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닥터 노먼 베쑨


 

테드 알렌 지음, 천희상 옮김 / 실천문학사 / 2001년 6월

 

가난한 사람도 건강할 권리가 있다고 생각한 의사의 삶

 

아직은 신뢰할 만한 전기가 많지 않다.

어릴적에 학교에서 전기문을 읽고 독후감을 써오라는 숙제를 지겨워했던, 

그때의 나쁜 기억에서 벗어나긴 했지만......

박홍규의 전기문을 좋아하고, 실천문학의 역사인물들은 신뢰할 만 하다.

 

의사라면,  양신적인 의사라면 의술을 상업의 수단으로만 생각할 수 없다는 말은 진실이다.

우리는 잊고지내지만, 가난한 사람에게도 건강할 권리가 있는것이다.

의료행위가 돈을 버는 고급수단이 되어, 가난한 사람은 의료를 기대할 수 없는 사회에 아직도 우리는 살고있다. 불행하게도.

적어도 교육과 의료는 모든 국민에게 무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사람의 생명을 다루는 의사가 이러한 인식을 하는 것은 매우 당연한 일로 보인다. 그런데, 우리 시대는 이런 의사를 매우 특별한 정신을 지닌 어떤 사람으로 보도록 만든다.  돈버는 것에만 몰두하는 의사를 우리는 상식적이라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비인간적인 사회 상식이다.

 

베쑨 뿐 아니라 이 책에는 누구도 시비걸 수없는 인물들이 많다.

일제에 저항하는 중국공산당의 전투 속에서,

참혹한 현실에서 미래에 대한 희망적 낙관을 갖고 신념에 몰두했던 모든 인물들에게 존경을.....

특수한 상황에서 특별히 정의로운 사람들의 이야기가 감동을 주는데, 그것이 억지스럽지 않은 것은, 그 사람들이 모두 실수하고 아파하는 평범한 사람들이라는 것 때문이다.

 

테드 알렌과 시드니 고든이라는 두사람의 작자가 어떻게 역할 분담을 하고 책을 서술했는지 알 수없으나 소박하고 정직한 문체가 좋다. 

세련된 글을 위해 굳이 수고를 아끼지 않는 어리석음이 없이 진솔하며 편안한 글로 서술되어 있다.

글에 대한 철학과 인문학적인 소양이 깊은 사람들이다. 겸손하고.

베쑨의 전기를 쓰기에 적당한 사람들에었던 게지. 그래서 한번 더 감탄했다.

좋은 전기는 어떻게 살아야 할지는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평범한 사람이 시대의 고민을 느끼고 공감하며 최선을 다할때 어떻게 뛰어난 삶을 사는지 보여준다.

베쑨의 철학을 가진 의사가 우리 시대에도 있나? 궁금해진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