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위험한 이데올로기, 그래서 좌파는?

1. 이명박 퇴진은 가능성이 있다

 

87년을 안 살아 봐서 그 당시 어땠는지 알 길은 없지만, 적어도 이명박에 대한 대중적 불만이 단지 폭발되는 것이 아니라 투쟁을 통해서 더욱 강해지고 있다는 것은 확실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놀라운 것은 대중들이 어떠한 방식으로도 스스로를 더욱 강하게 조직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미 대중들은 스스로를 지도하면서 투쟁을 스스로 만들어 나가고 있다. 대중의 창발성이라는 것은 이런 것이라는 것을 몸소 보여주듯이 말이다.

 

2. 그러나 이데올로기 지형은 매우 위험하다.

 

혹자는 또다시 좌파들이 너무 욕심이 많다고 할 지는 모르겠다. 그러나 적어도 지금의 이데올로기 지형으로는 오래 갈 수 없다는 것은 자명한 일. 광우병의 잠복기간이 몇 년인가? 40년이던가? 누군가 말했듯이 말라리아로 300만 죽는데 광우병으로 180명 죽는 거, 잠복기간도 드럽게 긴데 어차피 고시가 된 마당에 이거 가지고 오래 싸울 수는 없다.

 

문제는 쟁점이 훨씬 넓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명박 퇴진을 요구한다고 했을 때, 그 이명박 퇴진의 목표는 참여연대건 노빠들이건 좌파들이건 다 똑같다. 모두가 이명박 퇴진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노빠들의 경우에는 한 번 자기네가 당했던 거 이명박이라고 못 당할 거 있나 이런 심사도 있을 게다.

 

이 마당에 참여연대를 위시해서 야 3당(민주당, 자유선진당, 민노당) 한테 좋은 일 시켜주는 식의 이명박 탄핵이 될 가능성이 적지않아 있는 것이다. 물론 이들도 그리 튼튼한 조직이 아닌지라 대중들을 휘어잡고 갈 가능성은 매우 적지만 이들에게 대안적인 위치를 양보하게 될 가능성은 언제나 그렇듯이 매우 큰 것이다.

 

이미 다함께 사태를 비롯해서, 사회운동 진영 역시도 그다지 튼튼하지 않음과 동시에 대중 이데올로기와 부합하고 있지 않음이 이미 증거되었다.(뭐 너무나 당연한 소리지만) 학생들 경우에는 20대가 이제 나서겠다 뭐 이러면서 대중들의 호응이 어느 정도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뭐 이건 어느 정도 예외적이라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집회 내부에서 참여연대 부류의 비폭력 주의자(기회주의자)와 프락치로 의심되는 예비군들과 사회운동 진영이 대립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그러나 현재로서 사회운동 진영이 상대적으로 대중의 지지를 획득하고 있지 않다.

 

오히려 여전히도, 조직과 이념으로서 그들의 투쟁을 가두려고 하는 세력으로서, "운동권" 이라는 도식이 가지는 부정적인 효과가 남아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따름이다. 이 가운데에서 집회는 점점 아나키적으로 변해가고, 이 가운데에서 대중들은 헌법 이데올로기에 근거해서 자신들의 정당성을 확인하지만 이념과 조직에 대해서 재고하고 이로써 대중투쟁을 강고하게 만들어 갈 근거를 만들어내지 못한다. 이것은 오랫만에 열린 투쟁의 공간을 즉자적인 공간에 머물게 하고, 이러한 상황에서 투쟁의 성격이 더 높이 고양될 가능성은 점점 좁아진다. 더군다나 여기서 한 발짝 잘못 내딛는 것이 사회운동의 복권을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이는 남한 운동에서, 91년 계급투쟁 패배 이후, 소련의 해체 이후에 계속해서 나타났던 탈이념 현상의 연장선이 될 수 있다.

 

생존과 안전을 걸고 대중들이 모였지만 이들에게는 아직 FTA와 광우병의 연관성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그리고 의식적으로 의료민영화나, 교육문제 등이 새로운 이슈로서 속속 등장하면서 마침내 이명박 퇴진까지 왔지만 여전히 핵심 구호는 "고시철회 협상무효" 이다. 여기서 멈추지 않는 새로운 요구를 조직하는 것, 그리고 그러기 위해서는 수없는 토론과 교양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것 그것이 바로 지금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새로운 핵심 요구안을 추출하고, 그리고 지금 고시가 된 마당에 현실적으로 언제 흩어지게 될 지 모를 투쟁의 흐름 속에서 조직된 대오를 더욱 강하게 만들어 내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러한 대오들 가운데에서 대중이 뭉칠 수 있도록, 자생적인 구심을 형성할 수 있도록 조직해 내는 것이 절실한 요구안이자 그 안에서 새로운 요구를 추출해야 한다. 공공부문 민영화로 표상되는 사회 공공성의 문제나 다른 그 어떤 것이라도 더욱 급진화 시켜낼 수 있는 코어, 그리고 이데올로기적 조직화가 필수적이다. 또한 새로운 요구를 조직하는 가운데에서 이것들 하나 하나가 어떠한 연관성을 맺고 있는 가에 대해서 끊임없이 집요하게 파헤쳐 나가야 한다. 이후 토론 속에서 FTA와 광우병의 연관성 정도는 정확하게 밝혀지고 대중들의 투쟁 속에 자리할 수 있어야 더욱 더 급진화의 가능성이 열릴 것이다. 그렇지 않는다면 그저 "광우병 사태" 로 끝날 따름일 뿐인 것. 이것은 모두가 잘 알고 있는 것이다.

 

3. 혁명의 시간은 언제나 예측할 수 없다.

 

혁명의 시간은 예측할 수 없는 시기에 찾아오고, 그리고 돌이킬 수 없이 대중들을 떠난다. 대중들의 자발적인 투쟁의 시간 속에서 소비에트를 외쳤던 레닌의 4월 테제가 1년이 되지 않는 동안 임박한 파국에서 다시금 바뀔 수 밖에 없었듯이, 혁명의 시간은 언제나 그렇듯 예측할 수 없다.

 

지금의 시간이 바로 대중들에게 있어서 봉기와 반역의 시간이라면, 그것이 언제 떠날 지도 우리는 생각해야만 한다. 이 혁명의 시간을 조금 더 길게 붙잡고 혁명의 공간을 조금 더 넓게 열기 위해서 운동가들이 해야 할 일이 있다면 바로 지금부터라도 기본에 충실하게 이데올로기적 반역을 조직하는 것이다. 이명박이 개새끼라서 만이 아니라 바로 신자유주의를, FTA를, 비정규직 철폐의 정당성을 그리고 그러한 이데올로기를 조직하기 위한 학습과 토론을 조직하는 것이다. 그것이 지금 속칭 운동권들이 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방법이다.

 

비정규직 철폐가 뜬금없다면 식량주권과 광우병으로 강연회를, 토론회를 조직하고 거기에 대중들을 끌어들이는 것. 그리고 이 상황 하에서 혁명의 시간이 떠나기 전에, 대중 이데올로기의 최대한의 급진화를 이루기 위해 헌신하는 것. 그것이 바로 운동가가 지금에 있어서 할 최대의 일이다.

 

투쟁의 자리에서 이미 지도할 수 없는 대중을 아쉬워하거나, 아니면 마음에 안 드는 노래 (대한민국은 민주 공화국이다?) 를 부르는 대중 속에서 그저 한 명의 참가자로서 있는 것 이상으로 해야 할 일이 바로, 대중들과 소통하고 사회운동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이 바로 그러한 것들인 것이다.

 

레닌은 혁명의 시간이 떠나가기 전에 그 혁명의 시간들을 체제를 구축함으로써 대중들을 가두려 했지만 그것이 혁명적인 성과를 남겼는지는 달리 평가해 볼 일이 되었다. 봉기도 물론 중요하지만, 구성(예를 들어 법적 체제)의 역할이 있다는 점에서 레닌의 그러한 시도를 결코 무의미하게 바라볼 수 없다. 하지만 우리가 지금 대중운동 속에서 배워야 할 것은 구성으로 가두려고 시도하는 자체가 아니라 봉기를, 대중운동을 지성으로서 보조하는 것, 과거의 잘못을 되풀이 하지 않도록 도와줄 수 있는 임무를 다하고 대중 이데올로기의 반역을 온존시키는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