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목표는 이윤의 획득-극대화이다.

자본주의 이해에 있어 이윤의 원리를 규명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자본주의적 생산에 있어 상품시장의 주체가 기업이고, 그 기업의 주된 운영원리가 이윤의 획득이기 때문이다.

산업자본의 순환도식에서 이윤획득의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M-C(MP, LP)----P----C'-M' (=M+m)

이 도식에서 M'-M=m 으로 산출량과 투입량의 차이가 이윤이다.

문제는 이윤의 원천이 무엇인가에 있다. 도식에서 실선(-)의 과정은 등가교환으로 가치의 증식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P, 즉 생산과정에서만 가치의 증식이 가능하다. 앞서 이미 가치는 곧 사회적 노동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던 바, MP의 경우 그 가치를 이전할 뿐, 노동(LP)만이 가치를 창출한다. 그 과정에서 어떻게 이윤이 존재할 수 있는가. 그 핵심은 기업이 초기비용으로 치르는 비용 C로 구입하는 것이 노동이 아니라, 노동력이라는 데에 있다. 기업은 노동자의 노동력에 대한 처분권을 구입하는 셈이다.(노동자 자신에 대한 처분권이 아니다.) 그렇다면 기업은 노동력에 대한 대가로 얼마를 지불해야 할까. 상품의 가치가 그 상품을 생산할 수 있는 사회적 노동으로 규정된다면, 노동력의 가치 역시 그 노동력을 유지할 수 있는 사회적 노동으로 규정할 수 있을텐데, 노동력을 유지할 수 있는 사회적 노동량이라는 것은 곧 노동자와 그의 가족이 생활하기 위해 구입하는 소비재의 가치와 같다. 그래서 해마다 임금협상 시즌이 되면 민주노총에서는 표준생계비를 발표하고, 그 기준으로 임금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실현되는 과정은 이와는 매우 다르다. 최종적인 임금의 수준은 노동과 자본 간의 권력 균형에서 결정되곤 한다.

또한, 최근에 와서 임금은 노동력의 대가라기 보다는 마치 노동의 기여도에 대한 대가인 듯 보이는 경우가 많다. 성과급제라던가, 아예 월급 개념이 없는 소사장제 등의 경우가 그렇다. 이러한 최근의 흐름을 제도적 차원의 교란이라고 친다하더라도 문제는 여전히 남는데, 이론적으로 노동자의 임금이 노동력의 가격이라고 한다면, 왜 직업 별로 임금 수준이 천차만별인가의 설명이 어렵다는 점이다.

기업이 이윤을 극대화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IMF 이후 우리사회에서 강조했던 것이 노동의 유연화, 특히 노동시장의 유연화였다. 당시 일각에서는 노동의 유연화가 노동시장의 유연화 뿐 아니라 노동과정의 유연화로 가능함을 애써 부각시키려 하였지만, 실제 우리나라에서 노동 유연화는 미국식 노동시장의 유연화로 진행되어왔다. 한가지 짚고 넘어갈 점은 책에서 예로 들고 있는 도요타 방식처럼 노동과정의 유연화 역시 노동자에 대한 착취를 바탕으로 하고 있음이 드러나고 있기 때문에, 어떤 방식의 노동 유연화냐의 논의가 아니라 과연 노동의 유연화가 왜 필요한가에 대한 논의부터 다시 해야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6/04/13 01:09 2006/04/13 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