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양감 댐 역대 최저수위" 뉴스에 대한 단상

칼럼

소양강 댐이 역대 최저수위를 기록했다.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695262.html 동시에 중부지방은 심각한 가뭄상태. 가뭄에 대비하려고 댐을 만든다. 하지만 댐에 가둬둔 물도 줄고... 어쩌면 댐이나 보를 만들어서 더 가문 게 아닐까? 정상적인 물의 순환을 억제함으로써 수질만 악화되는 게 아니라 수량도 줄어드는 게 아닐까? 필자는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지 검색해보았다. 그리고 다음의 자료를 발견했다. http://www.internationalrivers.org/resources/how-dams-can-bring-about-rainfalls-and-drought-3398

이 자료에 따르면, 댐과 보는 가뭄을 유도한다. 자연스러운 상태에서는 습지에 있는 물이 증발해서 비를 뿌린다. 하지만 인위적으로 대량의 물을 가두면 댐 아래쪽으로 물이 너무 적게 흘러서 습지가 파괴되고 따라서 증발하여 비를 뿌릴 물이 사라진다는 것.

서아프리카 니제르강 삼각주는 9월에 30000제곱킬러미터로 넓어져서 많은 지역에 골고루 비를 뿌리는데 댐을 만드는 바람에 이 삼각주로 흘러드는 수량이 10~15% 줄었다고 한다. 게다가 댐으로 전기발전을 하게 되면 33%가 더 줄어든다는 것이다. 영국의 생태학 수문학 센터에 있는 크리스토퍼 타일러는 이렇게 경고한다.

"그런 변화는 습지가 비를 뿌릴 수 있는 계절적인 순환을 심각하게 훼손할 것이다"

미국과 중국의 연구자들도 양쯔강의 Three Georges 댐을 만들기 전후 강수 데이터를 분석한 다음 댐의 북쪽 강수량은 늘고 남쪽은 줄었음을 발견하였다. 본래 장마철에 양쯔강은 범람해서 동칭호와 포양호까지 이른다. (동칭호와 포양호는 양쯔 하류의 분지라고 한다.) 그런데 댐을 만들면서 이 두 분지로 흘러가는 수량이 크게 줄었고, 이 호수는 진흙바닥으로 변해서 몇 개의 웅덩이만 남았다고 한다.

글쓴이는 이렇게 말한다.

"올해(2011년) 5월 댐 책임자는 방류량을 늘리면서 그 댐 계획이 가뭄 대비에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였다. 이것은 정직하지 않다. 댐이 없었다면 더 많은 물이 분지를 자연적으로 채웠을 테니까."

즉, 댐으로 물순환을 통제하여 하류의 습지가 말라붙었고 그 때문에 강수량이 줄어서 가뭄이 생겼다는 이야기다. 이런 기상이변은 점점 심해져서 댐으로 가둔 물마저 줄어들고 있다. 단장커우 저수지의 수위는 너무 떨어져서 중국 북부에 물도 보내주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한국의 상황과도 일치한다.

글쓴이는 이렇게 마무리한다.

"620억불을 들인 프로젝트가 애물단지가 되어버렸다. 다양화된 에너지 소스와 분산화된 물 저장이 덩치크고 둔한 댐보다 국가경제를 기후변화에 대해 더 복원력이 있게 만들 것이다."

분산화된 물저장은 물의 순환을 전제로 한다. 영민한 독자는 필자가 이 사례를 이 블로그에서 다루는 이유를 이미 알아차렸을 것이다. 돈문제와 물문제에서 우리는 같은 실수를 저지르고 있다. 자연의 되먹임, 인간본성의 되먹임 둘 다에 대하여 우리는 무지하다.

댐을 만들어서 물을 쌓아두니까 물이 흐르지 않는다. 흐르지 않으니까 부족해진다. 부족하니까 더 많은 댐을 만든다. 댐이 많아지니까 물은 더 부족해진다.

돈을 쌓아두니까 돈이 흐르지 않는다. 흐르지 않으니까 부족해진다. 부족하니까 더 쌓아두려고 한다. 더 쌓아두니까 더 부족해진다.

물순환장애가 기상이변을 만들어내듯이 돈순환장애는 경제위기를 불러온다. 댐을 만들지 않았다면, 물이 순환하게 두었다면 물은 지류까지 흘러서 농경지를 비옥하게 만들었을 것이다. 그 물은 정상적인 순환과정에 따라 증발한 다음 다시 비를 뿌렸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돈이 순환되어야 하는 강제에 종속된다면 돈은 모든 경제주체로 흘러들어가서 정상적인 순환과정을 통해 교환을 매개하고 골고루 부를 늘려줄 것이다. 따라서 경제위기는 사라지고 그것을 보상하기 위한 또다른 "경제적 댐"을 건설할 필요도 없어질 것이다.

댐과 보를 건설하여 기상이변을 초래할 때 우리는 수자원을 "역동적인 순환흐름"으로 본 것이 아니라 "저장해둘 수 있는 고정적인 실체"로 간주했다. 우리가 경제정책에서 실패할 때 우리는 돈을 돈순환의 관점으로 보지 않고 "쌓아두기 편리한 저축매개물"로 간주했다. 이제는 패러다임의 대전환이 필요하지 않을까? 수자원은 물이 아니라 "물의 순환"이며 경제에 필요한 것은 돈이 아니라 "돈의 순환"이 아닐까?

4대강 녹조라떼는 올해 보름이나 빨리 출시됐다. 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695153.html

우리는 너무도 분명한 해답을 놔두고 아주 멀리 돌아가는 잘못을 저지르지 말아야 한다.
댐과 보를 무너뜨려서 물의 순환을 회복시켜야 한다.
그리고 돈의 액면가를 규칙적으로 감가상각시켜서 돈의 순환을 회복시켜야 한다.
서둘러야 한다.

 

마인드맵: http://okmindmap.com/map/NmU5ZjgzYzMtNThmZi00NTBmLWFlOTgtNGI5N2I2ZThjMTI2

Creative Commons License
Creative Commons License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5/06/11 17:12 2015/06/11 17:12
Trackback Address :: http://blog.jinbo.net/silviogesell/trackback/113
Name
Password
Homepage
Secr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