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2009/10/29

뭔가 이건 아니다 싶은 생각들이 더 자꾸 올라온다. 원서 마감 3일 전, 업무량에 비례하여 스트레스와 분노 게이지 역시 급상승중. 여행 중에 스트레스가 쌓여 민감해지면 옆에 있는 사람이 조금만 건드려도 팍 터지는 상태가 되는 것처럼 요 며칠도 내 밑바닥을 보기위해 달려가는 듯 하다. 상대방의 말, 행동을 받아들여서 판단하고 반응하기까지의 시간적/공간적 거리가 급 줄어들면서 나에게 들어오는 모든 말과 행동들이 가시가 되고 있다.

비폭력 대화를 떠올리며 비극적으로 표현된 상대의 느낌과 욕구를 찾으려는 노력을 하면서 동시에 내 안의 감정과 욕구에 대해서도 귀를 기울여보려 하지만 종내에는 지금 내가 왜 이렇게 사서 고생을 해야 하는건가 싶은 생각이 찾아든다. 교사 간의 위계, 교사-학생 간의 권력관계, 상명하달이라는 이미 폭력적인 세팅 안에서 내 마음의 평화를 고민하는 것이 부질없는 것처럼 느껴지기 시작한다.

철저히 자신의 욕구에만 우선적으로 충실한 학생들을 보면서 정이 뚝뚝 떨어진다. 내가 왜 그런 싸가지 없는 애들 좋으라고 이런 일을 하고 앉아 있는거지? 이 학생이 이러이러 해서 그런 말을 내뱉는구나 싶은 생각이 들지만 그 학생을 공감을 해주고 싶은 의지가 별로 아니 전혀 들지 않아서 나중엔 이런 내 모습이 불쌍해졌다.

(아 짜증나..능력도 별로 없으면서 지 잘난 맛으로 사는 인간들이 왜 자꾸 나를 건드리는거야..)

몹시도 약해진 자아..1분에도 수십번씩 감정이 오르락 내리락한다...맘 편히 venting 할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하다. 지지, 수용, 이해, 신뢰에 대한 욕구들..

"오늘 밤까지 완성하라면서 왜 또 쫓아내. 학교가 완전 쓰레기야" 라는 말을 학생에게 들었을 때, 나는 황당했고 짜증이 났고 화가 났다. 왜냐하면..정해진 시간이 되면 강의실을 옮기기로 한 약속을 수행하는 것이 나에겐 중요했고, 내가 학생들에게 얘기를 했을 땐 그네들의 협조도 필요했는데.. 초등학생이 아닌 고3 학생들인데도 이미 얘기했던 내용에 대해 자기들은 처음 듣는 말이라는 반응을 보일 때 정말 좌절스럽다. 애들이 자기들은 들은 적이 없다고 말해버리는 순간 내가 생각했던 상호 간의 '약속'은 없었던 것이 되어 버린다. 완벽한 소통에 대한 기대, 이런 건 애초에 믿지도 않지만. 대신 서로 간에 얘기되는 것들이 한 번에 공유가 안 되었다면 상대방에게 다시 물어서 확인을 한다거나 아니면 자기가 못 들었나하고 자문하는 척이라도 해주면 좋겠다. 

"학교 쓰레기야"라는 말을 뱉은 학생에게 불같이 버럭 화를 낸 선생님을 보면서 난 그냥 정신줄을 놔버렸다. 그냥 그 상황을 외면하고 싶었다. 인간 사이의 최소한의 존중이 사라져버린 것 같아서, 그리고 그 선생님에 대한 나의 신뢰도 사라질 것 같아서 많이 불편했다. 그 교사의 얼굴 앞에서 남들이 보기 민망할 정도로 혼이 나던 그 학생도 싸가지가 없긴 했지만, 그 순간에 난 그 학생이 뱉은 말 이면의 욕구가 보여버려서 이 학생과 선생 양 쪽의 입장 모두를 생각해보다가 어느 순간 머리에 쥐가 나버렸다. 교무실 전체를 싸하게 만든 그 순간이 지나고 나도 숨 좀 가라앉히고 나서야 비로소 나라면 그 학생이 "쓰레기"라고 내뱉었을 때 어떻게 반응했을까를 생각하면서 그 학생을 공감해보는 상상을 했고, 한편 학생에게 대뜸 폭발하여 비극적으로 표현된 그 선생님의 욕구는 뭐였을까 생각을 해보았다. 하지만 여전히도, 교사로서의 전형적인 '권위'와 '꼬장'을 표출해버린 그 교사에 대해서는 경멸의 감정이 아직 내 안에 남아있다.

 

누구나 타인으로부터 존중받고 싶은 욕구, 존재감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무엇이 '존중'이냐 하는 수단/방법의 차원에서는 개인마다 편차가 크다. 그렇기에 똑같은 상황에 놓여도 어떤 개인은 그냥 넘어가는가 하면 어떤 개인은 자신이 무시당했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벌컥 흥분을 하는 것 같다.

지금은 그나마 낮에만 보고 밤에는 각자 헤어지기라도 하지만 하루 종일 타인과 같이 생활해야 하는 감옥에서는 어떻게 이런 힘든 상황들을 대면할 것인지 정말 생각만으로도 암울하다. 본인이 낼 수 있는 최대 데시벨의 소리를 버럭 지르는 방식으로밖에 자신의 분노를 표출할 줄 몰랐던 그 교사도 저녁 내내 기분이 우울했을텐데 안타까운 생각도 마음 한켠에 남는다. 그래도 밉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