나섰습니다. 신자유주의, 그리고 세계화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일본과 한국, 아시아, 그리고 전세계 노동자 민중이 함께 단결하여 싸우는 수밖에 없습니다. 단결은 우리들의 소중한 자산입니다. 이 소중한 자산을 더 한층 강고하게 만들어 일한FTA교섭을 반드시 분쇄합시다!! 2004년 8월 23일 “이의있음! 일한자유무역협정” 캠페인 탈WTO풀뿌리 캠페인 실행위원회 <한국에서 일본에 보낸 연대메시지> 일본에서 한일자유무역협정(FTA)을 저지시키기 위해 투쟁하시는 동지들께 연대의 인사를 드립니다. 지금 한국과 일본 정부가 협상하고 있는 한일FTA는 우리의 노동권을 짓밟고, 사회공공성을 말살하고, 인간의 삶 모든 부분을 초국적 자본의 놀이터로 탈바꿈하려 합니다. 그럼으로써 한국과 일본 양국 모두의 노동자 서민을 벼랑 끝으로 내몰 것입니다. 5차 협상을 맞이해 오늘 비록 우리는 바다를 중간에 놓고 따로 투쟁을 하고 있지만, 우리의 마음은 하나입니다. 우리는 공동의 목표를 향해 투쟁하고 있는 것입니다. 최근에 WTO 도하개발의제의 기본골격이 합의되고 각 정부가 여러 FTA를 추진하려 하고 있습니다. 때로는 우리가 맞써 싸우는 대상이 너무나 크고 강력해보입니다. 그러나 동시에 신자유주의 세계화에 맞선 전세계적인 투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저희는 오는 10월 일본에서 개최되는 6차 협상을 맞이해, 대규모 원정 투쟁단을 일본에 파견해 동지들과 어깨 걸고 투쟁을 할 예정입니다. 자본의 세계화를 막아내고 노동자, 민중의 세계화를 향해 열심히 전진합시다. 한국과 일본 간 굳건한 연대가 있다면 우리의 투쟁은 반드시 승리할 것입니다. 2004년 8월 23일 민주노총 이수호 위원장 민주노동당 김혜경 대표 자유무역협정WTO반대 국민행동 공동대표 이종회 전국민중연대 상임의장 정광훈 범국민교육연대 상임대표 박거용 의료개방저지공동대책위원회 공동대표 윤영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DDA 기본골격합의 - 전세계 민중에 대한 공격 본격화

8월 1일 WTO 도하개발의제 협상 기본골격 합의 - 전세계 민중에 대한 공격 다시 본격화

 

- WTO반대국민행동


 



지난 8월 1일 새벽(한국 시각), 스위스 제네바에서 WTO 일반이사회가 합의에 도출하면서 막을 내렸다. 이로써 WTO는 작년 칸쿤에서 개도국들의 집단적 반발과 전세계 민중들의 저항으로 합의에 실패했던 도하개발의제(DDA) 기본골격을 마련하는 데 성공했고, 향후 협상에 가속도를 붙일 수 있게 되었다. ‘개발’에 대한 언설에도 불구하고, 이번 ‘도하개발의제 기본골격 합의’는 농업, NAMA, 무역원활화, 서비스 등 모든 부분에 있어 선진국들의 승리이다. 이로써, 위기에 빠져 있던 WTO는 다시 한 번 비상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이번 일반이사회는 신자유주의적 자유무역 체제가 일보 전진할 수 있는 발판이자, 전세계 민중들에게는 앞으로 닥칠 위기와 삶의 파괴를 예고하는 것이다. 이에 전세계 민중들은 도하개발의제 기본골격 합의에 경악을 금치 못하고 있으며, 광범위한 대응을 계획하고 있다. 특히, 이번 일반이사회는 2005년 5월까지 서비스협정 2차 양허안 제출, 2005년 12월 각료회의 개최 등의 일정을 내놓았는데, 이에 대한 전세계 민중들의 대응이 거세게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



지난 8월 1일 새벽(한국 시각), 스위스 제네바에서 WTO 일반이사회가 합의에 도출하면서 막을 내렸다. 이로써 WTO는 작년 칸쿤에서 개도국들의 집단적 반발과 전세계 민중들의 저항으로 합의에 실패했던 도하개발의제(DDA) 기본골격을 마련하는 데 성공했고, 향후 협상에 가속도를 붙일 수 있게 되었다.



자유무역협정과 아울러 WTO의 본질은 개도국 경제 발전도 아니요, 국민의 삶 향상도 아니다. ‘자유무역’은 만인의 자유가 아닌 오로지 소수만의 자유일 뿐이다. 그 소수를 위해, 초국적 자본을 위해, 다수를 희생시키는 것이 바로 신자유주의 ‘자유무역’ 체제의 원리인 것이다. 이런 원리는 이번 일반이사회를 통해 다시 한 번 확인되었다. ‘도하개발의제 기본골격 합의’는 WTO를 위시로 한 신자유주의적 자유무역 체제가 일보 전진할 수 있는 발판이자, 전세계 민중들에게는 앞으로 닥칠 위기와 삶의 파괴를 예고하는 것이다.



이번 합의된 도하개발의제 협상 기본골격 - 자본 강대국들의 승리



‘도하개발의제’는 지난 2001년 카타르 도하에서 개최되었던 각료회의에서 발족시킨 WTO의 새로운 협상라운드의 명칭으로, WTO가 사회적, 경제적 ‘개발’을 중요시할 것을 촉구한 개도국들의 이해관계를 반영한다며 붙여졌다. 그러나 이후 개도국과 최빈국들의 집단적 반발과 더욱 거세지는 민중들의 저항에서 확인되었듯이, WTO는 초국적 자본을 등에 업은 채 개도국들의 관심사항을 도외시해왔다. 이번 합의문은 개도국의 입장을 대폭 반영했다고 하지만, 사실상 미국과 유럽연합 등 자본 강대국들의 ‘승리’로 분석되고 있다. 오는 하반기에 미국 무역대표 로버트 죌릭과 유럽연합 통상 담당 집행위원 파스칼 라미의 임기가 모두 끝나는데, 미국과 유럽연합의 이해관계를 양보할리 없다.



8월 1일 새벽에 합의된 “도하작업계획(Doha Work Programme)”은 총괄적인 원칙을 다룬 본문과 사안별로 구체화된 네 개의 부속서로 구성되어 있다. 부속서A는 “농업 세부원칙을 세우기 위한 기본골격”, 부속서B는 “비농산물시장접근 세부원칙을 세우기 위한 기본골격”, 부속서C는 “서비스무역 특별이사회 권고사항”, 그리고 부속서D는 “무역원활화 협상을 위한 세부원칙”이다.



개도국들이 지난 수년 간 제기해온 특별우대조치(SDT)나 이행 등 ‘개발’ 관련 의제는 합의문 본문에서 상당한 지면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실내용은 도하 각료회의 합의 사항을 재확인하거나, 조금 더 열심히 해보자는 의지 표명, 또는 협상 때 고려하자는 제안 등 여전히 모호한 상태로 남겨져 있으며, 사실상 ‘립서비스'에 불과하다. 게다가 농업, 비농산물시장접근(NAMA), 서비스 등 합의 사항의 실질적인 내용이 개도국에게 오히려 불리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도하’개발‘의제의 ’개발‘은 속빈 강정에 불과하다.



농업협상의 기본골격은 특히 우려된다. 국가별로 민감품목 또는 특별품목을 설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개도국들에게 약간의 떡고물을 주는 듯하지만, 관세가 높으면 높을수록 대폭 인하(‘구간대 방식’), 특별품목에 대한 저율관세 의무수입물량(TRQ) 면제 혜택 삭제, 관세 상한선 도입 제기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관세가 높은 개도국들을 공략하는 것이다. 100% 이상 품목이 142개, 300% 이상 품목은 94개 달하는 우리의 농업의 경우 심각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합의문은 시행 첫 해에 국내보조금을 모두 무역왜곡 보조금으로 규정하고 총액 20% 감축하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한국 정부는 이런 내용의 합의문이 나온 지 이틀 만에, 과연 국내보조금 감축 조항이 추곡수매제 폐지로 이어질 지의 여부조차 불투명한 상태에서 추곡수매제를 내년부터 폐지한다는 내용의 양곡관리법 개정안을 내놓았다. WTO와 모범생 한국 정부의 ‘농업죽이기’ 정책이 다시 한 번 명확해졌다. 나아가 합의문은 이런 보조금 축소 규정으로부터 미국과 유럽연합이 빠져나갈 구멍을 마련해주고 있다. 합의문은 “회원국이 무역왜곡 보조금의 상당한 큰(exceptionally large) 비율을 블루박스[생산제한 직접지불 보조금]로 이전할 경우, 전체적으로 불균형적(disproportionate)인 감축을 해야 하지 않도록 일정 정도의 탄력성을 부여한다”라고 명시하고 있는데, 이는 미국과 유럽연합의 요구가 노골적으로 문안에 포함된 것이다. 이로써 개도국들의 주된 비판대상이었던 블루박스는 미국과 유럽연합의 구미에 맞게 변경되어 3200억 달러 상당의 무역왜곡적 보조금을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될 우려가 있다. DDA 농업협상은 기본적으로 ‘농산물 관세 완전 철폐’, 특히 ‘관세가 높은 개도국부터 공격’이라는 목표를 향해 달려가고 있다. 연합뉴스가 보도한대로 이번 협상은 “개도국 쪽에 조금씩 양보한 측면이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이들 양측(미국과 유럽연합)에 유리하게 전개됐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렇듯, DDA 농업협상은 미국과 유럽연합이 자국 기업농을 보호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두면서 제3세계의 소농과 특별품목에 대한 최소한의 보호조치를 ‘불법화’하고 있다. 제3세계 농업과 농민의 삶, 그리고 우리의 식량을 오로지 시장의 원리, 자본의 논리에 내맡기고 있다.



비농산물시장접근(NAMA) 즉 공산품 관세와 관련, 이번 일반이사회 합의문은 개도국들의 반발로 작년 칸쿤에서 합의에 실패한 ‘데르베즈 안’을 기본틀로 삼고 있다. 합의문에 의하면, 역시 관세가 높으면 높을수록 더욱 많이 인하를 해야 한다는 원칙에 천명하고 있어, 특히 아프리카 정부들은 탈산업화와 실업을 상당히 우려하고 있다. 한편, NAMA에 대해 “선진국들과 보조를 맞췄다”고 하는 한국 정부는 이런 조치가 한국 공산품 수출을 확대할 것이라 자축하면서 이번 협상의 큰 ‘성과’라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소수 재벌을 위한 성과일 뿐이다. 농산물과 공산품을 ‘맞바꾼’ 한칠레FTA로 오히려 무역적자가 심각해진 사실에서 볼 수 있듯이, 제3세계에 대한 공산품 수출이 증대할 것이라는 아무런 증거도 없거니와 설령 그렇다 하더라도 수출 증대로 인한 수익이 절대로 노동자 민중에게 돌아오지 않는 것이 우리의 엄연한 현실이다. 수출물량과 상관없이 제조업 노동자들의 하청화, 비정규직화가 진행되고 있지 않는가? 또한, 우리나라 공산품 시장 역시 대폭 개방해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정부나 언론 모두 침묵을 지키고 있다.



4개의 싱가포르이슈 중 수출입 절차 간소화를 골자로 하는 무역원활화’에 대해서만 협상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지난 수년간 개도국들이 반대하고 전세계 시민사회단체들이 투쟁해온 결과이지만, 무역원활화라도 협상하게 된 것은 강대국들의 회유와 협박에 의한 것이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그리고 합의문은 나머지 3개 의제(투자자유화, 경쟁정책과 정부조달 투명성)에 대해 “도하 라운드 동안 협상하지 않는다”고 명시함으로써  이후에 다시 재개할 여지를 남겨놓고 있다.



서비스협상은 농업과 NAMA, 싱가포르이슈에 가려 특별한 주목을 받지 못한 가운데 조금씩 진척해왔다. 현재 양허요청안을 제출한 국가는 66개, 1차 양허안을 제출한 국가는 45개인데, 합의문은 “1차 양허안을 제출하지 아니한 회원국은 가능한 빠른 시일 내 제출한다”고 독촉하는 한편, 이미 양허안을 제출한 국가에 대해서는 “수정된 양허안을 2005년 5월까지 제출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DDA 협상이 이번 일반이사회를 계기로 탄력을 받음으로써, 특히 선진국 자본의 지대한 관심사이자, 양허안을 놓고 국가별로 일대일 협상을 벌이고 있는 단계까지 와있는 서비스협상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것은 곧 의료, 교육, 기간산업, 문화, 물, 생태 등 인간의 기본적 권리에 심각한 공격이 재개될 것임을 의미한다. 특히, 그 동안 한국 정부가 자체적으로 교육이나 의료 개방을 촉진시킬 각종 법률을 제정하고 기간산업 사유화 계획을 제출하고 있는데, WTO가 ‘자발적 자유화 조치’를 대가로 부여해주는 혜택을 기대하며 2차 양허안을 제출할 경우, 공공서비스에 대한 민중의 권리 말살은 ‘초국적 헌법’인 WTO를 통해 불가역적인 것이 된다.



미국 무역대표 로버트 죌릭은 8월 1일 자 보도자료를 통해 “오늘의 결정은 지구적 무역에 있어 중대한 진전이다. 칸쿤에서 우회가 있은 후, 우리는 WTO 협상을 다시 재개했다. (…) 다음으로 우리는 무역장벽을 얼마나 멀리 그리고 얼마나 빨리 철폐할 것인지에 대한 제한속도를 협상할 것이다”라고 전망하면서 이번 합의문의 본질을 요약해준다. “우리는 지구적 농산물 무역에 있어 역사적 개혁을 합의했다. 공산품 시장 개방을 위한 통로를 마련했다. 서비스 시장을 개방하기 위한 협상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이렇게 ‘개발’과 아무런 관련이 없는 도하개발의제를 개도국들은 왜 수용했는가? WTO 내 강대국들의 협박과 회유, 비민주성과 밀실야합은 널리 알려진 바이다. 도하 각료회의에서는 미국이 WTO에 반발을 하는 국가는 ‘테러리스트’라면서 협박을 했고, 최근 영국 정부는 개도국에 대해 “영향력을 발휘하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회의장을 가장 먼저 박차고 나감으로써 칸쿤 각료회의의 붕괴를 초래한 케냐에 대해 7월 21일 유럽연합은 6천만 달러 상당의 원조를 철회했다. ‘자유무역이 개발을 가져 온다’는 헛된 환상을 품고 있는 개도국 정부를 ‘개발’이라는 사탕발림을 통해 협상에 응하도록 강제했고, 그럼으로써 초국적 자본의 이해관계에 복무하는 데 개도국들을 항복시켰다. 그리고 WTO를 ‘위기’로부터 구출하고 정치적 정당성을 부여해줬다. 이에 대한 대가는 고스란히 민중들이 지게 된다. 생존권을 위협받고, 식량과 기본서비스에 대한 권리를 박탈당하고, 생태파괴로 인한 고통을 감내해야 하는 것은 전세계 민중들이다.



한국 정부의 ‘두 마리 토끼’?



WTO는 9월부터 세부원칙 협상을 시작해 협상 기한을 1년 연장해 내년까지 진행하고, 2005년 12월에 홍콩에서 6차 각료회의를 개최함으로써 협상을 완료 지을 예정이다.



이런 일정 앞에 한국 정부는 향후 ‘협상 전략’을 고심하고 있을 것이다. 농업 분야에서는 ‘개도국 지위 인정'을 얻어내기 위해, 그리고 제3세계 공산품 시장 진출을 위해 전략을 고민하면서 협상에 충실히 임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것이 ’자유무역‘이라는 대세 속에서 ’국익‘을 위한 것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그러나 정부가 약간의 시간을 번다고 하면서 결국 농업구조조정을 진척시키는 한, 경제 성장의 동력인 수출을 확대한다고 하면서 결국 재벌들의 주머니만 돈독히 채워주는 한, ’국익‘에서 ’국민‘이 빠져 있는 한, 우리의 삶을 한국 정부의 협상 여하에 맡길 수 없는 노릇이다. 결국 WTO가 근본적으로 저지되지 않는 이상, ’밑바닥을 향한 질주‘는 멈추지 않을 것이다. 만약 WTO가 오늘내일 해체될 수 없다 한다면, 백번 양보해 진정한 ‘국익’을 위해 협상에 임해야 한다면, 최소한 국민의 먹거리와 공공서비스, 국가 기간산업, 생명체에 대한 교역 중단을 요구해야 하며, 이들 분야가 WTO로부터 제외되도록 협상해야 할 것이다.



이번 일반이사회는 WTO의 승리로 끝났지만, 싸움이 결코 끝난 것은 아니다. 전세계 민중들은 도하개발의제 기본골격 합의에 경악을 금치 못하고 있으며, 광범위한 대응을 계획하고 있다. 특히,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제 시민사회단체, 농민단체와 노조는 지난 6월 15일 서울에서 개최된 ‘아시아민중사회운동회의’를 통해 WTO에 대한 지속적인 대응과 내년으로 예정된 각료회의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적인 투쟁을 전개할 것을 홍콩 현지 단체들과 함께 결의한 바 있다. 한국에서는 당장 이경해 열사의 자결 1주년인 오는 9월 10일에 노동자․농민의 대규모 시위가 예고되어 있으며, 이 날은 국제 농민들의 연대체인 비아깜페시나에 의해 ‘국제 투쟁의 날’로 선포된 상태이다. 또한 서비스 자유화에 저항하는 공공부문의 투쟁도 예정되어 있다. 아울러, WTO보다도 “깊고 포괄적인” 자유화를 꾀하는 양자간 자유무역․투자협정, 그리고 경제자유구역을 빌미로 교육과 의료를 자유화하려는 시도에 대항할 것이다. 이렇듯, 지금 남은 것은 전세계 민중들이 단결해 WTO에 대한 보다 강도 높은 투쟁을 전개하고, 일반 국민과 민중들이 중심에 서는 대안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미군 &quot;이라크 저항세력 2만명, 국민지지 받아&quot;

[프레시안] 미군 “이라크 저항세력 2만명, 국민지지 받아”
2004-07-09 11:34 | VIEW : 1
미군 “이라크 저항세력 2만명, 국민지지 받아”  
  미 관리 “조직화, 전문화 추세” 8일 미군 5명 또 사망 
  
  당초 5천명으로 추산되던 이라크 저항세력 규모가 2만명에 이르고 이라크 국민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미군이 공식 시인했다. 부시 정부는 또 이라크에서 외국 테러리스트들이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고 주장해왔으나, 저항세력 대다수는 이라크인들로 구성돼 있다고 시인했다.
  
  AP 통신, “이라크 저항세력 2만명에 달해”
  
  AP 통신은 8일(현지시간) 미군 관리들의 말을 인용, “당초 핵심세력이 5천여명일 것으로 추산되던 이라크 저항세력 규모는 생각보다 훨씬 더 큰 것으로 보이며 이는 외국에서 유입됐다기보다는 잘 무장된 이라크 수니파들로써 국민적 지지를 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군 분석가들은 물론 정확한 규모에 대해서는 동의하고 있지 않지만 “이라크 부족과 수니파 종교 지도자들의 정신적 추종세력들인 수십 개 지역 조직들은 ‘파트타임’ 전사들까지 포함할 경우 2만 명에 이를 수 있다”고 통신은 전했다.
  
  미군은 지난 4월달에만 약 4천명의 저항세력을 사살했다고 밝힌 바 있는데 2만명에 달하는 이같은 수치는 이라크 저항세력이 지속적으로 세력을 확장해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국제전략연구센타의 앤서니 코드먼 이라크 분석가는 저항세력 규모가 5천명에 불과하다는 일부 미군 관계자의 발언에 대해 “터무니없는 것”이라며 “파트타임 전사들은 집계하기가 어렵지만 거의 모든 저항운동은 이들 파트타임 전사들에 의존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다수 조직원 이라크인, 폭넓은 국민지지”-“조직화, 전문화 추세”
  
  게다가 이들 저항세력이 대부분 주변 이슬람 국가들에서 유입된 외국 전사들이라는 부시 행정부의 주장과는 상반되고 있다고 통신은 전했다. 바그다드에 주둔중인 익명을 요구한 한 미군 관리는 “우리는 이곳에서 '성전'(지하드)의 최전선에 있는 것이 아니다”고 말해 자신들이 싸우고 있는 대상이 단순히 특수한 이슬람 전사들이 아님을 강조했다.
  
  이 관리와 몇몇 다른 미군 당국자들은 “이들 저항세력은 미군 및 외국군 주둔에 분노하고 있는 민족주의적 성향의 이라크인들로부터 광범위한 지지를 받고 있는 세력이라 군사적으로 제압하기 힘들다”고 밝혀 이라크 국민과 유리돼 있는 단순 외국 유입세력이 아님을 시사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일부 저항세력은 고도로 전문화돼 있고 조직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통신이 입수한 미군 자료에 따르면 바그다드에 거점을 두고 있는 한 조직은 2명의 지도자와 4명의 중간급 지도자를 두고 있으며 30명의 조직원으로 구성돼 있다.
  
  이 저항조직은 2명의 재정담당후원자가 있고 차량폭탄제조를 맡고 있는 2개의 팀이 있으며 한 명의 암살전문가와 박격포 및 로켓 공격을 전담하는 독립된 하부조직 및 도로폭탄과 매복공격을 다루는 팀도 따로 두고 있었다.
  
  “미 정부, ‘테러와의 전쟁’ 명분위해 외국 전사 역할 강조”
  
  한편 많은 민간 전문가들도 미국 및 이라크 관리들이 외국전사들과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의 역할을 과도평가해 왔다는데 동의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미 국무부 한 관리는 이에 더해 “상당수 미국 정보기관 당국자들도 이러한 견해야 동조하고 있지만 부시 행정부내의 강한 정치적 반대에 봉착해 있다”고 말했다.
  
  통신에 따르면 미 부시 행정부가 외국 전사들의 역할을 강조하는 이유는 그래야만 국제적인 테러와의 전쟁이라는 명분속에서 이라크전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코드먼도 “너무 많은 미국 분석을 보면 지하드란 용어에 고착돼 있다”며 “이는 모든 것을 오사마 빈 라덴에 연관지으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 ‘이이제이’ 전략 구사
  
  이러한 상황에서 미군은 점차 ‘이라크인을 이용해 이라크인들을 제압’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이라크 임시정부가 설립되면서 미군의 이런 전략은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다국적군 대변인인 다니엘 바지오 미 육군 중령은 “이라크인 자신들보다 이라크인들에 대해서, 미묘한 이라크 문화, 외모, 종교 등에 대해서 잘 아는 사람은 없다”며 “저항세력을 뿌리뽑기 위해 이라크인들이 가지고 있는 인적 정보를 활용하는데 대해 낙관적”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새로 창설된 이라크 군, 정보기관들은 미군과 함께 저항세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공유하기 시작했으며 저항세력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야드 알라위 이라크 임정 총리측도 지난 6일 “이라크군은 미군에게 5일 있었던 팔루자 저항세력 공격을 위한 정보를 제공했었다”고 밝혀 아랍웹사이트로부터 “연합군 꼭두각시”라는 비난을 받았었다.
  
  미군 5명 저항세력 공격으로 또 사망
  
  하지만 저항세력 규모가 당초 예상보다 훨씬 크고 폭넓은 국민적 지지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 미군의 이러한 ‘이이제이’ 전략이 먹혀들어갈지는 미지수다. 오히려 8일 미군측 사상자는 더욱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이날 미군 5명과 이라크 보안군 2명은 바그다드 북부 사마라에서 차량폭탄공격과 미군 기지로 사용되던 이라크 보안군 건물에 대한 박격포 공격으로 사망했다. 미군 대변인에 따르면 이날 공격으로 미군 18명과 이라크 보안군 4명도 부상당했다.
  
  이로써 이라크 침공이후 8백68명의 미군이 사망했으며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이라크전 종전 선언이후로는 7백30명의 미군이 사망한 셈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