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분류 전체보기

12. 1. 웨스트 파푸아의 독립을 기념하며!!

지난 1961. 12. 1 웨스트파푸아는 자체 독립을 선포하고, 국호와 국가, 국기를 정헀습니다.

그리고 독립을 완성하기 위한 절차를 진행했었습니다.

하지만, 유엔, 제국주의 패권국가들의 공모하에 이루어진 인도네시아의 침략으로, 인도네시아 식민지로 편입되었고, 식민정책으로 약 10만명이 사망했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블로그 안에 있음)

 

2004. 12. 1. 웨스트 파푸아인들이 트리코라 광장에서 모닝스타(웨스트 파푸아 국기) 게양식을 가졌는데, 인도네시아 정부는 반란죄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게양식에 참여한 두 명을 구속, 각 15년과 10년의 징역형을 선고하였습니다. 단지 국기를 게양했다는 이유로 말이죠. 하지만, 인도네시아 정부는, 웨스트 파푸아인들을 달래기 위해 만든 특별자치법에서 모닝스타게양을 허가했습니다.

 

올해는 많은 사람들이 차마 거리에 나오지 못하고, 교회에서 기도를 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난 해 모닝스타게양으로 15년을 선고받은 필립 까르마가, 현재 수감중인 교도소 옥상에서 모닝스타를 게양하였다고 합니다.

국가폭력이 결코 자유와 독립에 대한 열망을 꺾울 수 없다는 것을, 인도네시아 정부가 하루 속히 인정해야 할텐데 말입니다...

 

아래는 관련 기사입니다.

 

----------

 

Papua rebel leader flies flag in jail    joe collins 

  Dec 03, 2005 23:26 PST  

 

 

Papua rebel leader flies flag in jail

 

Jakarta Post.com December 04, 2005

Nethy Dharma Somba, The Jakarta Post/Jayapura

 

Although he spends his days and nights in a cramed prison cell, the spirit

to fight for Papua's independence still burns brightly in the heart of

convicted rebel, Filep Karma.

 

Disregarding the severe consequences, Filep proudly hoisted the Morning Star

flag on the prison's roof in Jayapura on Thursday as hundreds of Papua

independence supporters held street rallies to commemorate the independence

of Papua on Dec. 1.

 

The supporters themselves were prevented from displaying the outlawed flag

at Trikora field in town, as their attempts were successfully scuttled by

the Indonesian Police.

 

"I am being kept in jail, but it does not dampen my spirit to fight for

Papua's independence," Filep told The Jakarta Post. Filep, who was sentenced

to 15 years in prison earlier this year for committing state treason, said

he was willing to bear any consequences for his act.

 

He refused, however, to reveal who secreted the flag to him.

 

Filep climbed a building in the prison compound on Thursday afternoon and

waved the Morning Star from the roof while shouting "Papua Freedom!"

 

Chief of security at Abepura prison, Korneles Rumbairusi, said he had no

idea how Filep was able to climb the prison building and wave the flag, the

symbol of Papuan independence. He had no idea either as to how the flag was

smuggled into the prison.

 

Responding to the incident, chief of Jayapura police Adj. Sr. Comr. Paulus

Waterpauw said police were still investigating six security guards and a

woman convict who saw Filep waving the flag. "This stunt could very well get

him a fat sentence extension," Waterpauw asserted.

 

Filep was arrested last year for leading a ceremony commemorating Papua

independence on Dec. 1. He led a flag-hoisting ceremony in Trikora field in

Jayapura town, which ended with a clash between Papuan independence

supporters and Indonesian Police. Besides being jailed, Filep was also

discharged from his position as a civil servant with the Papua

administration.

Dec. 1 was declared Papuan independence day by separatists who proclaimed

the state of West Papua on Dec. 1, 1962.

            

 

 

--------------

 

Message from West Papua :

2 December 2005

 

"We only want Papua must be free"

 

This morning I stand near the road. Suddenly a lot of army from Java [came

by]. They just arrived by airplane.

 

All of Papua people think may be in Papua [there will be] a big war again.

Yesterday Philip Karma raise up Papua flag again in Jail.

 

All Papua make prayers only in chruch because many army not allow us to make

prayers in field.

Brother.... We don't want anything, we just want be free form Indonesia.

 

We also want to build up the peace in the world. We want to keep the world

safe all the time.

I respect you cos your members like to support us.

 

Please not stop to press Indonesia that they must get out from West Papua.

We only want Papua must be free.

 

Papua Merdeka!

 

Best Regard

[name removed]

  

Richard Samuelson

Free West Papua Campaign

Oxford, U.K.

 

E-Mail: samo-@aol.com

Tel: +44 (0)1865 241200

www.freewestpapua.org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웨스트 파푸아 긴급 요청문입니다.

지난 1963 인도네시아에 의해 군사점령을 당한 이래 지난 50 동안 인도네시아의 지배하에서 신음하고 있는 하나의 동티모르 웨스트 파푸아에서 연락이 왔습니다. 인도네시아의 웨스트 파푸아 점령을 합법화한 지난 1968~69 Act of ‘Free’ Choice(국민투표법) 문제점을 지적하고 과정에서의 유엔의 역할(책임방기) 대한 검토를 요구하는 내용의 서한에 힘을 모아달라는 내용이었는데요, 서한은 각국의 시민사회의 서명을 받아 유엔 사무총장 앞으로 전달될 예정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서한을 읽어보시면 듯하고요, 아래의 서한 취지와 내용에 동감하신다면 아래 주소에 접속한 서명하시고 참여의사를 밝히는 메일을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www.petitiononline.com/unreview 

 

서한은 웨스트 파푸아의 해방을 위해 활동하고 있는 West Papua Action에서 작성한 것입니다.

West Papua Action

134 Phibsborough Road, Dublin 7, Ireland

http://westpapuaaction.org

+353 (0)1 860 3431

 

웨스트 파푸아와 관련한 국내 기사는 인권운동사랑방의 <인권하루소식>(아시아 민중현장의 목소리), 민변의 <민주사회를 위한 변론>(2005. 5~6/7~8 ), 다산인권재단의 <사람>(2005. 8 ) 참고하시면 됩니다.

 

 

 

유엔 사무총장 귀하

 

웨스트 파푸아인들에게 가해지고 있는 고통은 우리마저 공포를 느끼게 하고 있다. 웨스트 파푸아의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각국 의회, NGO들과 함께 활동하는 우리는 1968~69 웨스트 파푸아에서 실시된 국민투표법(Act of ‘Free’ Choice) 제정 시행 과정에서 유엔이 역할과 활동에 대하여 재검토해 것을 요구하는 바이다.  

웨스트 파푸아는 지난 50 동안 인도네시아 군부에 의해 점령돼왔다. 인도네시아 군부는 점령 기간 동안 웨스트 파푸아인들에 대한 반인도적 범죄와 과오들을 계속하고 있다. 1963 인도네시아 강점이 시작된 이래 최소 100,000여명의 웨스트 파푸아인들이 점령 과정에서 살해당했고, 체계적인 인권침해가 웨스트 파푸아인들에게 가해지고 있다. 사법제도를 통하지 않은 살인과 강간, 고문, 불법적인 체포와 구금, 집회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침해, 그들 본연의 책무를 자유로이 추구하려는 비정부기구·인권단체와 국제 감시 기구 대중매체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의 방해 등이 바로 그것이다.   

1969 독재자 수하르토는 1,022명의 웨스트 파푸아인들을 선발하여, 인도네시아 합방에 찬성하는 투표를 강요했다. 그리고 공개적이고 만장일치로 그들이 바라는 결과가 나왔다.

당시 웨스트 파푸아의 인구가 800,000명이었는데, 투표에 참여한 수는 단지 1/10 불과했다.   

 

당시 투표 광대극에 지나지 않다는 것이 널리 알려진 사실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불법행위를 바로잡기 위한 어떠한 행동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와 같은 불법적인 권력 양도 절차에 참여했던 이전 유엔직원 차크라바씨 나라시만(Chakravarthy Narasimhan) 당시 투표 과정이 속임수였다고 인정한 있다. 그는 그것은 속임수에 불과했다. 당시 유엔 분위기는 가능한 빨리 문제로부터 벗어나는 것이었다. 아무도 웨스트 파푸아 안에 기본적인 인권을 유린당한 백만명의 사람들이 있다는 사실은 생각하지 못했다. 어떻게 모든 유권자들이 인도네시아의 지배에 대해 찬성할 있었겠는가? 민주주의에서 만장일치라는 것이 과연 가능한 것인가?”라고 말한 있다.   

유엔은 1962 8 15 유엔 본부에서 인도네시아와 네델란드 사이에 체결된 뉴욕 협약 관련해 당시 투표 대한 책임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유엔은 뉴욕 협약과 관련해 본연의 책임과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못했다. 1969 7 영국 외교단의 대표는 당시 유엔 회원국의 대다수는 가능한 빠르고 문제를 최소화하는 선에서 문제에 대한 명확한 해답을 찾으려 했다. 중요한 영향력을 가진 유엔 사무국 역시 단지 가급적 빠르고 유연하게 문제를 해결하려고 뿐이었다.”라고 말했다.  


1962~69
사이에 3만여명의 웨스트 파푸아인들이 살해되었으며, 투표 당시 웨스트 파푸아는 공포와 위협의 분위기가 만연했다. 게다가 당시 유엔 상임위원회의 대표 오리쯔 산쯔(Ortiz Sanz) 투표 관련해 작성한 보고서는 다음의 점을 언급하고 있다. “국민투표(an act of free choice) 인도네시아의 질서에 따라 진행됐다. 하지만 뉴욕협정은 투표는 국제적인 질서에 따라야 한다 규정하고 있다. 당시의 국제적인 질서가 무엇인지는 1960 유엔 총회결의안 1541(XV)에서 확인할 있다. 결의안에서는 국가간 영토의 통합에 대하여 사람들은 영토가 통합될 경우 그들에게 어떠한 변화가 것인가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공정하고 민주주의적인 절차에 따라 진행되는 보통선거에 기초해 그들의 의사를 자유로이 표현할 있어야 한다 명시했다.

하지만 투표 관련된 보고서를 검토한 유엔총회에서 이러한 결정적인 모순점은 지적되지 않았다.

이미 2002 3 26, 문제에 대한 재검토를 요구하는 서면이 유엔사무총장에게 제출됐었다. 요약본은 아래의 홈페이지 주소(http://westpapuaaction.buz.org/unreview)에서 확인할 있으며, 자세한 배경은 Dr. John Saltford 유엔과 인도네시아의 웨스트 파푸아 강점, 1962~69‘에서 찾아 있을 것이다.

 

2004 해제된 미국 기밀문서와 Brad Simpson 의해 작성된 문서(http://www.gwu.edu/%7Ensarchiv/NSAEBB/NSAEBB128/index.htm) 사이의 공모 한층 보여주고 있다. 일례로 자카르타에 있는 미국 대사관은 1962 7 2 미국 국무부에 다음과 같이 보고했다. “95% 웨스트 파푸아인들이 독립운동을 지지하고 있으며 ‘Act of Free Choice’ 기만적인 수작에 불과하다는 것이 UN팀의 비공식적인 견해다”.

2004 3, 인도네시아 호주 대사 삼바 시아기안(Sabam Siagian)역시 1969 실시된 ‘Act of Free Choice’ 적법한 민주주의 투표로 없다고 말했다.

2004 12 영국외교부 장관 역시 당시 투표에 참여했던 웨스트 파푸아인들이 인도네시아로부터 웨스트 파푸아가 인도네시아에 통합되길 바란다 선택을 하도록 강요받았다는 사실을 국회에서 시인한 있다.  

이와 같이, 인도네시아의 웨스트 파푸아 합방 과정이 뉴욕협약에 위반되고 웨스트 파푸아인들의 의사와 무관하다는 사실을 입증할 있는 명백한 증거들이 있다. 한편, 웨스트 파푸아인들의 비참한 고통은 계속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1968~69 웨스트 파푸아에서 실시된 Act of ‘Free’ Choice”에서의 유엔의 역할에 대해 재검토해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

2005 10

(번역은 인권운동사랑방의 유해정님께서 해주셨습니다)

 

 

 

To:  United Nations Secretary General

To: Secretary General
United Nations
UN Plaza
New York NY 10017, USA

Appalled by the ongoing suffering of the people of West Papua, we join a growing list of international parliamentarian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call on you as United Nations Secretary General to initiate a review of the UN’s conduct in relation to the “Act of ‘Free’ Choice” in West Papua, 1968-69.

West Papua
has entered its fifth decade of occupation by the Indonesian military.

Crimes against humanity have been and continue to be perpetrated against the West Papuan people. An estimated minimum of 100,000
West Papuans have died since Indonesia
took over in 1963. There have been systematic violations of the human rights of West Papuans at the hands of the Indonesian regime, including extra-judicial killings, rape, torture, arbitrary arrest and detention, violations of the rights of freedom of assembly and freedom of speech, and denial of free access to NGOs, human rights groups, international observers and the media to freely carry out their work.

In 1969, instead of a proper independence referendum, 1,022
West Papuans were rounded up and forced to declare – unanimously and in public – their “wish” to integrate West Papua into the Republic of Indonesia
, then ruled by the brutal dictator Suharto. The population at the time was estimated at some 800,000 people, so a fraction of one percent of the people took part.

The Act has been widely dismissed as a farce, yet no action has been taken to redress the injustice to date.

Former United Nations Under-Secretary General Chakravarthy Narasimhan, who handled the takeover, has since admitted that the process was a “whitewash”:

“It was just a whitewash. The mood at the United Nations was to get rid of this problem as quickly as possible… Nobody gave a thought to the fact that there were a million people there who had their fundamental human rights trampled… How could anyone have seriously believed that all voters unanimously decided to join his [Suharto’s] regime?… Unanimity like that is unknown in democracies.”

The United Nations had certain responsibilities in relation to the Act, as specified in the New York Agreement, an international agreement signed at UN Headquarters by
Indonesia and the Netherlands on August 15, 1962
. However there is strong evidence that the UN failed to fulfill its obligations under the Agreement. A representative of the UK mission to the UN said in July 1969:

“Our strong impression is that the great majority of United Nations members want to see this question cleared out of the way with the minimum of fuss as soon as possible… the Secretariat, whose influence could be important, appear only too anxious to get shot of the problem as quickly and smoothly as possible.”

In the years 1962-69, an estimated 30,000
West Papuans
were killed and an atmosphere of fear and intimidation pervaded the country at the time of the Act.

Moreover, in the report of the Act by the then UN Secretary-General’s Representative Ortiz Sanz, it was stated that “an act of free choice has taken place… in accordance with Indonesian practice”. The New York Agreement referred to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practice”. Evidence of what was considered international practice at the time can be found in UN General Assembly Resolution 1541 (XV) of 1960. This Resolution states that the integration of one territory with another should result from the “freely expressed wishes of the Territory's peoples acting with full knowledge of the change in their status, their wishes having been expressed through informed and democratic processes impartially conducted and based on universal adult suffrage". This crucial discrepancy was not pointed out to the UN General Assembly, which voted to “take note” of the report of the Act.

Detailed substantiating documentation on the case for a review was presented to your office on
26 March 2002
.

An outline briefing is available at http://westpapuaaction.buz.org/unreview and more background detail is provided in “The United Nations and the Indonesian Takeover of West Papua, 1962-1969” by Dr. John Saltford.

De-classified
US documents released in 2004 and edited by Brad Simpson available at http://www.gwu.edu/%7Ensarchiv/NSAEBB/NSAEBB128/index.htm have further underlined the complicity. The US Embassy in Jakarta for example told the US State Department in a cable dated July 2, 1969
that “[private] political views of the UN team are… 95 per cent of the Irianese support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at the Act of Free Choice is a mockery”.

Former Indonesian Ambassador to Australia Sabam Siagian said in March 2004 that the Act of Free Choice in 1969 was never viewed as a truly democratic exercise.

In December 2004 a British foreign office minister admitted in parliament that the handpicked representatives were coerced into declaring for inclusion in
Indonesia
.

Given the overwhelming evidence, and appalled by the ongoing suffering of the people of
West Papua, we therefore call on you as United Nations Secretary General to initiate a review of the UN’s conduct in relation to the “Act of ‘Free’ Choice” in West Papua, 1968-69.

Sincerely,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웨스트 파푸아 역사

웨스트 파푸아의 침략과정을 잘 분석했습니다.

번역을 해서 올려야 하는데, 형편이 여의치 않아 일단 원문 그대로 올립니다..

 

(웨스트 파푸아와 관련하여 자료를 번역하고 같이 고민할 분들의 연락을 기다립니다.

아....친구가 너무 진부한 표현이라고 뭐라 하네요^^.

 

사실 이런 문제에 대하여 재정 지원을 부탁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을거 같은데...시간을 부탁하기란 상당히 어려운 일이네요...

웨스트 파푸아에서 만난 한 목사님이 그러시더군요..

solidarity keeps us alive..

 

오늘도 많은 사람들이 죽어가고 있습니다. 웨스트 파푸아를 상징하는 모닝스타를 게양했다는 이유로 15년형을 선고받아야 하고, freeport라는 다국적 광산 기업을 먹여 살리기 위해 인도네시아 군부는 채광 지역 일대의 주민들을 강제로 내쫓고 환경과 문화를 파괴하고 있습니다. 그곳의 분위기는 숨쉬는 것 조차 자유롭지 않았습니다. 폭력이 일상화된 상황에서, 그들은 하나님조차 그들을 외면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람이란 정말 위대한 존재인거 같습니다. 인도네시아가 그들을 억압할 수록 독립에 대한 열망은 더 살아나고 있으며, 끊임없이 저항하고 있습니다.

몇 달 전 집회 현장에서 경찰에게 연행되었다가,  경찰서에서 정체불명의 주사를 맞은 여학생에게 물었습니다. 왜 운동을 하느냐고....'나는 웨스트 파푸아 사람들이고, 그들과 함께 있으며, 그들을 위해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하더군요.

 

웨스트 파푸아에 함께 하실 분들은 저희에게 연락을 주시기 바랍니다.

hkshlee72@naver.com으로 연락 주시거나, 이 블로그에 연락을 남겨주셔요.

 

저희는, 유해정, 이상희입니다.

 

--------------------

 

*The need for understanding Papua's history, grievances*

*Carmel Budiardjo*, London

It has been asserted in your columns this week (/Local Elections and
Papuan Politics/, July 11, 2005) that because the majority of West
Papuans participated in general elections in 2004, they were therefore
participating in an internal referendum. The writer also claims that
they participated in an external referendum, known as Pepera (the
so-called Act of Free Choice) which took place in 1969.

He did not dispute the fact that only one thousand Papuans participated
in Pepera but alleged that because the result was endorsed by the
United
Nations, the Indonesian government was justified in "relying on the
results of Pepera" for its claim that West Papua is a legitimate part
of
the Indonesian Republic.

In the first place, to liken general elections to a referendum shows
the
shallowness of this analysis. Elections are about choosing
representatives of different political parties which in today's
Indonesia consist of nearly fifty parties. Whereas a referendum is the
occasion for the electorate to choose between two or more options, and
opinions often cross party lines.

Whether or not people participate in elections relates not only to
making choices about party programs but may also be generated by fear
or
anxiety that by not participating, they could face accusations of
separatism or sedition.

Recent events in West Papua, such as the military operations underway
in
the Central Highlands district of Punjak Jaya, which forced thousands
of
villagers to take refuge in the forest, abandoning their homes and
gardens, suggest that fear of the authorities still plays a role in
people's decision about participating in political events.

Now that Indonesia has entered an important new political era in which
democratic rights are recognized as one of the basic rights of the
population, it is strange that someone who presumes to have the
expertise to hold forth about political affairs fails to recognize that
the Act of Free Choice conducted by the Indonesian authorities in the
Soeharto era was anything but democratic.

At the time of the Act, the population of Papua was estimated as being
a
little over 800,000, yet no one disputes the fact that only one
thousand
persons (to be precise, 1,022), not even one per cent of the
population,
participated in that Act.

The Act was conducted following the New York Agreement of 1962 which
was
concluded as the result of intervention from Washington which feared
that Indonesia, then under President Sukarno, was getting too close to
the Soviet bloc. The agreement was concluded between Indonesia and The
Netherlands, without Papuan participation or consultation.

As a result of Dutch insistence, it included a clause providing for an
Act within six years that should be held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practice" This can surely only mean one thing, namely
the
principle of "one man, one vote".

The issue of West Papua was discussed in the House of Lords last
December. On that occasion, the Bishop of Oxford asked the British
government for its views about the Act of Free Choice which he had
described as being an occasion when a thousand representatives "were
coerced into declaring for inclusion in Indonesia".

Replying for the government, Baroness Symons said: "He is right to say
that there were 1,000 handpicked representatives and they were largely
coerced into declaring for inclusion in Indonesia". One can hardly
disregard the views of the British Government, stated in the country's
highest political forum.

As we know here in the UK, the British government is closely following
events in West Papua, not least because a major British company, BP,
has
decided to invest massively in the exploitation of West Papua's vast
reserves of natural gas. While seeking to promote this investment, the
government has not refrained from acknowledging that the way in which
the territory was incorporated into the Indonesian Republic was
seriously flawed.

West Papua has now been officially part of Indonesia for more than
thirty years, or even longer if you include the six years following the
Dutch withdrawal in 1963, yet the sense of grievance still runs deep.

When President Susilo Bambang Yudhoyono made a visit to West Papua last
December, shortly after his inauguration and after saying that the
resolution of the conflict in West Papua was "one of his top
priorities", the leaders of all the churches there decided to boycott
the visit. As far as we know, not even during the worst days of the
Soeharto era did such a thing ever happen.

No one should make the mistake of disregarding the views of the
churches
in West Papua which have always played a prominent role and have always
acted in the best interests of the largely Christian population.

There are many serious problems in West Papua, not least the confusion
created by the government's decision first to establish Special
Autonomy, and then to split the territory into three or perhaps even
into five provinces. Allegations are being made that money intended for
running the special autonomy administration is being used to cover the
cost of ongoing military operations.

There is also concern that the continuing influx of migrants from other
parts of Indonesia is turning the Papuans into a minority in their own
homeland. In some of the major cities such as Jayapura, this is already
true.

It may be true that events in West Papua are too infrequently reported
in Indonesia's national media which perhaps accounts for a great deal
of
misunderstanding about conditions there. We can only hope that this
will
be speedily remedied.

In particular, commentators should play closer attention to the events
in the 1960s which lie at the root of the grievances of the people of
West Papua.
/The writer is the founder of the Indonesia Human Rights Campaign, set
up in 1973./

--
Jan Lozano
Databank Staf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Unit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웨스트 파푸아 긴급 호소문

웨스트 파푸아 긴급 호소문입니다.

(번역을 하지 못했는데....양해해주시기 바랍니다)

 

-----

 

FREE WEST PAPUA CAMPAIGN

URGENT ACTION ALERT

28th July 2005

 

 

 

Dear friends of West Papua,

 

The following report has just been sent to us by contacts in West Papua. The Indonesian army are torturing and intimidating innocent villagers in the Papuan highlands in a new campaign of brutality and intimidation.

 

Papuans are asking their supporters in the UK and around the world for help. Please follow the instructions at the end of this alert for ways in which you can help them. EVERY PHONE CALL, FAX OR LETTER MAKES A DIFFERENCE. Please do what you can.

 

Many thanks.

 

 

State-sponsored terrorism by the Indonesian army in Moragame village, West Papua.

Widespread torture of Papuan villagers is reported.
Please help now!



Tuesday 8 July 2005:  12 members of the TNI [Indonesian army] began intimidating and torturing innocent Papuan civilians in the little village of Moragame (Pyramid) in Assologoima District, near the town of Wamena .

Sunday 17 July: 10 members of the same units returned to Moragame. The TNI opened fire on the villagers with automatic rifles. The people ran to the jungle to save their lives and are now refugees.

Two Moragame villagers, Yiman Wenda and Abai Wenda, were shot by the army. They fled, wounded, into the jungle. Nobody knows if they are dead or alive.

The army also burnt homes and smashed down fences around the vegetable gardens.

Thursday 14 July: Petto Wenda was tortured by the TNI in the village of Pyramid. Soldiers first slashed his face with a razor and then cut his flesh all over his body with a knife. Finally the TNI poured petrol over his head and set fire to him. Petto Wenda's hair caught fire. He received serious burns to his head and is now in a critical condition. He is not expected to survive.

28 July 2005 The TNI is still occupying the Pyramid region. Military operations are still on going and hundreds of refugees are still hiding in the jungle, without proper food or shelter.

We are asking for urgent international help for the people of
West Papua. Without your attention it will be very dangerous for the people. Unless the army knows that the outside world is watching them, they will carry on with their brutality towards to the innocent people in Moragame.

 

WHAT YOU CAN DO


Please telephone:

Chief of police in Wamena: 00 + 62969 31072
Police Office in Wamena: 00 + 62969 31110
Bupati (Regent) of Wamena: 00 + 62969 31005


This report is direct from Wamena.  We will keep you updated.

Thank you for your support for the West Papuan people during this time of terror.


******************************************************
 
You can phone
Indonesia from UK for 15p per minute by first dialing 0905 306 0197, then the international number. West Papua is 9 hours ahead of GMT. However the phone will often be answered 24 hours so just ring when you can.

The most important thing is just to say the names of the villages and people a lot, even if they don't understand English, and make it clear you are phoning from abroad.

Some Indonesian phrases you can use (pronunciation guide in brackets):

Saya telepon tentang … (Sy-ar telepon tentang..) -
I am telephoning about ...

Hati hati (Harti harti) -
Be careful

Kami jaga lihat anda sekarang. (Karmee jargar leehat anda seykarang) -
We are watching you now

Saya dari Inggris. (Sy-yar dary Ingrees) -
I am from England

Kami adalah teman mereka. (Karmee ard-ar-lar tayman meraykar) -
We are their friends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미국은 웨스트 파푸아에 개입말라

미국은 웨스트(서) 파푸아에 개입말라


[로스엔젤레스 민족통신=김영희편집위원/제1신] 웨스트 파푸아 행동 네트워크’(West Papua Action Network)는 24일 로스엔젤레스 주재 인도네시아영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미국정부는 웨스트 파프아 원주민들의 인권을 탄압하면서 미국대기업을 보호하고 있는 인도네시아에 군사지원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웨스트 파푸아의 독립을 위한 국제사회의 관심과 협조를 요청했다.

인도네시아영사관 앞에서. 왼쪽부터 죤 람비아크, 팻시 스파이어, 해롤드 그린(웨스트 파프아 행동 네트워크의 코디네이터)

호주의 북쪽인 남태평양에 위치했으며 세계에서 두번째로 큰 섬나라인 웨스트 파푸아는 18세기부터 영국, 네델란드의 식민지를 거쳐 1969년에 인도네시아령이 됐다. 현재 인구는 약 2백5십만명으로 그중 1백여만명이 지난 30여년동안 인도네시아에서 건너 온 동양계 이주민이다. 원시와 현대가 함께 숨쉬고 있는 웨스트 파푸아는 세계관광업계에서 서구문명에 아직 침식되지 않은 나체족 원주민들의 생활을 접할 수 있는 명소로도 꼽하며 그 풍부한 전통민속예술은 현대예술가들에게 신선한 영감을 불어 넣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이 날 기자회견에는 전국을 순회강연중인 ‘웨스트 파푸아 국제인권회’의 의장이며 콜롬비아대학 인권학회의 방문연구원인 죤 람비아크씨와 2년전 웨스트 파푸아의 프리포트 맥모란(Freeport McMoRan) 그래스버그 금광근처에서 총격사건으로 남편을 여윈 미국인여교사 팻시 스파이어씨가 참석했다.

웨스트 파푸아는 세계에서 금 매장량 1위, 구리 매장량 3위이며 광산업체 프리포트 맥모란은 미국의 뉴 올리안즈에 본사를 두고 있는 미국의 대기업으로 인도네시아에 최대의 투자를 하고 있는 해외업체이다. 동사가 2002년 한해동안 번 수익은 총19억달라에 달한다.

한편, 아마존강 지역처럼 큰 강을 타고 열대림이 울창한 웨스트 파푸아는 동쪽에 있는 파푸아 뉴기니아와 함께 아시아의 폐라고 불릴만큼 중요한 생태계에 속하나 미국 대기업이 양지역에서 벌이고 있는 광산업은 수질오염등 심각한 환경파괴를 불러 일으키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민족통신은 웨스트 파피아에서 미국으로 정치망명을 한 죤 람지아크씨, 팻시 스파이어씨와 기자회견장에서 인터뷰를 가졌다.

민족; 웨스트 파피아를 잘 모르는 한국독자들을 위해 그 역사를 간단히 소개해 달라.

로스엔젤레스에서 강연하는 죤씨

죤; 웨스트 피피아의 현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냉전시대부터 미국이 어떻게 간섭해 왔는가를 우선 알아야 한다. 냉전시대인 1960년대 초 미국 케네디대통령은 인도네시아가 중국, 러시아의 도움을 받아 네델란드의 식민통치를 받고 있던 웨스트 파푸아를 공격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네델란드를 압박하여 1962년 ‘뉴욕 협정’(New York Agreement)을 채택하게 했다. 미국, 네델란드,인도네시아, 유엔등이 관여한 이 협정에 의해 네델란드가 물러가고 1969년 국민투표에 의해 웨스트 파푸아는 인도네시아령이 된다.
웨스트 파푸아가 인도네시아의 식민지가 될 것인가의 여부를 결정한 그 중요한 투표에 참가한 국민은 겨우 1022명밖에 되지 않았으며, 그들조차 인도네시아정부가 일방적으로 선정한 친인도네시아주민들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중요한 사실은 국민투표가 있기 2년 전인 1967년 미국과 인도네시아는 조약을 맺어 인도네시아는 미국의 군사지원을 받는 한편 미국은 웨스츠 파푸아에 광산업체 프리포트 맥모란의 지사를 설립하고 그 막대한 세금과 수익금의 상당부분을 인도네시아정부에 납부하기로 약속했다는 사실이다. 우리의 운명은 국민투표가 있기 전 미국과 인도네시아에 의해 이미 결정되었다.

한마디로 미국은 웨스트 파푸아에 개입을 말아야 한다.

민족; 웨스트 파피아주민들의 독립운동을 소개해 달라.

죤; 1962년 이후 우리는 계속 독립운동을 해 왔으나 미국의 지원을 받는 인도네시아군대의 극심한 탄압을 받아 왔다. 지난 43년동안 인도네시아군은 10여만명의 주민들을 살해했으며 그외 고문, 강간등의 만행을 저질렀으나 이들은 아무 처벌을 받지 않았다. 인도네시아군에서도 악명이 높은 특수부대 ‘코파수스’(Kopassus)는 2001년 11월 독립운동의 지도자인 테이스 엘루아이(Theys Eluay)까지 암살했다.

한때 우리는 무장투쟁을 벌였으나 근래에는 비폭력 저항운동으로 방향을 바꾸었다.

동 티모르의 독립은 우리의 운동에 큰 자극제가 되고 있다.

민족; 미국은 어떻게 군사지원을 하고 있는가?

죤; 인도네시아의 많은 군인들이 미국내에 있는 군사기관인 ‘국제군사교육훈련소’(International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IMET)에서 직접 훈련을 받고 있다. 또 인도네시아군대는 미국에서 공급받은 무기로 우리를 죽이며 늘 탄압한다. (편집자 주: 미국이 냉전시대에 국내와 해외도처에 설립한 IMET는 9.11이후 “반테로”로 주요목적을 바꾸고 계속 운영되고 있다. International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을 웹상에서 검색으로 찾으면 수십개의 홈페이지가 나와 그 실상을 알 수 있다.)

민족; (펫시 스파아어씨에게) 2년전 금광근처에서 일어난 참사에 대해 이야기해 달라.

로스엔젤레스에서 강연하는 펫시씨

펫시; 남편, 직장동료들이랑 두대의 차에 나누어 타고 피크닉을 하고 돌아오는 중 복병의 총격을 받아 남편 릭을 비롯한 미국시민 2명, 인도네시아시민 1명이 살해당하고 미국시민 8명, 인도네시아시민 3명이 부상당했다. 나는 당시 등과 발에 총을 맞았다.

사건 발생 이후 조사가 진전되지 않아 나는 미 연방수사국에 여러번 진정하여 진척이 있었다. 지금까지는 인도네시아군대가 개입한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확실한 진상규명은 아직도 되지 않고 있다.

나와 남편은 프리모트 맥모란의 미국직원들 자녀들을 가리키는 학교에서 함께 교사로 재직하던 중이었다. 우리가 복병들에게 총을 맞아야할 이유는 전혀 없었다.

민족; 앞으로 계속 사건의 진상을 캘 작정인가?

펫시; 그렇다. ‘누가’ 우리를 해쳤는지, ‘왜’ 우리를 해쳤는지 반드시 알고 싶다.

…………………………………………………………………………………………

[제2신] 죤 람비아크씨와 펫시 스파이어씨는 24일 저녁 임마누엘 연합감리교회에서 진보언론 KPFK방송국의 주최로 열린 강연회의 연사로 참석했다.

'아침별의 나라'로 불리우는 웨스트 파푸아의 국기. 옆에 종족학살과 식민점령을 끝내라는 구호가 적혀 있다.

‘미국의 웨스트 파푸아개입에 관한 역사와 인권탄압의 진상’을 주제로 한 강연회에서 죤씨는 일반 미국시민들이 오랜 식민지의 역사를 가진 웨스트 파푸아에 관심을 갖고 미국정계에 정의의 메세지를 보내달라고 부탁했다.

펫시씨는 워싱턴 디시를 찾아가 관계 국회위원들을 만나며 복병사건의 진상조사를 직접 촉구했다고 보고했다. 주체적인 시민정신을 갖고 행동하면 이루어진다고 강조한 그는 백악관 관계 의원들에게 미국정부가 인도네시아군대를 부당하게 지원하는 것에 대해서도 불만을 토로하여 인도네시아에 군사제재를 가하도록 성공했다고 말하며 지난 2년간의 상세한 경과보고를 했다.

이 날 강연회에서는 웨스트 파푸아의 독립운동사를 그린 기록영화 ‘아침별의 나라’(Land of the Morning Star)가 상영되었다.

<출처 민족통신 040526>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인터뷰] &quot;마음 놓고 정원에 갈 수 있는 것, 그것이 내겐 독립&quot;

[인터뷰]

"마음 놓고 정원에 갈 수 있는 것, 그것이 내겐 독립"

도나(웨스타 파푸아 여성과 아동의 권리증진을 위한 연합 활동가)
도나-위험하다는 것은 알지만 올 수밖에 없었다는 웨스트 파푸아 활동가. 안전을 위해 얼굴부분을 모자이크 처리했다.



웨스트 파푸아의 독립을 지원하기 위한 제5차 국제회의가 지난 4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는 두명의 웨스트 파푸아 활동가들이 참석해 웨스트 파푸아의 참상을 세계에 알렸다. 그 가운데 한 명인 도나를 인터뷰했다.

도나는 파란색이 좋다고 했다. 그 색이 자신에겐 '희망'을 상징한다며. 2001년부터 활동을 시작했다는 도나는 그저 자신을 평범한 '웨스트 파푸아에 사는 두 아이의 엄마'라고 소개했다.


◎ 당신이 하는 일과 당신의 조직을 설명해달라

나는 웨스트 파푸아 여성과 아동의 권리증진을 위한 연합(Association for the Empowerment of Papuan Women and Children)의 활동가다. 우리는 여성과 아이들의 권리를 옹호하기 위해 일하며 특히 독립을 위해 일한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여성의 실태에 대해 조사하고,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웨스트 파푸아인으로서의 '자기결정권'을 갖기 위한 교육의 시행을 주장하고 그 실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이 자리에 참석하는 것이 쉽지 않았을 것 같은데

나는 내 나라가 독립될 것이라는 꿈을 갖고 있다. 그리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 이 자리에 왔다. 위험하다는 것은 알고 있다. 하지만 피해갈 수만은 없다.

◎ 지금 웨스트 파푸아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가 뭐라고 생각하는가?

내게 가장 중요한 문제는 여성과 아이들이며, 그들이 적절한 교육을 받고 자신의 권리를 갖는 것이다. 또한 자기 결정권을 갖는 것이다. 당신도 알다시피 파푸아인이 계속해서 사라져가고 있다(파푸아인의 인구증가율은 0.3∼1.5%에 불과하며, 인도네시아에 의한 학살과 대규모 이주정책으로 인해 파푸아인은 현저히 줄어들고 있다). 우리가 만약 여성과 아이들을 계속 잃는다면 우리는 다시 그것들을 찾을 수 없다.

◎ 당신에게 있어서 독립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독립을 한다고 해도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여성과 아동의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만약 우리가 자유롭게 모든 분야에서 일할 수 있다면, 좋은 건강을 가질 수 있고, 마음 놓고 정원에 갈 수 있다면 그것이 내겐 독립이다. 그런 날이 온다면 여성과 아동의 문제도 풀 수 있다고 나는 믿는다.

◎ 웨스트 파푸아 문제와 관련해 한국사회가 무엇을 하기를 바라는가?

이미 발제 때도 언급했다. 제발 당신의 자유를 우리의 자유를 증진시키는데 사용해달라고. 파푸아의 상황과 문제에 대해 고민해라. 그리고 한국 사회가 무엇을 할 것인지를 선택해라. 무엇을 할 수 있냐는 질문에 대한 답은 오직 한국 사회만이 안다.

 

<출처 인권하루소식 050519>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quot;당신의 자유를 우리의 자유를 위해 사용해달라&quot;

"당신의 자유를 우리의 자유를 위해 사용해달라"

인도네시아의 또 하나의 식민지, 웨스트 파푸아의 외침
"내용만큼이나 그녀의 목소리가 중요합니다" 청중 중 한명이 도나(Donna, 웨스타 파푸아 여성과 아동의 권리증진을 위한 연합의 활동가)에게 발제문을 계속 읽어 내려가 줄 것을 요청했다. 여기저기서 격려의 박수와 환호가 터져 나왔다. "영어를 잘못해서 혹시라도 자신이 상황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할까 걱정이 된다"는 도나의 떨리는 목소리 위로 2005년 웨스트 파푸아(WEST PAPUA)를 살아가고 있는 아이들과 여성들의 삶의 흔적이 드리워졌다.

회의가 열리고 있는 장면. 왼쪽에 걸려있는 것이 웨스트 파푸아의 기 ‘모닝 스타’다.


참혹한 땅 웨스트 파푸아, 인도네시아 자국 군에 살인과 협박 면허 부여

우리에겐 그저 파푸아 뉴기니(PAPUA NEW GUINEA) 정도로 알려져 있는, 지도에서조차 그 국명을 잃어버리고 인도네시아 령으로 표기된 웨스트 파푸아는 19세기 네덜란드의 식민통치를 거쳐 지금은 인도네시아의 식민지로 살아가고 있는 땅이다. 웨스트 파푸아의 참상을 세계에 알리고 40년에 걸친 독립투쟁을 지원하기 위한 5번째 국제회의가 2005년 4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필리핀 마닐라 필리핀 대학교(Universty of Phillippines, UP대학)에서 열렸다. 아시아와 태평양 인근 국가 등 과거 식민상태를 경험했거나 이 국가들의 독립을 꾸준히 지원하고 있는 15개국(동티모르, 아체, 필리핀, 인도네시아, 태국, 영국, 아이슬란드 등)에서 40여명의 인권 활동가들이 참석한 이 국제회의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행사를 저지하기 위해 필리핀 정부와 필리핀 대학교 등에 압력을 가해오면서 4일 내내 팽팽한 긴장과 보안 속에서 치러졌다.

국제회의는 15개국에서 40여명의 활동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다.


국제 연대는 작은 회의실을 가득 메운 사람들의 '열정' 속에서 시작됐다. 웨스트 파푸아에서 삼엄한 경비를 뚫고 필리핀으로 날아온 베니(Benny)는 "인도네시아는 대규모의 이주정책과 발전 이데올로기를 내세워 웨스트 파푸아를 철저히 파괴하고 있으며 웨스트 파푸아의 역사와 문화를 다룬 책들을 모두 금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그는 "인도네시아 군과 경찰은 파푸아인에 대한 살인과 협박, 납치 면허를 가진 것처럼 활개를 치고 있다"고 웨스트 파푸아의 상황을 설명했다. 도나는 웨스트 파푸아 여성들과 아이들의 참혹한 현실을 소개했다. 도나는 "보건의료와 법, 경제적, 사회적인 면 등 모든 일상에서 위기가 발생하며 최근 몇 년 사이에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매해 1600여명 이상의 여성들이 아이를 낳는 과정에서 의료서비스가 부족해 죽어가고 있으며, 아이들은 초등교육도 제대로 받을 수 없다. 또한 일상적인 강간과 납치 등의 위험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돼 있다"며 국제사회의 연대를 호소했다.


논쟁보다는 '실천'에 무게 둔 국제회의

두개의 기조발제가 끝난 뒤 참석자들은 곧바로 '무엇을 할 것인가'를 고민하기 시작했다. 여러 가지 아이디어들이 몇 시간에 걸쳐 쏟아져 나왔다. 장시간에 걸친 회의였음에도 누구 하나 자리를 뜨지 않는 진중함 속에서 참석자들은 논쟁보다는 구체적 실천을, 거대한 계획보다는 가능하고 지금부터 시작할 수 있는 '작은' 일들을 논의했다. 이것은 동티모로의 독립 투쟁을 지원하기 위한 '동티모르를 위한 아시아태평양 연대회의(Asia-Pacific Conference for East Timor, APCET)'의 결성과 활동을 통해 그들이 터득한 '운동의 지혜'였다. 또한 현재 식민지 상태 혹은 수탈을 겪고 있는 민중이나 이들의 활동을 지원해왔던 활동을 토양으로 한 '고민'이었다.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한 토론은 진지했다. 참석자들은 끊임없이 아이디어를 만들어내고 제안했다.


3일간의 회의를 통해 참석자들은 아시아와 태평양의 인근 국가들의 인권침해에 종합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아시아태평양연대회의(Asia Pacific Solidarity of Coalition, APSOC) 결성을 결의했다. 또한 '웨스트 파푸아를 위한 국제연대 준비위원회(Steering 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Solidarity Meeting on West Papua)'를 중심으로 한 국제적 캠페인의 시작을 선언했다. 참석자들은 웨스트 파푸아의 독립과 현재 웨스트 파푸아에서 발생하고 있는 인권침해를 근절하는 것이 목표임을 분명히 했다. 참석자들은 웨스트 파푸아를 점령하고 살해와 고문, 강간 등 참혹한 인권침해를 일삼고 있는 인도네시아 군의 전원 철수를 주장했다. 또한 웨스트 파푸아의 정치적 수인들에 대한 무조건적인 석방을 요구했다. 국가와 집에서 가해지는 모든 종류의 폭력으로부터 웨스트 파푸아 여성들을 보호하기 위해 국제사회의 강력한 지원과 국제적 법률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 역시 참석자들의 목소리다. 참석자들은 12월 1일을 '웨스트 파푸아 국제연대의 날'로 정하고 앞으로 인도네시아의 인권침해 사례와 증거 수집, 교육자료 편찬, 이슬람사회와 국제사회에 대한 로비 및 연대 활동 등을 강화해나갈 것이다.


결연한 고백 앞에 우리는 무엇을 할 것인가?

63년 인도네시아의 점령이래 인구의 10%가 살해되고 매일마다 사람들이 죽어가고 있는 웨스트 파푸아의 현실을 다시금 인지하고 참석자들은 아쉬운 이별을 고했다. 특히 위험을 무릅쓰고 다시금 핍박받는 땅, 웨스트 파푸아로 돌아가야 하는 베니와 도나에 대한 걱정은 참석자들 모두에게 묵직한 무게였다. 이미 자카르타 공항에서 인도네시아 공안경찰이 혐의를 찾기 위한 시도를 하고 베니가 조만간 체포될 것이라는 소문이 무성했다. 다행히 베니와 도나는 아직까지는 건재하다는 소식을 전해왔다. "나는 웨스트 파푸아의 미래에 대해 매우 비관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회의는 그런 나를 바꾸었고, 나는 이번 회의를 통해 매우 큰 힘을 받았습니다. 회의 결정에 따라 나는 모든 것을 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라는 고백과 함께.

세계의 무관심과 강대국들의 틈바구니에서 수탈의 역사를 살고 있는 웨스트 파푸아는 말한다. "당신의 자유를 우리의 자유를 증진시키는 데 사용해달라(Please use your freedom to promote ours)"고. 또한 한국 사회가 무엇을 했으면 좋겠냐는 어리석은 질문에 답한다. "그것은 오직 당신(한국민중)만이 알며, 할 수 있는 것들을 지금 하라고(Only you know. Please now do what you can do)"

 

<출처 인권하루소식 050519>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