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가뜩이나 힘든데..죽음의 바...
- 참게
- 2007
-
- 불방...(3)
- 참게
- 2007
-
- EBS다큐여자-굿바이 시사저...(1)
- 참게
- 2007
-
- <SBS물은 생명이다> - 시화...
- 참게
- 2007
-
- <SBS물은 생명이다> - 생명...(2)
- 참게
- 2007
“억새풀같이 살고 싶어서요.”
이상하게 그 말을 듣는 순간 최상길 얼굴에는 안도의 빛이 지나가고 있었다.
“살아있다는 것만으로도 얼마나 큰 축복인데 욕심 더 안 부리겠어요. 나는 길을 걷는 게 좋아요.”
“전도사업을 계속하겠다 그 말이오?”
“당장은, 그렇지는 않아요.”
한동안 침묵이 흘렀다.
“당신이 말하던 그 할머니, 그곳에서 심경이 변한거요?”
최상길은 담배를 꺼내어 불을 붙이고 나서 물었다.
“그런 점도 있겠지만... 그 할머니 사시는 모습에서 감동을 받은 것은 사실이예요. 그 분은 자신의 불행까지 사랑한다고 할까, 천지만물 모든 것을 사랑하고 감사하며 소중히 여기는 것 같았어요. 겨울 긴긴 밤에 목화씨를 발가내면서도 밥을 짓고 아궁이에 솔가지를 뿐질러 넣을 때도, 아들에게 옷을 갈아입힐 때도, 그 정성이 하나의 의식같이 보이는 거예요. 할머니 자신도 조금도 의식하지 않았지만 말이예요. 나도 저와 같이 시간을 가득하게 살아보고 싶다 그런 생각 여러 번 했어요. 싱그런 풀 같고 흐르는 강물같이, 뭐라 설명이 안 되지만.”
-토지, 제5부, 4권
삶이란 도판에 그려놓은 공식은 결코 아니었다. 삶의 신비는 개인이 어떤 생활의 방식을 취한든 무궁무진하며 끝이 없는 것이었다. 나무토막과 칼을 내어놓고 이것은 칼이다, 이것은 나무토막이다, 칼은 나무토막을 자를 수 있다. 이것은 매우 명쾌한 설명이며 가르침일 수는 있다. 그리하여 구체적인 그 한 곳에만 쏠리는 지식의 허약성, 균형의 파괴, 지감은 이범호의 오류를 그런 차원에서 바라보고 있었던 것이다. -토지, 제5부, 5권
“밤낮으로 정성을 다하여 장롱 하나를 만들어놓고 나면 배가 고프다 했지요? 그 배고픔은 위장에서 오는 것이 아닌 마음에서 오는 배고픔이라 했소.”
“그런 말 한 것 같소.”
“그런데 어떤 사람은, 이것도 쟁이받이의 얘긴데, 큰일을 하나 끝내고 나면 설움이 왈칵 솟는다 하더이다. 왜 그럴까요?”
“글쎄올시다... 인연이 끊어지니까 그런 것 아닐까 싶은데... 떠나야 하니까요.”
“무슨 인연?”
“물(物)과의 인연 말입니다.”
“물과의 인연!”
“그렇소. 정성을 다할 때 그것은 하나의 인연이요.”
지감은 골똘히 생각하는 눈빛으로 병수를 한참 동안이나 쳐다보았다.
“왜 그같은 인연을 맺는거요? 밥벌이나 하면 됐지.”
어리석은 말이라 생각하면서도 뭔지 모를 분노 같은 것을 느끼며 지감은 쏘아붙이듯 말했다.
“소망 때문이겠지요.”
“소망?”
“예.”
“무슨 소망?”
“한이라고도 할 수 있겠는데, 자신에게 주어진 운명에 대한 물음이라고도 할 수 있겠고, 뭐 세속적인 욕망하고는 다른 것 아닐까요? 절실한 것... 사람들의 절실한 그 소망은 대체 무엇일까요? 근원에서 오는 절실한 그것 말입니다.”
“그걸 나한테 묻는거요?”
“지감께서도 그 절실한 것이 있었고 그것 때문에 한평생을 거리에서 방황하지 않았습니까?”
“헛 산 것이지 방황이라 하기도 민망하지요. 이건 살아 있는 것도 아니고 죽어 있는 것도 아니며 서서히 묻히면서 퇴물이 되어갔다. 그게 오늘날 조선의 소위 반가(班家)라 이름 붙은 자손들 말로가 아닌가요? 나야 세상사와 하직을 했고 천만다행, 조형은 변신하여 쟁이받이로 회생했으니.”
가닥이 다른 말을 읊조리다가 지감은 무슨 까닭인지 씩 웃었다.
“그래, 그래서 조형은 그놈의 물과 인연을 맺으면서 소망을 이루었소?”
역시 우문이었다.
“아니지요. 애당초 이루기 위해서라기보다, 뭐랄까요? 소망을 위탁했다, 하하핫핫... 뭐 그런 것 아닐까요?”
“이루어지지도 않을 소망을 위탁하면 뭘 하겠소.”
그 말은 물론 지감의 진심은 아니었다. 그는 조병수를 결코 예사롭게 보아 오지 않았으니까. 다만 지감은 말의 흐름을 탔을 뿐이다.
“불구자가 아니었다면 나는 꽃을 찾아 날아 다니는 나비같이 살았을 것입니다. 화려한 날개를 뽐내고 꿀의 단맛에 취했을 것이며 세속적인 거짓과 허무를 모르고 살았을 것입니다. 내 이 불구의 몸은 나를 겸손하게 했고 겉보다 속을 그리워하게 했지요. 모든 것과 더불어 살고 싶었습니다. 그러나 결국 나는 물과 더불어 살게 되었고 그리움 슬픔까지 그 나뭇결에 위탁한 셈이지요. 그러고 보면 내 지난 시간이 그리 허술했다 할 수 없고 허허헛헛.... 내 자랑이 지나쳤습니까?”
지감의 아픈 곳이 바로 그것이었다. 또 병수에게 경애심을 갖는 것도 바로 그 점이었다.
-토지, 제5부 5권-
1994년 집필을 시작한지 25년만에'토지'가 완간되자 KBS에서 특집다큐멘터리를 기획한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그 일을 맡게 된 것은 나에게는 그야말로 흥분되는 일일 수밖에 없었다. 교양 프로그램 구성작가, 방송작가라는 이름이 주는 프리미엄 중의 하나다.
박경리를 만나러 원주에 가기 전날 나는 잠을 이룰 수 없었다. 어린 시절부터 나를 매료시켰던 '토지'. 그것은 단순히 소설이라고 부르기에는 부족한 무엇인가를 품고있는 거대한 산맥이었고, 보물창고였다. 나는 물론 서희나 길상 같은 인물도 좋아했지만 원색적인 경상도 사투리를 구사하면서 힘들고 거친 인생살이를 헤쳐가면서도 인간다움을 잃지않는 수많은 백성들을 너무나 사랑했다. 용이, 월선이, 강청댁, 임이네, 두만네, 막딸네, 윤보, 주갑이, 봉기...... 선하면 선한대로 악하면 악한대로 그들은 나에게 너무나 생생한 인간의 모습으로 다가왔으며 그 소설을 읽는 동안 마치 내 옆에서 함께 숨쉬며 살아있는 듯한 느낌이었다.
박경리를 만나면서 나는 그가 그런 소설을 써낸 것이 당연할 만큼 대단한 에너지를 가진 사람이라는 것을 온몸으로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25년간의 '토지' 집필은 그에게는 일종의 수행이었으며 그는 이미 해탈의 경지에 오른 사람이라는 느낌도 받았다. 당연히 그에 대한 프로그램은 객관적이고 뭐고 하는 수식이 필요없이 작가와 작품에 대한 경애와 찬사로 일관했던 것 같다. 물론 문학적으로는 엇갈린 평가와 시각이 있을 수 있다는걸 모르는 바는 아니다. 그러나 그때 그 프로그램을 만드는 나와 피디의 심정은 그저 이 노 작가에 대한 존경과 찬탄 그 자체였고, 그 까다로운 방송사의 간부들조차 아무런 시비를 걸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사실 방송에서 한 시간짜리 프로그램을 가지고 주제넘게 그의 문학을 운운하는 것 자체가 우스웠던 것도 사실이다. 그저 이 기념할 만한 사건에 대한 보고와 우리 문학의 한 위대한 작가에 대한 치하, 그거면 족하다는데 모두다 암묵적으로 동의하고 있었던 것 같다.
물론 그 이전, 그리고 그 당시 '토지'를 탐독했고, 프로그램이 끝난 뒤 다시 한번 완독을 했는데도 워낙이 긴 소설이다 보니 시간이 지나면서 잊어버린 대목이 많았다. 요즘 텔레비전에서 세번째로 '토지'를 드라마화한 걸 보면서 생각이 나서 다시 읽기 시작했다. 그러나 1,2, 3권을 읽던 중 갑자기 올케가 와서 자기가 읽겠다면서 10권까지 가져가버렸고, 나는 11권, 그러니까 후반부를 다시 읽게 되었다. 간도에서 평사리로 돌아온 서희와 식민지 시대의 농민과 노동자, 지식인, 독립운동에 투신한 사람들, 밀정과 변절자 등이 시대의 격랑 속에서 갈등과 굴절을 겪으면서 살아가는 모습들이 그려져 있다.
대하소설의 가장 큰 약점은 초반에 조성해 높은 작품의 긴장감과 밀도를 끝까지 유지하기가 힘들다는 점이다. 나는 그런 약점을 극복한 소설로 '태백산맥'과 '토지'를 꼽는다. 조정래의 다른 소설들과 최명희의 '혼불'같은 소설은 그런 약점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암튼 후반부를 읽으면서도 나는 역시 이 소설에 깊이 매료되었고, 여유를 가지고 다시 한번 읽어보고 싶다. 우리의 문화와 역사, 그리고 인간의 삶의 의미를 곰곰히 되씹어보면서.
댓글 목록
hyunhyun
관리 메뉴
본문
부끄럽게도 아직 완독하지 못한 소설...나도 이제 시작할까나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