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전여옥 “오마이, 미디어도 아닌 것이 뉴스도 아닌 것이”

쓰래기... 이미 늦었다.

 

 

전여옥 “오마이, 미디어도 아닌 것이 뉴스도 아닌 것이”
언론 보도 이후 자신 홈피에 글 올려 “전여옥에 대한 스토커질을 그만두라” 비판
2005-06-03 18:17 김선애 (iyamm@dailyseop.com)기자
전여옥 한나라당 대변인측은 3일 인터넷 언론 ‘오마이뉴스’에 대해 “미디어도 아닌 것이 뉴스도 아닌 것이”라고 정면으로 비판했다.

전 대변인측은 홈페이지를 통해 “오마이뉴스가 3일 ‘전여옥, 대학 나온 사람이 대통령돼야’라는 보도는 발언 전체와 그 의미를 파악하지 않은 것”이라며 “오마이뉴스는 전여옥 의원의 인지도를 이용해 클릭수를 올리겠다는 얄팍하고 천박한 장사판은 그만 접어 달라. 그동안 많이 해드시지 않았나?”라고 반문했다.

“오마이뉴스는 전여옥 의원에 대한 스토커질을 그만 두라”고 요구한 전 대변인측은 “이번 발언의 본질은 학력지상주의가 아니라 학력컴플렉스다. ‘고졸대통령’ 소리에 흥분하는 것은 학력컴플렉스에 사로잡혔음을 반증하는 것에 불과하다”라고 강조했다.

전 대변인측은 “오마이뉴스의 기사는 ‘네이버’ 등 주요 인터넷 포털사이트에 공급됐고 수천개의 비난성 댓글이 달렸다.

오마이뉴스는 친절하게도 ‘전여옥 대변인 발언에 댓글 폭풍… 시속 2700개’라는 후속기사까지 내놓고, 한걸음 더 나아가 ‘전여옥 대변인은 학벌옹호주의자, 쏟아지는 비난’ 이라는 후속기사도 내놓았다.

오마이뉴스는 이 기사를 통해 서영교 열린우리당 부대변인과 김성희 민주노동당 부대변인, ‘학벌없는 사회’의 이병호 대변인 등으로부터 전 대변인의 발언을 비판하는 발언을 받았다“고 밝혔다.

전 대변인측은 “발언 전체와 그 의미를 파악하지도 않고 덜컹 논평을 내놓은 열린우리당이나 민주노동당의 대변인들, 관련 시민단체 역시 오마이뉴스의 ‘쌩뚱맞은’ 기사에 놀아난 꼴이 되고 말았다. 오마이뉴스 기사에 흥분한 네티즌들 역시 예외가 아니다”라며 “조·중·동이라 불리는 메이저 언론들이 노무현 대통령이나 여권 인사들의 멘트를 인용해 기사를 쓰면 ‘발언을 마음대로 자르고 왜곡 보도를 한다’며 길길이 날뛰던 오마이뉴스가 자기 앞가림조차 제대로 못하고 있다. 적과 싸우며 적을 닮아간다는 말은 이럴 때 쓰라고 있는 것 같다”고 밝혔다.

전 대변인측은 “오마이뉴스가 부분적으로 인용 보도한 것”이라며 전여옥 의원의 멘트 전체를 게시하고 “그 멘트의 본질적인 의미는 ‘대통령은 학력 컴플렉스가 없는 사람이면 좋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변에 무학인 분들도 있고 학교 근처에도 안 갔지만 따뜻하고, 많이 배운 분에 대해서 존중한다. 학력이 인간을 평가하는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다”라고 강조한 전 대변인측은 “대학 나온 사람이 대통령이 되어야 한다는 발언은 학력지상주의를 옹호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배우지 못한 것에 콤플렉스를 지니고, 배운 사람들에게 적개심을 품고 있는 사람이 다시 대통령이 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라고 거듭 말했다.

전 대변인측은 “전여옥 의원 스스로 대담에서 ‘그 말의 본질적인 의미는 학력 콤플렉스가 없는 사람이면 좋겠다는 것’이라고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그 부분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기사 제목과 후속보도들의 성격에서 드러나듯 오마이뉴스는 전여옥 의원을 학력지상주의자로 몰아부치려 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밝혔다.

“오마이뉴스의 이슈설정과 확산 메커니즘은 이미 노무현 정권 몇 년간 뻔히 드러나 있다”고 비판의 강도를 높인 전 대변인측은 “오마이뉴스가 터뜨리면 포털들이 받아가고 포털에 쏟아지는 댓글들로 오마이뉴스는 ‘이것이 여론이다’라는 투로 또 기사를 쓴다. 전형적인 ‘자가발전’이다. 이어 여당과 시민단체가 목소리를 보태고 방송 매체들이 시사프로그램을 통해 국민들에게 확산시킨다.

여기에는 먼저 리플단 후 감상하는 것에 익숙한 네티즌 문화도 한 몫을 해왔다. 기사 내용조차 제대로 읽지 않는 네티즌들이 기사가 누락시킨 부분까지 챙기리라고는 생각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오마이뉴스의 허깨비 도깨비 놀음이 계속 되어 왔고 이번 전여옥 의원의 기사 역시 똑같은 전철을 밟아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오마이뉴스의 자가발전의 예로 전 대변인측은 김대업씨와 효순·미선양 촛불집회를 들며 “대선에까지 큰 영향을 미친 사기꾼 김대업 의인 만들기를 비롯해, 뉴스게릴라 ‘앙마’의 자작기사 논란에 휩싸인 효순·미선양 광화문 촛불시위보도까지 오마이뉴스의 게임 문법은 이제 식상할 지경이다”고 말했다.

한편 전여옥 대변인측에서 나온 이같은 반응에 대해 한나라당 대변인 행정실은 공식적인 입장이 아니라고 밝혔다.

ⓒ 데일리서프라이즈 < 김선애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