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티에서 난 지진 관련 기사를 보니

(실은 대응 능력 자체가 부재해서라지만) 굼벵이 같은 정부의 대응에

길가에 시체를 쌓아 놓고 항의했다는 아이티 주민들을 놓고

"엽기행각"을 벌였다고 하던데.

 

글쎄, 외려 엽기적인 건 이런 죽음을 부르는 경제의 지속을 지지, 장려해놓고선

막상 일 터지고 나서야 '인도적' 손길을 내미는

선진화된 핵심부국가군 "국제사회"의 시민 내지 권력자들이 아닐까.

 

경향신문 네컷 만화 <장도리>에선 그 손길이란 게 다

착취하기 수월한 '노동력의 복구'를 위해서 아니냐고 묻는다.

이 만화가 분한테서 늘 느끼는 거지만, 그야말로 촌철살인이다.

'인구관리/조절'상 죽더라도 단물 다 빨렸다 싶을 때까지 천천히, 살면서 죽어가야지,

예측할 수 없는 돌연한 죽음인 이상에야

제 아무리 '보이지 않는 손'이라지만 그 인도적 모습을 일단 드러내야 하는 셈인 거다.

설사, 보통은 주먹질을 일삼았던 손였더라도 말이다.

 

나름 연륜이 유구한 세계경제의 기괴함이랄까, 엽기성이란 건 이런 게 아닐라나.

 

어쨌거나, 땅으로부터의 뿌리뽑힘을 강제당한 것으로도 모자라

죽음까지 속수무책으로 강제당해야 했던 아이티인들에게

명복부터 빌고 볼 일이겠지만..ㅠ;

 

 

아래는,

이번 아이티 참사와 관련해 프레시안에 소개됐던

<가디언> 칼럼니스트(라고 하면 될지 몰겠으나 암튼) 피터 홀워드의 글 전문이다.

 

 

근데 번역을 하다가 문득, 역사적 근대화/근대성의 화신인 박정희가 즐겨 써먹었다던

"5천년래의 가난"이란 어구가 떠올랐다.

 

"5천년래"라는 (실은 몹시나 몰역사적인) 수사를 젖혀놓고 보면,

그가 들먹인 가난이란 것도 실상 근대 일본령 조선기의 식민주의적 발전체제가 창출한

구조적 궁핍화의 흔적이 아녔겠냐는 거다(물론 한국전쟁으로 더 숭악해진 면이 있겠지만). 

근까 근대화의 소위 미발이나 부재, 결손 따위를 증명하는 근거이긴커녕,

그 자체 근대화된 빈곤의 일상적 형태로 읽어낼 수 있겠다는 얘기.

 

그렇다면 이런 맥락에서 식민지적/탈식민지적 근대화 과정을 하나의 역사적 과정으로 묶어

'빈곤/궁핍화의 사회적 배치'가 어떤 지속과 변화 속에 재편성돼 왔는지 살펴볼 수도 있겠고.

 

이리 보면 근대화된 빈곤 혹은 궁핍화 양상은

(소위 한강의 기적이라는 발전 와중에) 이제껏 어떻게 '압축된' 형태로 비가시화돼왔으며,

이로 인한 모순들은 지금 어떻게 잠재화한 채 '폭탄돌리기'식으로

대한민국 국가라는 장 내부나 특정한 국가간 관계 속에서 유령처럼 출몰하고 있는지

좀더 일관되게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마침 살아 있는 걸로 확인된 한국인(기업가)들도 이곳에 '사업차' 들렀다던데,

이런 점에서도 박정희가 "5천년래 가난을 극복.." 운운했단 얘기가 떠올랐던 게

그렇게 생뚱맞은 건 아니지 싶다.

 

외견상의 자연재난이 실은 사회정치적 관계의 산물임을 새삼 일깨운 점도 그렇지만,

그래서 '자연'과 '사회'를 실시간으로들 잇는 결절점으로 지금 이곳을 사는 우리에게도

그저 강 건너 불구경할 일은 결코 아니겠다는 생각.

근대화된 궁핍화 압력이 모르긴 몰라도 아이티 못잖게 치솟아 있을

북조선이란 나라가 지척이기도 하거니와..

 

헌데 북조선 내부 상황이 그렇게 숭악하다고는 해도

곧 언발에 오줌누기 식으로나마 미국을 대롱 삼아 숨통을 틔울 참이라지만,

딱히 숨통이랄 만한 게 안 보이는 대한민국은, 요즘 단신기사에서 보이는 조짐이 그렇듯,

외관상의 무리한 화장빨과 허우대로 인한 착시 효과 때메

앞으로 닥쳐올 상황이 더 암담한 건 아닌지 모르겠다.;

 

 

***

 

아이티가 처한 곤경 앞에서 무엇을 할 것인가  

 

초토화된 아이티를 진심으로 돕겠다면, 그곳에 대한 통제와 착취를 멈춰야

 

 


지난 화요일(12일) 아이티의 수도를 할퀸 것과 같은 규모의 지진이면 어느 도시든 광범한 피해를 입겠지만, 수도인 포르투프랑스 곳곳이 지금 그렇듯이 전쟁터를 방불케 할 정도였던 적은 없다. 최근 일어난 것으로 가장 잔혹한 수준인 이번 재난의 참상은 대부분, 오랜 시기에 걸쳐 보여온 추악한 역사적 추이를 통해서 납득할 수가 있다.

 

아이티는 유난히 많은 천재지변을 겪었다. 1770년 포르투프랑스에서 일어난 지진으로 수백 명이 죽었고, 1842년 5월 7일에 난 대지진은 북부 수도에서만 아이티인 1만 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허리케인은 이 섬에 주기적으로 타격을 입힌다. 가장 최근 사례로는 2004년과 2008년이 있는데, 2008년 9월에 상륙했던 허리케인의 경우엔 Gonaïves 전체가 물에 잠기고 알량했던 사회기간시설이 싹쓸이당하면서 1천 명 이상이 죽고 가옥 수천 채가 파괴됐다. 이번 지진에 따른 전체적인 파괴 규모가 드러나기까지는 몇 주가 걸릴 수도 있다. 최소한의 복구작업조차 몇 년이 걸려야 될 것이고, 장기적인 후유증은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다.

 

그러나 이미 명명백백하기도 한 것은, 이 후유증이 사실 역사적으로 훨씬 더 이전부터 용의주도하게 이뤄져온 궁핍화와 (정치적) 무력화의 직접적 결과라는 점이다. 아이티는 “서반구에서 가장 빈곤한 나라”로 취급받기 일쑤다. 이같은 빈곤은, 아마 세계사상 가장 야만적이라고 해도 좋을 식민주의 착취 체계가 탈식민지 이후의 체계적 압제와 뒤섞이면서 형성된 유산이다.

 

아이티에 “인도적 지원”을 하겠다며 부산을 떠는 고상한 “국제사회”는 대체로, 스스로 줄이겠노라고 한 고통의 크기만큼 작금의 아이티 상황에 대해 책임이 있다. 1915년 미국의 침략과 점령이 이뤄진 이후, 미국과 그 지배동맹들은 아이티 인민들이 (전 대통령 장 베르트랑 아리스티드의 표현을 빌자면) “절대적 비참에서 당당한 가난”을 향해 움직이려는 진지한 그 어떤 정치적 시도도 폭력적이고 의도적으로 봉쇄해왔다.

 

(아이티 유권자의 75% 지지로 당선된) 옛 아리스티드 행정부는 가장 최근에 이같은 봉쇄의 희생양이 됐던 경우였는데, 2004년 국제적 후원 아래 주민 수천 명을 학살하고 대다수 주민에게 원한을 각인시킨 쿠데타로 축출됐다. UN에서는 쿠데타 이후 막대한 비용을 들여가며 안정화와 내부치안 병력을 대규모로 유지해왔다.

 

가장 믿을 만한 연구에 따르면, 아이티에서는 현재 주민의 대략 75% 정도가 “하루 2달러 미만으로, 56%인 450만 명의 사람들이 하루 1달러도 안 되는 삶을 살고 있다”. 지난 수십 년 간 이뤄져온 신자유주의적 “(구조)조정”과 신제국주의적인 개입으로 아이티 정부는 자국 주민들에게 자원을 배치하거나 경제를 운용할 역량을 박탈당했다. 그 대가로 이뤄졌던 국가간 무역과 금융화는, 이렇듯 아이티인들의 삶 속에 제도적으로 구조화한 궁핍과 역량의 불모화를 앞으로 상당 기간 동안 한층 더 지속시킬 것이다.

 

이러한 빈곤과 힘의 부재야말로, 지금 포르투프랭스에서 벌어지고 있는 가공할 상황 전체를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다. 1970년대 후반 이후 아이티의 농촌경제를 신자유주의가 무자비하게 덮치면서, 수십만 명의 소농들은 이미 과밀한 상태인 도시 슬럼으로 어쩔 수 없이 내몰려야 했다. 믿을 만한 통계는 없지만, 황폐화된 산골짜기 한켠에서 한계선을 훨씬 밑도는 비공식 주거 형태로 불안정하게 자리잡고 있는 푸르투프랭스 주민은 수십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민들이 그런 장소와 조건에서 살게 된 상황은 그들이 그간 겪어온 피해만큼이나 그 자체로 “자연적”이라거나 우연한 일이 결코 아니다.

 

아이티에 있는 정의와민주주의연구소 소장 브라이언 컨캐논은 이렇게 말한다. “사람들이 거기(슬럼)에 있는 건 자신들이나 그 부모들이 의도적으로 농촌에서 쫒겨났기 때문이다. 원조 및 무역정책상, 손쉽게 고용가능하고 따라서 착취하기 수월한 도시 노동력의 창출(이란 의도)을 염두에 두고서 말이다. 이런 의도대로라면 그들은 내진설계된 주거 공간에서 살 만한 여유를 가질 수 없는 사람들이다.” 다른 한편 이를테면 물과 전기, 도로 등 기본적인 도시 기간시설은 놀랄 만큼 부실하며, 아예 없는 경우도 곧잘 있다. 재난구호에 필요한 정부의 자원동원 능력은 거의 제로에 가까운 셈이다.

 

국제사회는 2004년의 쿠데타 이후 아이티를 효과적으로 지배해왔다. 그러나 지난 5년간 UN에 위임된 업무를 비군사 영역으로 확장하자는 데 대해 일관되게 반대해온 건, 지금 아이티에 긴급구호 제공하려 수선을 떠는 바로 그 국제사회였다. 그간 이뤄진 “투자”의 상당 부분을 빈곤 경감이나 농업 발전으로 돌리자는 여러 제안들은 차단돼왔다. 국제“원조”의 배분을 계속 틀지우는 장기적 패턴은 유지된 채로 말이다.

 

수많은 아이티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던 2008년의 허리케인은 쿠바 역시 크게 휩쓸었지만, 쿠바에서는 죽은 사람이 네 명에 불과했다. 쿠바는 신자유주의적인 “개혁”이 가져올 최악의 결과에서 비껴나 있었고, 쿠바 행정부는 주민들을 재난에서 보호할 역량이 있었다. 우리가 이번에 지진을 겪은 아이티에 진정 도움을 줄 참이라면, 이같은 비교가 시사하는 바를 새겨야 한다. 긴급구호와 더불어, 아이티 주민들 스스로 힘을 형성해내고 공공적 제도들을 활성화하는 데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무엇인지 자문해야 한다. 진정 도움을 줄 참이라면 아이티 행정부에 대한 통제, 거주민들에 대한 억압, 그곳 경제에 대한 착취를 멈춰야 한다. 그리고 난 다음에 우리가 그간 아이티에 이미 입혀온 손상 중 적어도 상당수에 대한 보상이 이뤄져야 하겠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1/16 17:44 2010/01/16 17:44
http://blog.jinbo.net/redivy/trackback/132
YOUR COMMENT IS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QUALITY OF BLOG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