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명을 ‘공부’하기에 앞서 염두에 뒀으면 하는 것들

  

20090507, 들사람

 

 

 

 

  

 

 

1.

  

혁명, 혁명이라. 모르긴 몰라도 이 말은 이제, 비판적인 인문-사회과학서보다 소위 경제-경영/자기계발서에서나 자주 접하는 단어지 싶다. 비판적 인문-사회과학서 분야에선 외려 회고적 낭만화의 소재로 스치듯 다뤄지는 것 같은데, 그런 고로 집착어린 몽상으로 치부되거나, 아니면 현실적인 실천 전망으로서 거론된다 해도 어쩐지 오타쿠스런 정조가 물씬이기 십상이거나다. 어쩌다 상황이 이렇게 묘해졌는지 음미해보는 것도 꽤 흥미로운 일이겠구나 싶을 정도다.

 

물론 경제경영/자기계발서에서 말하는 혁명이란 게, 공갈빵 마냥 ‘변화’란 단어에다 화장발 입빠이 세운 데 불과한 것이긴 하다. 이런 식이면 쿠데타와 혁명은 ‘얼빵한 클라크, 알고 보니 슈퍼맨’ 식으로 엎어치나 메치나에 가깝다. 박정희나 전봉준이나 ‘세계사적 보편’이라고 하는 (실은 단단히 잘못 알려진) 근대화의 순환선을 정반대 방향에서, 그것도 순식간에 깔아버렸다는 걸로 치자면 하나로 묶일 수 있는 셈이다.

 

[ 칼버트의『혁명』(김동택 옮김, 이후, 2002)을 보니까, 비교정치학 쪽에선 실제로 쿠데타와 혁명의 경계를 워낙에 모호한 것으로 취급하는 모양이다. 혁명에 따라붙는 물리력이 무장봉기 형태의 군사력과 일정하게 겹치기 때문인 듯 싶다. 하지만 내가 보건대 근대세계의 혁명은 자본주의적 시공간과는 질적으로 상이한 사회적 시공간대가 (잠정적이나마) 창출, 형성되는 사태로, 확실히 일정한 물리력이 뒷받침 안 되고선 잘해 봐야 아름다운 잠재태에 불과하다. ‘비판의 대가’ 맑스도 “비판의 무기는 무기의 비판을 대신할 수 없다”고 하거니와.^^ 다만 오늘날 정세에서, 무장봉기-폭력이 역사적 혁명에 (아마 앞으로도) 따라붙기 마련이라 해서, ‘물리력’을 근대국가 차원의 군사력과 동일시하는 건 일단 가능하지도 않지만, 뭣보다 바람직하지도 않다는 데 주목해야지 싶다. 그런데도 인터내셔널가의 가사 첫머리는 ‘여전히’ “깨어~라 노동자의 군대”다. 인터내셔널하다니까 걍 넘어갈 일은 아닌 듯하여서.ㅋ]

 

 

내가 보기에 더 흥미로운 건, 소위 ‘진보-좌파’연 하는 이들이 혁명을 대하는 태도다. 한때 한껏 지지했던 혁명(아니면 변혁) 노선이 사실상 난파했다는 이유로, 혁명 테제 자체를 대놓고, 혹은 에둘러 기각하려 드는 이들이 있다. 변화가 나쁘다는 게 아니다. 변화가 ‘변절’의 완곡어법이 아닌 진중한 성찰의 열매라면 그건 외려 상찬할 일이다. 혁명 테제 자체의 기각이 과연 성찰의 결과였을까? 그렇다고 하기엔 아무래도 구린 것 같다. 역사적 혁명 테제의 ‘교조화’ 와중에 빚어진 이런저런 실천적 ‘오바’와 자가당착, (1991년 소위 사회주의권 ‘몰락’이 초래했을) ‘어떤 뻘쭘함/낭패감’에 대한 알리바이에 더 가까워 보여서다. 뭐랄까, 버리긴 아깝지만 막상 실제로 써먹긴 곤란한 ‘레토릭’이 되버렸달까.

 

그럼 혁명 테제를 ‘굳건히’ 지키겠다는 쪽 상황은 어떨까. NL 계열의 ‘전민항쟁’론이나 다함께류의 ‘전위주의적 대중봉기’론이 그렇다시피, 거의 안습이다 싶을 만큼 ‘1917년’ 모델에 들려 있다시피한 상황이다. 이때 정치란, 설사 그것이 ‘좌파적’이라 할 때조차, ‘현상유지’의 압력장치를 무력화하는 정세적-현실적 실천 기예의 변화무쌍한 조합이 아니라 역사적 혁명 경험들을 한낱 판타지의 소재로 쪼그라트리는 세속신학이 될 뿐이다. 이른바 ‘좌파’라는 자기규정만으로 혁명을 견지한다고 하기엔 상황이 그리 녹록치 않다는 얘기다. 이건 무슨 시체애호증도 아니고, 더더군다나 살아있는 노동의 자유로운 정치공동체를 실현하겠노라는 좌파의 이상에 비추어 보면 꽤나 우울한 일이 아닐 수 없다.

 

 

 

2.

  

이렇다시피 혁명이란 단어는 현재스코어, 아무리 써먹기 나름임을 감안하더라도 기술적인 수사로 ‘남용’되거나 ‘상상된 (집단)기억’으로 낭만화되기 일쑤인 상황이다.

 

‘혁명(사상)의 비교사’ 세미나 취지, 기억들 하시는가? (하셨으면 좋겠는데.ㅋ) ① 역사적 자본주의 근대-세계에서 발생했던 이른바 ‘주요 혁명’들의 사회적, 사상사적인 맥락과 현재적 의의를 두루 살펴보는 거라 했다. ② 역사적으로 ‘혁명’은 과연 무엇이(었으)며, 더욱이 오늘날 여전히 이 테제가 유효하다면 2009년인 ‘지금-여기’에서는 이 테제 내적으로 어떤 인식론적, 실천적 혁명이 필요한지도 아울러.

 

①에 관한 논의는 ‘지리적인 쏠림’의 문제가 여전하다곤 해도 양질을 망라해 그간 더없이 풍성해진 편이지만 ②에 관한 (굳이 말하자면 정치철학적) 논의는 ‘청산주의’와 ‘낭만적 물신화’ 사이에 끼인 채 갈 곳 몰라 하고 있는 상황이지 싶다. 개인적으로는, ①에 대한 공부를 기본으로 ②에 관한 흥미롭고 재미난 ‘질문’들이 풍성해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아마 그건 “혁명을 어떻게 혁명할 것인가”라는 물음에 관한 답을 형성해가는 과정일 게다. ‘혁명의 혁명’에 관한 하나의 정답 아닌, 여러 해답들을.

 

나부터도 쉽진 않겠지만 그건, “총칼로도 어찌할 수 없는 혁명의 전염, 총칼을 두려워하지 않는 대중들의 공격”은 과연 어떤 것이며 어떻게 가능할지에 관한 정치적 상상력을 스스로 살찌우는 일이겠다. 구렁이 담 넘듯 슬그머니, 때론 (신지호, 김문수 식으로) 어처구니 없이 이뤄져온 혁명 테제의 기각, 또는 청산 따위를 넘어서 말이다. 실은 무엇보다, 방부처리돼버린 “과거 혁명의 이미지가 미래 혁명의 도래를 가로막”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겠지만.

 

맑스는 “비판의 무기는 무기의 비판을 대신할 수 없”다는 문장 바로 다음에 이렇게 썼단다. “물질적 힘은 물질적 힘에 의해 타도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론도 대중을 사로잡는 순간 물질적 힘이 된다”고(이상 인용은 고병권, 2007). 아닌 게 아니라 우리는, ‘(주체)형성의 정치’에 필요한 새로운 ‘비판의 무기’인 이론의 물질성을 염두에 두면서, 자본주의 세계와는 판이한 시공간적 토대 형성의 정치, 즉 혁명의 실천적 유효성을 이야기해야 할 듯싶다.

  

 

3.

  

이러자면, 그간의 역사적 혁명들이, 심지어 권력 장악에 ‘성공’했을 때조차 그 빛나는 정치적 호소력과 전망에도 불구하고 결국 지정학적 압력 속에서 ‘(국가)통치술의 체계적 동조화同調化’ 추세*를 보여왔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겠다(이는 ‘이행수단’이라는 관료적 국가장치들이나 테일러주의적 노동규율에 대해 레닌이 지녔던 도구적 시각을 비판하는 일과도 관련이 있다).

  

[ * 축적위기의 해결책이 곧 사회적 불안 증대, 국가별 내적 응집력 약화와 표리관계를 이루는 상황은, 국가권력 장악 테제로는 사실상 해결 불가능한 난제가 된 지 오래다. 이런 정세를 염두에 둔다면, 전통적인 좌파의 집권 전략은 그 자체 제한적이거나, 심지어 ‘주류(적 동조)화’를 면키 힘들 듯하다. 좌파(정치)적 관점에서 ‘집권’이 지닌 정치적 함의-전망에 관한 인식론적인 단절과 실천적 지평 확장이 필요한 이유가 여기 있다.

 

“...20세기 말 중심부 국가들에서 산업체 고용 하락에 대처하기 위해 정부들이 쓸 수 있는 대안은 불확실했다. 만약 정부들이 보조금을 제공하기 위해 개입한다면, 이것은 주체할 수 없을 정도로 증폭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 만약 정부들이 방관하면서 자유시장의 힘이 작동하도록 허용하면, 그 대가로서 정부들은 실업급여와 증대하는 사회 문제라는 엄청난 액수의 청구서를 받게 되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권자들은 많은 문제가 한물간 정치인들의 해결 능력을 벗어나 있는 것은 아닌지, 또 정당 정치가 사회적 현실과 점점 더 동떨어진 존재가 되어가는 것은 아닌지 의심하기 시작했다.”, 클라이브 폰팅, 김현구 옮김,『진보와 야만: 20세기의 역사』(돌베개, 2007), 510쪽. ]

  

 

그렇다면, 근대국가의 소멸(나아가 폐지)에 필요한 전술로서 ‘국가권력 장악’ 테제가 지닌 전술적 유효성을 어디까지 받아들일 것인가. 아니, 그마나 유효하다는 전술적 의미는 실천 지평의 어떤 확장을 통해 실질적인 유효성을 획득할 수 있는가.

 

근대적 권력의 페달인 자본축적, 혹은 통치술상의 체계적 동조화 추세를 보이는 근대국가=국가간 체제를 ‘파동인 동시에 입자로’, 다시 말해 사회적 실재인 동시에 관계로 이해(하거나 이런 이해를 장려하는 이론화 작업에 주목)하기.

 

 

이제 다시 시작이다.

그게 꼭, 젊은 날의 꿈이어야 하는 건진 몰겠지만.

꿈이 뭐, 젊은 날에만 꾸는 거라야 말이지ㅋㅋ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9/05/15 02:22 2009/05/15 02:22
http://blog.jinbo.net/redivy/trackback/93
YOUR COMMENT IS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QUALITY OF BLOG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