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운전사 아저씨의 딸

토요일날 후배의 결혼식에 다녀오는 길에, 동행했던 녀석 하나가 몸이 피곤하다고 택시를 타고 가잔다. 택시를 타고 오며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던 끝에 결국 먹고 사는 이야기까지 나왔다. 뭐 요즘 취업난이 어쩌구 하던 차였다.

 

운전기사 아저씨가 이번에 자기 딸 둘이 모두 모 기업에 입사원서를 냈는데, 둘 다 떨어졌다며 입을 열었다. 큰 딸은 4년제 대학을 나왔고 둘째 딸은 전문대를 나왔단다. 큰 딸은 공부를 좀 하는 반면 조용하고 둘째 딸은 공부는 좀 떨어지는데 사회성이 매우 좋단다. 당신이 보시기에 기업체 같은 곳에서는 첫째 딸보다 둘째 딸 같은 성격이 훨씬 더 적합하지 않겠는가 하고 생각한단다.

 

이분이 말씀을 이어 나가다가 이런 이야기를 했다. 첫째 딸은 4년제를 나왔으니까 그렇다고 치더라도 둘째 딸은 전문대 나왔으니 괜히 사무직 시험 치지 말고 생산직이나 찾아보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이야기한 적이 있단다. 세상살이 많이 하신 어르신이다보니 워낙 학벌이 우선인 사회 속에서 체화된 어떤 경험을 통해 그런 생각을 하셨으리라고 짐작은 된다.

 

하지만, 사무직이냐 생산직이냐는 차이에 대해 학벌이 이를 결정해준다는 사고를 보는 듯 하여 숨이 막혔다. 행인이 공장다니면서 겪었던 그 차별과 수모들이 한꺼번에 회상되기도 했고... 속으로 과연 이분에게 그런 차별이 없는 세상이 되어야 한다거나 혹은 4년제고 전문대고 간에 자신이 원하는 직업을 갖는 것이 중요한 거 아니냐는 말씀을 드린다면 어떻게 반응을 하실까 궁금하기도 했다.

 

그런데, 이 아저씨가 해준 다음 말은 더 기가 막혔다. 생산직에 가는 것이 어떠냐는 아버지의 말씀을 듣고, 그 둘째 딸이 이렇게 이야기하더란다.

 

"아빤 딸자식 신세 망치는 거 보고 싶어서 그러세요?"

 

생산직을 가면 신세 망친다... 무슨 뜻이었을까? 단순히 아버지에게 서운한 마음에 과도하게 이야기했을 수도 있다. 하지만, 노동이 이루어지는 환경이 어떤가에 따라 신세 망치는 것과 직결될 수 있다는 이 사고는 어디서 출발한 것일까? 몸을 쓰고 땀을 흘리는 것을 신세 망치는 것과 동일시 할 수 있는 이 사고방식은 어떻게 형성되는 걸까?

 

예전에 봤던 '선생 김봉두'라는 영화 중에 한 선생이 학생들을 훈계하면서 밖에서 일하는 소사를 가르키며 "니들 공부 안하면 저렇게 되는 거야"라고 하는 장면이 있었다. 또 엽기 급훈 중에 "대학가서 미팅할래, 공장가서 미싱할래?"라는 문구도 기억난다. 왜 소사는 기피직종이 되어야 하는가? 왜 대학의 미팅은 낭만이 되는데 공장의 미싱은 저주가 되는가? 공장다니면서 미팅은 못하는 건가?

 

아저씨는 신세타령조로 이렇게 이야기 했지만 듣는 입장에서는 매우 거북한 느낌이 들었다. 칠순을 코앞에 두고도 또 봉제공장에 나가시기로 했다는 어머니의 전화를 받았을 때만큼이나 속이 타들어가는 심정이었다. 우리 사회에서, 우리 시대에서, 직업에 귀천이 없다는 말은 다 허상이 되어버린 건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6/11/07 20:07 2006/11/07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