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ate, stratification   
    
층(strate) ― 동질적 존재들이 별도로 구분되어 존재할 때 ‘층’이 형성된다.
같은 종류의 사물들 ― ‘기계들’ ― 이 층을 형성하게 되는 운동은 ‘층화(stratification)’이다. 현무암끼리, 석회암끼리, 화강암끼리, ... 구분되어 존재할 때 ‘지층들’이 성립하고, 서민층, 중산층, 부유층, ... 등이 구분되어 존재할 때 ‘(사회)계층들’이 성립하고, 비슷한 또래의 나이들끼리 나뉘어 존재할 때 ‘연령층’이 성립한다.
세계는 층화되어 있다.(물리-화학적 층, 유기적 층, 인간적/문화적 층이 가장 큰 세 층을 형성한다) 인간이 개입될 경우, 층의 형성은 사물들 위에 가해지는 어떤 기호체제/코드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그 기호체제/코드가 무너질 때, 층들의 경계선들이 와해되고 이질적/다질적 조성이 이루어질 때, 층화되어 있던 부분들=기관들(들뢰즈/가타리가 말하는 ‘기관들’은 반드시 신체의 기관들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회사의 ‘부’들, 대학의 ‘과’들, 관료조직에서의 ‘국’, ‘처’, ...등도 모두 ‘기관들’이다)은  ‘탈기관’ 상태 또는 ‘혼효(混淆)’ 상태를 향하게 된다.(더 정확히 말하면 혼효 상태가 일차적이다. 즉 들뢰즈/가타리에게는 혼효 상태가 ‘본래적인’ 것이다. 거기에 자연적인 또는 문화적인 초월적 기호체제/코드가 개입할 때 층들이 형성된다) 층들이 혼효 상태를 향해 해체/재구성되기 시작한다는 것은 곧 ‘탈층화’의 운동이 발생함을 뜻한다.
 

 

 articulation, segmentarite      
  
분절(화)(articulation), 절편성(segmentarité) ― 삶을 일정한 단위들로 가르는 방식이 ‘분절(화)’, ‘절편성’이다.
분절은 잘라(分)-붙임(節)이다. 사물들은 완전한 한 덩어리, 무규정적 전체로 존재하지 않으며, 또 완전히 불연속적인 파편들로 존재하지도 않는다. 여럿을 내포하는 하나, 마디들을 가진 하나, 즉 분절된 하나로 되어 있다. 마디들[節]을 가진 대나무처럼. 지도리들의 개수와 분포가 한 사물의 구조를 결정하는 핵심이다.
「도덕의 지질학」에서 ‘이중 분절’ 개념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미시정치학과 절편성」에서 절편성은 이항(대립)적 절편성(남자와 여자, 어른과 아이, ...), 원환적 절편성(나, 가족, 지역, 국가, ...), 선형적 절편성(가족 시절, 학교 시절, 군대 시절, ...)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가변성의 정도에 따라 ‘유연한 절편성’과 ‘견고한 절편성’이 구분된다. 분절과 절편성은 자연과 우리 삶에 마디들을 만들어낸다. 마디들의 형성과 변환, 그것들이 함축하는 의미, 욕망, 권력, 역사, ... 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plan d'immanence


들뢰즈의 내재면의 사유는 초월자를 거부하는 것이지만 그런 거부는 이미 예전에 이루어진 것이고 따라서 오늘날 특별히 실효 있는 것이 아니라는 주장을 본 적이 있다.
그러나 "초월적인 것"에는 여러 가지 맥락이 존재한다.

1. 신이나 이데아 등의 초월자.(이데아가 과연 그런 초월자인가는 자체로서 논쟁거리가 된다.)
2. 세계에 내재적이지만 개별적이고 우발적인 사건들을 넘어서 있는 초월자들.(아리스토텔레스의 형상, 주자의 리 등) 3. 선험적 주체. 경험적인 것들을 넘어서 그것들을 가능하게 하는 초월자.(칸트의 선험적=초월론적 주체 등)
4. 관계망. 관계망이 그 자체로서 고착될 때 그것은 또한 초월자의 성격을 띤다.

 

1이 이미 전개된 사상이라고 해서 "내재면"이 유효한 사상이 아니라는 것은 "초월적인 것"이 이런 다양한 맥락을 띤다는 사실을 모르는 것이다.
2, 3, 4의 초월성은 지금도 우리 삶과 사유의 곳곳에서 발견되는 것이다. 내재면은 단지 초월자가 없는 면이 아니라 2, 3, 4의 초월성이 성립할 수 없는 면(지평)이다. 그것은 어떤 절대적 실선도 그어질 수 없는, 모든 것들이 점선으로만 존재하는,
즉 모든 A는 dA로서만 존재할 수 있는(d=differentiation, differentiel)면이다. 그것은 개방계(open system) 자체라고 할 수 있다.

 


"le possible"과 "le virtuel"      
  
베르그손이 "Le possible et le reel"에서 사용한 "le possible"은 사실상 "le virtuel"로 보아야 할 것이다.
베르그손은 여기에서 "추후적 사고(pensee retrospective)"를 비판한다. 무엇인가가 현실화되었을 때, 우리는 그것이 그 전에 "가능했기" 때문에 현실화되었으리라 생각한다. 그리고 이런 생각에는 세계에 대한 고전 역학적 개념의 거의 무의식적으로 배어 있다고 하겠다.

베르그손은 "가능하다"라는 말을 두 가지로 구분한다.
1) 소극적 의미: 불가능하지 않다. 이것은 소극적 규정이기 때문에 사실상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라는 것만 의미할 뿐이다.
2) 적극적 의미: 그렇게 될 수 있는 힘이 있었다. 그러나 이런 의미에서의 "가능"이란 사실상 "잠재"이다.

결국 베르그손이 말하려는 것은 잠재적인 것은 그것이 오로지 현실화되었을 때 가능하게 된다는 것이다. 현실화되기 전에 가능했던 것이 아니라, 현실화됨으로써 비로소 그 때 "가능했던" 것이 "되는" 것이다.
<가능과 현실>은 지금 읽어보아도 참으로 뛰어난 글이다.

 

 

 plan de consistance      
 
 'plan de consistance'는 들뢰즈/가타리 개념들 중 특히 까다로운 용어들 중 하나이다. 다음은 간단한 정리이다.
 
 ‘plan de consistance’는 ‘plan d'organisation’(또는 ‘plan de dévéloppement’)에 대비되는 개념이다. ‘생물학’의 탄생에 크게 기여했던 ‘조직화의 도안’(또는 그 후에 등장한 ‘발생의 도안’)은 형식(아리스토텔레스의 형상)의 발생과 실체(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의 형성(형식화)를 지배한다. 이로써 ‘유기체’가 성립한다. 조직면, 발생면은 정합성의 면이다. ‘plan de consistance’ 또는 ‘plan de composition’ 즉 ‘planomène’는 조직면, 발생면을 일탈하는 존재들이 성립하는 면이다.(결과적으로 조직면/발생면에서는 공존할 수 없는 이질적인 것들이 이 면에서는 공존할 수 있다.

‘plan de consolidation’에서의 공존

즉 기존의 종/유 체계에서 볼 때 기형으로 간주되는 ‘괴물들’, 기존의 존재론으로 포착되지 않는(기존의 존재론은 배제해 온) ‘이것’들(‘유목적 본질들’), 비물체적 변환으로서의 ‘사건’들, 상수들과 변수들을 일탈하는 ‘연속적 변이’=‘강도 연속체’들, 일반성과 특수성의 체계를 무너뜨리는 ‘되기’들, 홈 패인 공간을 가로지르는 ‘매끄러운 공간’들.

때문에 ‘plan de consistance’는 중간(milieu)이 아닌 어떤 시원에서 시작하게 만드는 ‘원리면(plan de principe)’, 또는 어떤 궁극으로 나아가게 만드는 ‘목적면(plan de finalité)’, 복수성들을 정합적으로 통일되게 만드는 ‘통일면(plan d'unification)’/‘총체화면(plan de totalisation)’에 대비된다. 우리는 ‘plan de consistance’가 ‘virtualité’의 또 다른 개념화라는 사실을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

‘plan de consistance’는 ‘잠재면’/'혼효면'으로, (조직화의 도안에서는 불가능한, 이질적인 것들의 공존이라는 맥락에서 사용되는) ‘plan de consolidation’은 ‘혼효면’으로, (스피노자의 존재론을 함축하는) ‘plan de composition’은 ‘조성면’으로, ‘noumène’을 대치하는 ‘planomène’(‘물자체’에서 ‘잠재성’으로)는 ‘잠재계’로 번역하는 것이 좋을 듯.

 

 

***이정우의 소운서원http://www.sowoon.org/ [21세기존재론] 게시판에서 퍼옴.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TAG

Trackback

Trackback Address :: http://blog.jinbo.net/nomad22/trackback/137

Comments

What's on your mind?

댓글 입력 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