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최근에 읽은 그리고 읽을 혹은 전혀 안읽을 지도 모를 책 #10

 

가. 기형도전집, 기형도전집 편집위원회 편, 기형도, 문학과지성사, 1999/03

대학시절 '입속의 검은 잎'을 읽을 때에는 분명 스물아홉에 죽은 그보다 어렸는데, 전집을 읽고 있는 오늘의 난 이미 그보다 늙어버렸다. 80년대를 지나온 시인의 짧은 산문은 실존에 대한 지독한 고민으로 가득함을 잘 드러낸다. 죽음과 우울한 가족사가 주로 그의 시집과 소설의 소재인데, 수필  '짧은 여행의 기록'에서는 80년대 지식인에게 광주가 어떤 의미였는지를 짐작케 한다. 버스나 기차를 타고 혹은 다방에 들러 그가 적었을 것으로 추측되는 순간의 기록은 그 어떤 자기검열도 배제한채 옮겨놓았음에 틀림없다.

 

'환상일지'에서 작가는 '절망이라느 넋은 이미 모든 것을 알아버려 더 이상 꿈꿀 것이 없다는 뜻이고'라고 토로하지만 뒤이어 '우리들 앞으로 언제가 불쑥불쑥 튀어나올 의지나 정열의 시간들을 우리는 희망이라고 부리지 않,습,니,까?'라며 묘한 희망을 기대한다.

 

나. 광주는 말한다 : 어느 사진기자가 본 5ㆍ18 항쟁과 6월항쟁, 신복진, 눈빛, 2006/05

2006년 5월 18일, 광주민중항쟁 27주년을 기념해 발간된 사진집이다. 그리고 오늘 '화려한 휴가'라는 공수부대 작전명을 제목으로 한 영화도 개봉했다. 대학캠퍼스에서 봐왔던 그날의 사진에 비하면, 군대의 군화발과 총검이 객관적 시선으로 드러나 있는 편이다. 신문기자의 시선이란 어쩔 수 없이 객관적일 수 밖에 없거나, 저자가 직접 언급하듯이 5월16일 이후에는 최재활동조차 제한적이기에, 끔찍한 장면들도 건물 옥상에서 줌인(Zoom In)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일테다.

흑백사진에 드러나는 군화발과 서슬퍼런 착검된 총이 광주시민을 죽음의 공포로 몰아넣었을 것이다. 그런 죽음의 공포를 깨고 군부독재타도와 민주화를 외친 광주였다. 그에 비해 그 과거를 기억하고 되새김질 하는 작업은 지리멸렬하다. 27년이 지난후에야 한 사진작가의 사진집이 출판되는 현실이 그것을 증명하고 있다. 과거를 기억하고 그 교훈을 잊지 않는 것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의 사명이다. 필름을 땅에 묻고 세상밖으로 내보이기 위해 숨죽여 기다리는 작가의 책임감 말이다.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MY New MP3 Player = Apple iPod nano 4GB Blue

 

 

iPod 6 Generation이 나올때까지 기다릴까 하다가 결국엔 Nano 2nd generation을 사다. 6세대는 Bluetooth와  (소문으로는) iPhone의 큰 Touch Screen이 지원될 것이라지만, 연말이나 내년초까지 기다릴 수는 없다.

 

-1. 지하철과 버스를 타고 오며가는 동안 노래를 듣고 싶었다.

0. MP3 Player와 PDA로 사용하고는 있는 Sony Clie PEG-NX80V는 노래를 들을 수는 있으나, 앨범을 듣고자 하면 멍청한 녀석이 되고 만다. 앨범별로 분류하는 기능이 없어, 리핑한 앨범들은 뒤죽박죽으로 섞인다. 그래서인지 항상 MP3 Player에는 앨범 한/두개만을 남겨둘 수 밖에 없다. 그런 불편을 iPod은 해결해준다. CD를 넣으면 자동으로 앨범/노래제목을 찾아주는 것은 꽤 오래되었다지만, 그 기능을 MP3 Player로 이식하는 조그만 착상이 소비자를 감동시킨다. 이것이 iPod을 찾게 하는 매력이다.

 

 

1. 먼지를 뒤집어 쓰고 있는 CD를 듣기위해서는, 더 큰 저장공간이 필요했다. 물론 조금 부지런해지면 될 일이지만, 저장해 놓고 언제든 들을 수 있는 편리한 쪽을 선택한다. 우스운 것은 CD를 리핑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사실이다. 마치 편리함이 교묘하게 감추고 있는 진실이 'MP3 변환이나 CD를 자주 바꿔듣거나, 어느 쪽이든 절대시간은 동일하다'은 아닐까?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짧은 머리로

 

-1.

바다를 만지려고 애썼다.

흰 물보라 튀는 순간을 낚아 채는 카메라의 능력이 놀랍다.

대부도를 출발한 배는 제부도 앞 바다로 향했고, 거기서 1마리 우럭을 건졌다.

 

0.

바다낚시를 마치고 돌아오는 길이다.

선상 4시간은 버스나 지하철의 서있는 시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피로를 몰고 왔다.

아래 사진이 찍힌지 얼마 지나지 않아, 바닥에 아무렇게나 기대고는 잠에 빠졌다.

 

1.

최근 2년여동안은 이렇게 짧은 적이 없었다.

미용사가 잘라낸 머리칼이나 손발톱을 볼때마다 지저분하다는 생각을 떨칠 수가 없다.

몸에 붙어 있을 때와 떨어지고 난 후에 극명한 대조는 非我에 대한 거부 본능일지도 모른다.

 

2.

잊혀진 유년의 기억이 되찾아 올때면,

'현재의 나'는 '그 시절의 나'와 얼마나 같은지 의심한다.

그리고는 전혀 다른 인물 둘이 있었다는 주장 쪽으로 기우는 것이다.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En Attendant Godot

가. Waiting for Godot(En Attendant Godot), Samuel Beckett, Faber & Faber, 2006/01

 

VLADIMIR: Dumb! Since When?

POZZO: [Suddenly furious.] Have you not done tormenting me with your accursed time! It's abominable! When! When! One day, is that not enough for you, one day like any other day, one day he went dumb, one day I went blind, one day you'll go deaf, one day we were born, one day we shall die, the same day the same second, is that not enough for you? Is that enough for you? [Calmer.] They give birth astride of grave, the light gleams an instant, then it's night once more. [He jerks the rope.] On!

 

 

나. [문지스펙트럼 2-023] 첫사랑, 사무엘 베케트, 문학과지성사, 2002/12

마침표를 찍지 않고 문장을 길게 만들고, 모호한 표현으로 다중적 의미를 남겨두고자 하는 '첫사랑(Premier Amour)의 주인공은, 단순한 스토리를 풍요롭게 만드는 의식의 과잉과 쉴새없는 생각을 뒤로한채, 선문답과 같은 말로 소설을 마무리한다. 그런데, '사랑들'이라고 번역한 것일까? 원문이 '사랑들'이었을까?

 

(상략) 중요한 건, 그 소리가 멈추는 것이다. 여러 해 동안 나는 그 소리가 그칠 것이라 생각했다. 지금은 더 이상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어쩌면 나한테는 다른 종류의 사랑들이 필요했던 것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사랑, 그것은 뜻대로 되는 것이 아니다.

 

다. 고도를 기다리며 외, 사무엘 베케트, 하서, 2006/04

라. [청목 정선 세계문학 26] 고도를 기다리며, 사무엘 베케트, 청목, 1989/10

 

 

사무엘 베케트의 다른 저작을 읽으려고 여러 책을 샀더니, '고도를 기다리며'가 여러 곳에 실려 있다. 다른 희곡도 천천히 그리고 깊게 읽을 작정인데, 그리 될런지는 장담할 수 없다.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최근에 읽은 그리고 읽을 혹은 전혀 안읽을 지도 모를 책 #9

 

가. 남한산성, 김훈, 학고재, 2007/04

나. 칼의 노래1/2, 김훈, 생각의나무, 2003/12

스스로의 의지와 무관하게 인생의 쓴맛을 경험하는 것은 기분나쁜 일이다. 충효로 무장한 신하의 입장이라고는 하나, 1인칭시점으로 옮겨버리면 뒤틀린 심사가 어찌 드러나지 않겠는가? 바다 건너온 왜(倭)도 그렇지만, 임금의 화려한 수사와 함께 오는 어이없는 면사첩(免死帖)도, 자칭 '천자'의 군대를 끌고 왔다는 온 명의 장수도, 전쟁을 함께 치르는 소심한 동료 장수도, 군영을 옮길 적마다 울음으로 길을 막는 백성도, 모두 그의 적이다.

엄히 군율을 다스리다가도 사면의 적에게 한없이 무너져 내리는 1인칭 이순신처럼, 역사속의 실제인물도 자유로운 죽음을 간절히 원했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또한 그런 생각은 집필당시의 작가가 현실에서 느낀 압박과 닿아있다.  소설은 1) 대체로 현재의 단어로 서술해 나감지만, 옛말의 감칠맛이 살아있으며 2) 거칠고 빠른 묘사에도 불구하고 전쟁의 긴장감이 꿈틀거린다. 그것은 반복되지만 점점 극으로 치닫는, '죽음에 대한 그의 독백'이 만들어내는 긴장이다.

 

다. 현의 노래, 김훈, 생각의나무, 2004/02

다. WIKINOMICS, Don Tapscott and Anthony D.Williams, Portfolio, 2006/12

라. [한얼인물평전-001] 김남주평전, 강대석, 한얼미디어, 2004/02

마. 침묵과 소리의 극작가 사무엘 베케트, 권혜경, 동인, 2004/04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 제목
    그리운 지난 것 혹은 두려운 올 것로의 떠나기
  •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 설명
    아무 얘기나 써볼까라고 생각한 2004년 7월 27일이 처음이었다.
  • 소유자
    REDONE

찾아보기

Support Wiki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