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성폭력으로 정의할 것인지, 성폭력사건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이런 논의는 그 논의의 주체가 소위 '운동'을 몇년 했느냐, 혹 얼마나 빡세게 하고 있느냐와는 상관 없이 거의 대부분 저열한 논쟁으로 치닫는 것 같다. 그래서 정말 자신을 '운동'한다고 규정하는 사람들이 무엇을 위해 운동하는지 궁금해지곤 한다. 그것도 그저 직업인가? 여기가 무슨 디씨커뮤니티도 아니고, 어쩌면 이렇게 반성과 성찰이 없나?

 

이 사회 어느 누구도 개인과 개인이 만나는 게 아니며, 자유로운 개인(완성된 주체)이라는 껍데기는 '부르주아 이데올로기의 철학적 형태이다.' 성별권력관계 속에서 평등한 만남이란 환상에 불과할 뿐이고, 존재할 수 없는 것을 존재한다고 가정하는 것은 현실의 질곡을 은폐하는 효과를 가질 뿐이다. 성을 둘러싼 모든 문제는 그 자체로 정치적인데, 그것을 두고 일어난 일이 개인적인 호오의 문제로 혹은 과도함의 정도에 대한 문제로 정리될 수 있나? 그저 생각하고 표현했을 뿐이지만, 그 생각은 어디에서 온 것인가? 사회적 관계를 뛰어넘어 상상을 할 만큼 우리는 자유롭지 않다. 자신을 자유롭다고 생각하는 사람일수록, 그 이데올로기 안대에 그려진 평원에 심취해 자신은 자유롭게 날고 있다고 꿈꾸는 것일 뿐.

 

그렇기 때문에 언제나 반성과 성찰이 필요하다. 이건 기본 아닌가? 누군가 이거 아닌거 같다고 얘기했을 때, 그곳에 왜 부딪힘이 존재하는지, 내가 알고 있는 것은 무엇을 반영하고 어떤 효과를 가지는 지 생각해 보는거. 난 운동을 하고 있으니, 이미 사회적 관계에서 자유로워졌는가? 그래서 반성보다는 자기 방어가 더 급했나? 그 로빈슨 크루소 타령은 마르크스가 살아있을 때나 지금이나 변한게 없는데, 소위 자신을 운동한다고 혹은 진보적이라고 여긴다면 역사를 좀 바라보자. 진보라는 이념은 역사 안에서만 존재할 수 있고, 역사를 인식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임에 동의한다면, 그래서 역사는 당연하지 않았던 것을 당연한 것으로 만들기 위해 죽어간 사람들이 만든 것이라는 것을 이해한다면, 그저 겸손하게 반성하고 성찰하자.(애플, 구글을 쓰는 게 진보입네 여기는 치들도 많은 것 같다만.) 그리고 페미니즘은 다른 게 아니라 그런 공동체적인 반성의 윤리다.

 

대체 이런 저급한 논쟁이 언제부터 토씨하나 안바뀌고 재연되고 있는건가? 자기검열이 걱정돼? 당연히 자기 검열 해야지. 자기검열도 뭣도 싫고 자유로운 인간이고 싶은 인간들이 밥은 먹고 먹고 TV는 보고 스포츠도 즐기고 사회적 관습은 다 따라하며 살고 있을 거 아냐.(이런 것들 다 벗어나 있다면 얘기해 주시길.) 저 틀 안에서 사는 건 상관없고, 자기 생각 반성해보는 건 틀 안에 갇히는 거 같애? 대체 얼마나 자유롭고 싶은데?

 

다만 걱정되는 건, 성폭력을 구조적 폭력이라고 바라봤을 때, 가해자/피해자로 이분한 뒤 가해자 '개인'에게 책임을 묻는 방식으로 흘러가서는, 대부분 경우 그래왔던 것처럼, 변화 대신 서로에게 상흔만 남긴다. 성폭력에 대한 문제제기는 성별 권력 관계에 대한 공동체적 성찰을 제안하는 것이 목표여야 한다. 바로 이 순간, 성별권력구조가 없는, 그래서 성폭력이 없어지는 공동체란 미망에 불과하니. 그리고 이러이러한 '성폭력적' 행위를 성폭력이라고 규정하는 것이 기존의 섹슈얼리티를 변화시키지 못하고 그대로 재생산한다는 점에서, 그것을 넘어서는 관계의 구성에 대해서도 고민해야한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공동체가 어느 순간에나 반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는 게 전제돼야 하는 것이지, '나 이런 구도는 식상해' 같은 개인적인 감정의 표출로 되는 거 아니라는 거. 그런 표출 또한 로빈슨크루소 놀이.

 

 

헌데 내가 남겨논 이런 글도 참 식상하겠지?

직접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몇몇 사람들의 글을 떠올리며 적었고, 그 사람들이 이걸 읽을지는 모르겠지만, 읽는다면 대충 누구 가르키는지 알겠거니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