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공공서비스 노동자의 근골격계 증상과 관련된 위험인자에 대한 역학연구

(Epidemiological study of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potential risk factors at work in public service workers)

 

 

서 론

 

공공 서비스 노동자는 가로 청소 및 쓰레기 수거와 처리, 도로 보수, 하수처리, 수로시
설 관리, 공공시설 유지 및 관리 등 지역사회의 필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은 유해화학물질·혈액전파성 병원체·결핵·인화성 물질 등에 폭로되기 쉬우며
유리조각이나 날카로운 금속 등에 의한 부상의 위험이 있다. 가령 쓰레기를 수거하는 환
경미화원들의 경우 표 1과 같은 유해요인들을 직접 손으로 다루게 된다.

 

표1. 생활쓰레기에서 발견되는 유해요인

--------------------------------------------------------------------------

Glass, window panes, fluorescent tubing
Battery acid, cans of solvent or paint, aerosol containers, gas cylinders, motor oil
Construction waste, dust, plaster, sawdust, hearth cinders
Pieces of wood with nails in them
Syringes, medical waste
Garden waste, grass, rocks, earth
Furniture, electical appliances, other large domestic trash
Pre-compacted waste (in apartment buildings)
Excessive numbers of small containers from small businesses and restaurants
Large amounts of vegetable and animal waste in rural sectors
Paper bags and boxes that rip
Exessive numbers of small bags
Small, apparently light bags that are infact heavy
Prohibited containers(e,g., no handles, excessive weight, 55-gallon oil drums, thin-necked
drums, garbage cans without covers)
Extra-large bags
All waste that is hidden because of its excessive weight or toxicity, or that surprises
unprepared workers
Commercial containers that must be emptied with an improvised system, which is often
inappropriate and dangerous
--------------------------------------------------------------------------

 

또한 이들의 작업은 대부분 실외에서 이루어지므로 열악한 기후조건이나 일산화탄소 등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폭로 및 각종 기계에 의한 부상, 교통사고, 전기사고 등의 위험이 높고, 특히 근골격계 질환 및 재해의 위험이 매우 높은 대표적인 집단에 속한다. 미국 뉴욕시의 하수 관리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의하면 이들의 재해 발생률은 미국 평균의 20배에 달하며, 그 가운데 요부 손상이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였다. 또다른 연구에서는 캐나다 퀘벡지역에서 환경미화원의 작업과정을 촬영하여 분석한 결과, 한시간 동안 사고를 발생시키거나 노동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상황이 1500번이나 관찰되었으며, 이 지역 환경미화원의 1년 평균 사고율은 매 2000시간 동안 80번으로서 10명중 8명은 1년에 적어도 한번 이상의 상해를 경험하는 셈이라고 한다.

 

작업과정에서의 과도한 힘, 고도의 반복, 진동, 부적절한 작업자세 등이 근골격계 질환
의 위험인자라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와 더불어 여러 역학연구를 통하여 업
무량의 과다, 시간적 압박(time pressure), 낮은 업무 통제력, 단조로운 작업내용, 동료 및
상사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적게 받는 것 등이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
로 알려져왔다. 또한 물리적 위험인자와 정신사회적 위험인자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위험이 증폭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들도 보고된 바 있다.

 

그런데 공공 서비스 부문에는 이러한 업무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요인들이 상존
하고 있다. 도로·하수 등 각종 공공시설의 보수와 관리 부문 종사자들은 벽돌이나 보도
경계석 등의 중량물을 취급하며, 일반적인 건설업종 노동자와 마찬가지로 시멘트나 아스
팔트를 사용하고 용접·굴착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가로·공원의 녹지관리 및 조경부문
에서도 다량의 흙과 가로수를 다루게 되며, 환경미화원들은 크고 작은 쓰레기들을 수거차
량에 싣고 내리는 작업을 반복한다. 캐나다 퀘벡 지역에서 수행된 조사에 의하면 이 지역
의 환경미화원은 매일 500여 곳에서 총 16톤의 쓰레기를 수집한다. 이 작업은 평균 6시간
가량 소요되는데, 이는 시간당 2.4톤, 킬로미터당 550킬로그램의 쓰레기를 다루는 셈이다.

 

또한 이들의 업무는 야간 작업이 많고 특히 홍수나 폭설 등의 열악한 기후조건일 때일
수록 업무량이 폭증하는 경향이 있다. 게다가 업무의 사회적 성격 상 환경미화원은 일정
한 시간 이내에 지정된 구역의 쓰레기를 모두 수거해야 하고, 도로보수 및 각종 시설관리
노동자들은 제한된 시간 내에 업무를 완수해야 하기 때문에 최대한 빠른 시간 안에 작업
을 마치기 위하여 인간공학적으로 적절치 못한 작업자세를 취하거나 사고예방 조치에 소
홀하기 쉽다. 더군다나 대부분 단독작업 혹은 소규모 팀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효과
적으로 위험을 감시하거나 위험한 상황에 재빠르게 대처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따라서 공공 서비스 노동자들의 근골격계 질환 및 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
상되나 아직 위험인자에 대한 관리대책은 물론 그 실태조차 제대로 파악되어 있지 못하
다. 왜냐하면 쓰레기 수거·처리, 공원관리, 녹지, 도로, 시설, 치수, 토목, 하수, 건설, 주
차·쓰레기 투기·노점상·전용차선 위반 단속 등 이들이 수행하는 작업의 내용이 다양
하여 노동과정을 계량화하기 어렵고, 노동환경이 수시로 변화하며, 각 지방자치단체의 행
정구역별로 따로 고용되거나 심지어 민간용역·하청업체에 간접고용되어 있어 전반적인
노동조건을 구조화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이다. 또한 공공 서비스 노동자들이 지방자치단
체 및 정부기관에 소속되어 있더라도 각 사업장의 고용규모가 작은데다가 이들을 통합하
는 안전보건관리 대책은 수립되어 있지 않다. 게다가 공공 부문 서비스가 민간 용역·하
청업체로 이전되면서 이 부문 노동자들의 안전보건은 더욱 취약해지고 있는 것으로 예상
된다.

 


연 구 가 설

 

1. 업무내용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부위의 근골격계 증상이 나타난다.
2. 주관적으로 평가한 근골격계 질환의 물리적 위험인자와 근골격계 증상 사이의 연관성
이 존재한다.
3. 근골격계 질환의 정신사회적 위험인자와 근골격계 증상 사이의 연관성이 존재한다.
4. 이상의 연관성은 연령 등 근골격계 질환의 업무 외적 요인들의 영향을 배제한 뒤에도
존재한다.
5. 근골격계 질환의 물리적 위험인자와 정신사회적 위험인자 사이에 상호작용이 존재한
다.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선정

서울 및 수도권 도시 지역의 지방자치단체, 각종 공공시설 관리사업소 및 공공 서
비스 대행·위탁 민간업체에 근무하는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연구방법 및 자료 분석

1) 자료의 수집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근골격계 질환의 물리적·정신사회적 위험인자 등을
포함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였다(표 2).

 

표2. 설문의 내용

--------------------------------------------------------------------------

일반적 특성 성별 연령

흡연 및 음주력

소속 사업장(지역)

주요 업무

직업력

물리적 위험인자 취급하는 중량물 무게
중량물 취급 빈도 및 변화
하루에 걷는 거리
서서 일하는 시간
앉아서 일하는 시간

 

정신사회적 위험인자 직무스트레스

기타 노동조건 노동시간 및 휴식시간
업무량의 변화
간접고용여부
고용형태 및 변화

근골격계 자각증상

기타 주요 증상

--------------------------------------------------------------------------

 

물리적 위험인자를 파악하기 위한 문항으로는 평소에 취급하는 중량물 무게 및 취급 빈도, 하루에 걷는 거리, 서서 일하는 시간, 앉아서 일하는 시간 등이 포함되었다.

 

정신사회적 위험인자는 Karasek 등(1982)의 고용 특성에 관한 연구(US Quality
of Employment Survey)에서 사용된 직무내용 설문지(Job Content Questionnaire :
JCQ)를 장세진 등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설문항목은 직무요구도 관련 5개 항
목, 직무 자율성 관련 9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그밖에도 노동시간 및 휴식시간, 업무량의 변화, 간접고용여부, 고용형태 및 변화
등의 노동조건에 대하여 파악하였다.

 

근골격계 증상은 각 신체부위별로 세분하여 조사하였으며 증상의 유무 뿐 아니라
빈도와 지속기간, 증상에 대한 대처방식과 그 이유 등을 함께 조사하였다.

 

2) 통계 자료 분석

 

조사대상자들이 수행하고 있는 각종업무에 따른 근골격계 위험요인과 증상 호소율
을 산출한다.

 

물리적 위험요인은 객관적인 업무의 종류와 조사대상자들이 주관적으로 평가한 내
용을 바탕으로 미리 설정해 둔 고위험·저위험 집단의 정의에 따라 분류한다. 직무
스트레스 분석은 직무 요구도와 직무 자율성을 각각 다음과 같이 계산하고 두 가지
차원에서의 중앙값을 기준으로 각각 두 개의 항목으로 나누어 고긴장·저긴장 집단,
능동적·수동적 집단 등 4개의 집단으로 구분한다.

 

직무요구도=(요구1+요구2)×3+(요구3+요구4+요구5)×2 (단 요구1, 요구2는 4-3-2-1로 코딩)
직무자율성=(재량1+재량2+재량3)×4+(재량4+재량5+재량6+재량7+재량8+재량9)×2.
(단, 재량1, 재량3, 재량4, 재량6, 재량7, 재량8, 재량9는 4-3-2-1로 코딩)

 

근골격계 증상 호소자 가운데 미리 설정해 둔 기준에 따라 근골격계 질환의 가능
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및 분류되지 않는 집단을 설정한다. 가능성이 높은 집
단과 낮은 집단에 대하여 물리적 위험요인과 정신사회적 위험요인의 교차비를 산출
하여 근골격계 증상과의 연관성을 평가한다.

 

 

기 대 효 과

 

1. 공공 서비스 노동자들의 다양한 업무들 가운데 근골격계 증상이 주로 나타나는 고위험
업무를 알 수 있다.
2. 근골격계 질환의 물리적, 정신사회적 위험인자 및 이들의 상호작용을 파악할 수 있다.
3. 공공 서비스 노동자들의 근골격계 질환 및 재해실태 파악과 예방대책수립을 위한 연구
의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참 고 문 헌

 

1. KOSHA CODE H-28-2002, 「작업관련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 및 위험요인 평가지침」
한국산업안전공단, 2002.

2. 윤철수 이세훈. 자동차 관련직종 근로자에서 상지 근골격계 증상 호소율과 관련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1999;11(4):439-448.

3. 『Encyclopaedia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4th ed., chapter 101, Public
and Government services, International Labour Office, 1998.

4. Bruce P. Bernard,『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Workplace Factors』, A critical
review of epidemiologic evidence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neck, upper extremity, and low back, U.S.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97.

5. Myers Ann H. et al. Back injury in Municipal workers : A case-control stud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99;89(7):1036-1041.

6. Kerr M. S. et al. Biomechanical and psychosocial risk factors for low back pain at
work. Americal journal of public health. 2001;91(7):1069-1075.

7. Warren N. et al. Biomechanical, psychosocial, and organizational risk factors for
WRMSD : Population-based estimates from the Connecticut upper-extremity
surveillance project.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2000;5(1):164-181.

8. Cassou B. et al. Chronic neck and shoulder pain, age, and working conditions :
longitudinal results from a large random sample in France.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2002;59:537-544.

9. Devereux J. J. et al. Epidemiological study to investigate potential interaction
between physical and psychosocial factors at work that may increase the risk of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order of the neck and upper limb.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2002;59:269-277.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3/02/06 10:38 2013/02/06 1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