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기(devenir)  “자신의 존재의 외피를 뚫고서 나아가라.”

- 이정우 (철학자)

 

 

기예(氣藝)의 개념은 ‘되기’를 다루고 있는 부분을 읽음으로써 가장 잘 포착된다. 되기는 변신이다.

그것은 기존의 동일성에 고착되지 않고 다른 존재로 화(化)해 가는 것, 즉 존재론적인 변신이다.


여기에서 “존재론적”은 “실재적”을 뜻한다. 현대 사상은 실재적인 것, 상상적인 것, 상징적인 것이라는 세 개념을 둘러싸고 진행되었다. 노마디즘의 되기는 상상적인 되기나 상징적인 되기가 아니라 실재적인 되기이다. 예컨대 학-되기는 학을 상상하는 것도, 학을 흉내내는 것도, ‘학’이라는 이름을 부여받는 것도 아니다. 그것은 내가 실재적으로 학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실재적으로 학이 된다는 것이 만화나 영화에서처럼 갑자기 인간이 학이 되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이것은 상상적 되기이다) 무엇이 된다는 것, 그것은 자신의 氣를 변화시켜 자신이 되고자 하는 존재의 氣에 가까이 가져가는 것이다. 학춤의 명인은 단순히 학을 흉내내는 것이 아니다. 학을 상상하는 것도 아니다. 그는 부단한 수련으로 자신의 氣를 학의 氣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거미-되기는 「스파이더 맨」에서처럼 우연히 유전자 변이를 겪는 것도 아니고(영화 버전), 기계의 도움으로 건물들 사이를 날아다니는 것도 아니다.(만화 버전)


그것은 자신의 氣를 부단히 수련함으로써 ‘인간’이라는 자신의 ‘존재’=외피를 뚫고서 거미라는 다른 존재가 “되는” 것, 다른 존재로 자신의 氣를 바꾸어나가는 것이다.


여기에서 노마디즘은 강렬한 윤리적-정치적 함축을 띠게 된다. 되기는 존재론인 동시에 윤리학이자 정치학이다. 노마디즘은 윤리학 이론, 정치학 이론이 아니다. 그것이 문제 삼는 것은 어떻게 자신의 氣를 실제 변화시켜서 지금의 나와는 다른 존재가 되는가이다. 즉 노마디즘은 여성을, 어린이를, 흑인을 위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여성과 남성을 가르고 타자를 위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자신이 실제 타자가 되려고 하는 것이다. 말할 필요도 없이 그것은 마치 만화에서처럼 남성이 여성이 되는 것을 뜻하지 않는다.(그렇게 말한다면 하리수가 노마디즘의 실천자일 것이다) 남성이 남성으로서의 동일성에 고착되지 않고 여성의 氣를 가지려 노력하는 것이다. 여성의 氣, 여성의 감응(感應), 여성의 정(情)으로 자신의 존재 자체를 바꾸어나가는 것이다.(여기에서 존재론과 윤리학/정치학은 하나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TAG

Trackback

Trackback Address :: http://blog.jinbo.net/nomad22/trackback/87

Comments

What's on your mind?

댓글 입력 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