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문화세미나-다음 책

[세미나]
지난 해 가을에 세미나 낡시질(세미나 모집-홀, 대처리즘의 문화정치)을 한 다음 많은 시간이 흘렀음에도, 중간에 뭘 하는지 포스팅을 하지 못했다. -- 낡시질은 한 분이 입질을 해서 참여하는 성과를 올리기도 -- 다른 글에서도 말했는데, 관심이 없는 줄 알았다. 그런데 관심이 있든 없든간에 공해 상에 낡시를 드리웠으면 강태공의 책임도 져야하지 않겠는가? 공해를 포탈하지 않고 공동으로 가꾸기 위한 기본적인 예의 같다고나 할까. 게다가 '우리가 하는 이야기는 미디어'라지 않는가. 나도 미디어를 오늘은 생산해 본다. 그래서 다른 읽기모임도 예정도 올렸고, <노동문화세미나>도 그동안 자취와 다음 세미나부터 다룰 책을 올려둔다. 그동안 격주 간격으로 세미나에서 같이 읽었던 글은 다음과 같다.



왼쪽부터 차례로, 스튜어트 홀(지음), 임영호(옮김), <대처리즘의 문화정치>, 한라래, 2007. 레이몬드 윌리엄스(지음), 성은애(옮김),<기나긴 혁명>, 문학동네, 2007. 제프 일리(지음), 유강은(옮김), <더 레프트 1848~2000: 유럽 좌파의 역사>, 뿌리와 이파리, 2008. 이 중에 <더 레프트>는 '이야기 책'이라 두께에 비해서 쉽게 읽히는 편이지만, 최근 이런 기획으로 '잘팔린' 책이 드문지라 한 마디는 해야겠다. 이 책, 좋게 생각한다면, 민주주의를 둘러싸고 반복해서 변주했던 좌파들의 민주주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저자는 매우 많은 논쟁점을 '뭉개'는 식으로 넘어가고, 특히 5분지 3정도 넘어가면 알려진 내용들(특히 소비에트 부분과 68 및 그 이후, 이런 쪽을 대략이라도 알고 있다면 안 봐도 무방하다)이 많은데다, 저자가 무리하게 '좋은 것'을 새로운 정치의 범주 및 경향으로  '자의적으로' 끌어들이는 점은 염두에 둬야 한다. 요컨대 다른 입장과 논쟁하는 서술이 아니라, 저자의 관점을 통보하는 식이다. 그렇지만 한계에도 불구하고, 좌파 역사를 '입문'하는 책으로는 괜찮다고 할 수 있다. 단, 충분한 거리두기를 해야 하는 책이고, 읽으면서 주변과 의견을 나눠보기 바란다. 이 세미나에서, 원래 이 책은 가볍게 볼 예정이었고, 다음 시간부터는 에릭 홉스봄(지음), 김정한, 안중철(옮김), <혁명가 - 역사의 전복자들>, 길, 2008을 꼼꼼히 읽을 예정이다(5월 8일(금) 오후 7시 30분).

이미 읽었던 세 책 모두 만만치 않은 분량을 차지한다는 점을 빼고는, 워낙 논점이 다양할뿐더러 문제설정도 편차가 크다. 단순화의 위험을 무릅쓰고 남은 기억을 <더 레프트>와 관련시켜 보자면, 첫째 홀과 일리를 짝지워 본다면, 책을 서술하는 시점에서 반추해 볼 때, 대처리즘이 부상하고, 유럽공산권이 몰락하고, 신자유주의가 전면에 등장하기 시작하는 20세기 후반 유럽적 상황에서, (신)좌파의 문제를 다시 프레임하고 실천적인 (전략적) 도식을 그리려 한다. 물론 홀이 보수주의, 자유주의, 사민주의에 대한 한 국가 -- 즉, 영국 내부의 보다 풍부한 역사를 검토하고 있고, 일리와 달리 민주주의 자체 보다는 노동당(중앙)을 향해 끊임없이 사회(민주)주의적이고 신좌파적인 -- 특히 문화 좌파적인 --  담론투쟁과 전략적 충고를 밀어붙인다. 다시말해, '민주주의'보다는 여전히 '사회주의'를 강조한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반복되는 내용들이 많기 때문에, 앞부분의 대처리즘 분석과 뒷 부분 구체적인 분석 중 관심이 가는 내용(가령 교육부분)을 발췌해서 봐도 충분하다. 한편 일리는 우선 범유럽적인 차원에서 기존에 좌파를 규정하는 공산주의, 사민주의를 넘어서, 다양한 전통 -- 무정부주의, 공상적 사회주의, 지방사회주의  전통 등을 복원하고, 특히 페미니즘과 다양한 문화적 변종의 숨겨진 역사를 되살린다. 여기에 1968년 이후 신좌파와 신사회운동 및 반문화운동과 그 지속된 활동들을 좌파의 역사에 끌어들이고 있다. 저자의 가장 독특한 관점은, 다양한 전통들과 운동들에 대한 반복에서 확장되었던 민주주의의 역사를 좌파의 역사와 동일시한다. 즉, 좌파의 역사를 민주주의로 다시 서술하여 좌파를 개조하려는 것이다. 다른 식으로 말하자면, 좌파의 역사란 결국 정치적인 것의 범위와 경계를 끊임없이 확장해왔고, 여기에 이러한 '새로운' 운동들이 여전히 큰 기여를 한다는 것이다. (일리가 명시적으로 밝히지는 않지만, 아마도 정치적인 것=민주주의라는 전제를 유지하는 듯하다.)  둘째, 윌리엄스와 일리를 짝지어 보면, '민주주의'의 역사적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유사한 논지를 찾아 볼 수 있겠다. 민주주의의 강조야 말로 윌리엄스의 트레이드 마크이지만, 그는 영국이 근대산업화 이후 민주주의 뿐만 아니라, 산업의 확장, 문화의 지속적인 확장 등을 동시에 언급한다. 특히, <기나긴 혁명>은 마르크스주의 밖에서 마르크스주의로 점점더 접근하고 있는 윌리엄스의 (다소 난삽한) 독특한 시각들을 엿볼 수 있다. 물론 <더 레프트> 역시 여러 사회적 영역의 변화를 교차해서 설명한다. 윌리엄스가 문화 쪽으로 줄기를 잡는다면, 일리가 정치(적인 것의 개념과 영역의 확장) 쪽에 초점을 두고 서술하는 것이라 보면 무난할 것이다. 이렇게 볼 수도 있다면, 역설적으로 맑스주의 안과 밖이 기묘하게 뒤집히는 책들이다. 윔리엄스는 밖에서 안으로 -- '문화'라는 영국적 '전통'으로부터, 일리는 맑스주의 안에서 밖으로. 텍스트가 시대의 자장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다면, 일리의 말마따나 20세기의 중요한 두 길목 중에서, <기나긴 혁명>이 45년의 산물이라면 <더 레프트>가 (68년과) 89년의 시점을 '견뎌내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아마도, <더 레프트>가 유럽 범좌파 역사를 민주주의의 관점에서 본 '기나긴 혁명'으로 다시 쓰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레이몬드 윌리엄스와 스튜어트 홀의 두 권 모두 '정전'적 지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른바 문화연구에서 이론적/개입적 글쓰기가 무엇인지를 잘 보여주는 책들이라는 정도만 언급하자. 누가 스튜어트 홀을 '변변한 주저조차 없는 문화연구의 대부'라고 하지 않았던가? 그 드문 주저 중에 한 권이고, 신자유주의의 원모델인 대처리즘에 대해서 일견하시려면 일독을 권한다)



내친김에, 여기서 최근 한국 상황과 겹쳐 볼 때 내가 주목한 점은, <더 레프트>가 강조하는 것처럼(정도는 다르지만 홀도 당연히 이 지점을 강조한다) 영국의 사례에서 80년대 의회 내/외부를 연결하려는  '지방' 사회주의의 실험들(예컨대, 런던광역의회 -- 최근 출판된 서영표, 런던꼬뮨, 이매진, 2009를 참조할 수 있겠다. 단, 이 책은 뒷 부분에 '비판적 실재론'은 사족처럼 보인다), 다양한 신사회운동과 전통적 노동운동 및 정당의 결합/교차(가령, 여성해방투쟁, 도로반대투쟁, 평화운동, 녹색당, 라이브에드 등등)이다. 운동의제나 직접행동의 형식적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 작년에 촛불에서 넘쳐난 것처럼, 사실상 유럽은 이미 이러한 '촛불들'을 많이 겪어왔다 -- 이런 운동'들'이 일상의 다양한 (비)물질적 기제를 통해서 착근되었다는 사실이 더 없이 중요하다. 물론 한계도 탈도 많지만, 한국에서도 런던광역의회와 (겉으로 보기에) 유사한 사례들이 존재한다. 좁은 의미에서 좌파들이 주도했거나 현재 진행 중인 기획은 아니지만, (중도 혹은 신/자유)개혁진영의 사례를 들어 보자. 지난 정부의 문화부장관과 유관기관에서 일을 한 인사들만 상기해도 되겠지만, 그 이전의 전사前史를 살펴보고자 한다. 아마도, 전형적인 사례는 원혜영 시장시설 부천시의 (제한된) 실험들과 정책들일 것이다. 예컨대, 부천영화제나 부천문화재단(이른바 문화도시 부천)뿐만 아니라, 주택문제나 환경문제 등에 범좌파 및 시민사회운동이 결합했었고, 공무원 조직들의 관료주의를 파괴하는 시도들도 많았다(주로 각종 위원회와 테스크포스를 활용하였다). 문화 좌파들(주로 문예좌파란 표현이 더 적절하다. 예컨대 민예총.)은 직간접적으로 부천시에 개입을 했었고, 지방 토호들의 '성장연합'이 지방의회를 장악하고 단체장이 한나라당으로 넘어간 이후에는 급격히 와해되었지만, 분명 일정한 성과를 내기도 했다. 요즘 말로 한다면, 범좌파와 개혁진영과 보수 토호세력들 간의 '네트워'라고나 할까. 몇 해 전에 있었던 부천영화제의 파행은 보수 토호 연합의 좌파 세력에 대한 세력 역전이 아닌가? -- 이러한 측면에서 영국과 같은 지방사회주의는 한국에서 요원할 정도로, 지방에서 토호 성장연합의 권력은 절대적인 셈이다. 이것을 전환시키지 못하면 좌파의 미래는 결단코 없다 -- 그렇지만 그러한 반半성공한 기획들이 있었기에, (역시 반半성공한) 지난 정부시절 범좌파들이 (정부) 문화정책에 개입하고 각종 문화기반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비록 우파들이 지금은 이러한 제도와 기반들을 장악하거나 축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유산은' 작동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 무엇보다 근본적인 비판은 이러한 범좌파들의 개입이 국가 및 지방정부의 '신자유주의'화에 상호포섭되었다는 것이다. 소위 말하는 '기업가형enterprise 지방정부'는 전형적인 대처리즘의 우파개혁 전략이고, 이것의 최신 판본은 '거버넌스'라는 용어라 할 수 있다. '거버넌스'의 뒤집힌 이면은 지방정부들 간의 자원경쟁과 마케팅화이다. 수많은 지역축제들은 산업쇠퇴뿐만 아니라 한국식 대처리즘으로의 사회적 변화를 염두에 둔 현상이다. 비유컨대 최근 '거버넌스'라는 용어가 마치 개혁적인 '좋은' 용어인 것처럼 유통하는 현상은 1990년대 중반 '팀제'가 마치 관료제 조직의 혁신이고 노동자 현장권력의 증대로 착각하는 것과 유사한 것이다. 쉽게 '연대'와 '자치'라는 용어를 대립시킬 때 이 용어는 '상대적으로' 왜소해 진다. 그리고, 최근에 '거버넌스'와 동시에 '사회적 자본'이란 개념과 실천이 유통되고 있는데, 특히 환경운동 쪽에서,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논의와 마찬가지로, 사회적 자본도 '자본'이다. 교환경제 내에서 '재생산'되는 것이지, 결코 사회적 자본 확충이 어떤 '좋은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게다가, 이러한 관점은 기본적으로 불평등을 전제하고 시작되는 것이며, 불평등은 아무리 좁혀도 모종의 불평등으로 남는 것이다. 게다가 이 개념과 실천은 NGO의 입장에서 상대적 독립성을 유지한 채로 정부 및 기업(토호) 등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관념이기도 하다. 이들의 용어대로 '팔길이 거리'란 '독립성'이란 의미보다는 뒤집어서 제도적 관리/통치로 해석되어야 한다. 서구와 미국에서 이러한 관념과 실천이 복지국가의 해체와 함께 부상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여하튼 적어도 한국에서 '사회적 자본' 논의는 개념도 모호한데다가 실천적 의미에서도 '개량적'이고 또 다른 상호포섭의 수단이 될 가능성이 높다  -- 우리가 가장 최근에 본 문화-이데올로기적 이벤트로서 좌파들의 포섭은 '청계천' 사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신자유주의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문화민주주의자들이 아무리 나이브했다고 하더라도, 이들이 남긴 제도와 기반은 충분히 평가해 주어야 한다. -- 지나가는 말이지만, 이명박 서울시장 시절 서울문화재단은 우파의 좌파 따라잡기이고, 상호포섭이 일어나는 매지지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문화관광부 산하 기관장들의 사퇴압력으로 촉발된, 또 표면적으로 예총과 민예총의 싸움의 이면은, 현정부에 최로 벌어진 좌파 '숙청' 작업들이 문화관광부에서 시작된 맥락은, 다른 부처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보세력들이 (예산과 정책, 아젠다와 비전 등에서) 실제로 깊이 개입했기 때문이다. 알다시피, 정부(산하)기관이니 지원 단체에 실제로 이들이 존재했던 것이다. 이데올로기의 투쟁이 가장 직접적으로 가시적으로 벌어지는 곳이 문화(예) 영역 이었던 셈이다.

요컨대, 근 10년간 한국의 문화좌파 -- 문화민주주의자들이 시도한 '개혁'이란, 위로부터의 (이데올로적) 국가장치들에 개입한 전형적인 사례이다. 그런데 집고 넘어가야 할 것은, 즉 영국과의 중요한 차이는 이러한 실험들이 수도권 중심의 '위로부터'의 시도라는 것이고, 게다가 전국적 네트워크를 통해서 -- 모든 역량은 아니지만 -- 제법 많은 역량을 동원한 결과라는 점이다. 그리고 강조하고 싶은 점은 이들이 벌인 일들이 스케일이 크고, '이슈 파이팅'이 많았다. 그렇지만 가장 큰 맹점은, 이러한 정부와의 '위험한' 거래를 시도한 한국의 '문화민주주의자'들은 결국 지역에 착근하지 못했고, 이미 지역에서 (지금도) 착근해서 활동하고 있던 개인과 집단들과도 유기적으로 결합하지 못했다. '중앙'의 이론가와 활동가들은 장소를 옮겨다니며 부유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들은 단순히 인적인 '네트워크 역량'을 시험했던 것이고, 활동가들의 '생계형' 프로젝트 작업들도 적지 않았다. 내가 만났던 활동가는 지역활동이란 '전위'가 아닌 '후위' 투쟁이라면서, '전위'적 관점을 가진 좌파의 관행을 비판했던 기억도 난다. 여기에서 '전위'란 지식인의 형상을 덧붙여야 한다. 그런데, 내가 여기서 굳이 '문화좌파'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은, 노동운동과 정당정치에서 이러한 시도들은 거의 전무했다는 사실 때문이다. 아니면, 선언만 존재했기 때문이다. 한편, 몇 해 전부터 여러 단체에서 부각되는 지역 활동은 안타깝게도, 기존에 실패한 '위로부터' -- 정치적 의도를 가지든간에 상관 없이 -- 의 실험을 되풀이하는 경향이 있다. 게다가 그러한 시도들은 여전히 너무 덩치 큰 기획들이 많다. -- 이건 관행 탓도 있지만, 사고방식의 탓도 큰 것 같다.  자금 문제만 하더라도 최근에 들었던 사례도 빚을 10억이나 졌다는 소리를 들었다. 돈뿐만 아니라 인맥 동원 형태의 세력과시 제스쳐도 많다. 물론 한 단체들이 재벌이나 교회처럼 모든 걸 다하려고 하는 경향도 심심찮다. 요컨대 큰 센타도 필요하지만, 작은 펍(술집)도 필요한 것이다. 또한 지역활동(가)와 균열되어 있다. 이들은 지역에 착근, 즉 살지 않는다. 여전히 '전국구'인 것이다. 그래도, 희망은 분명히 있다. 자생적이든 타생적이든 곳곳으로 다양한 활동들이 스며들고 있다. 그것이 다양한 공동체(주의)의 형태를 띠든, 개별적 개인이든, 영상센터와 같은 새로운 공간이든, 또 기존에 퍼져 있는 공부방이나 쉼터들이나 이주민들의 결사체와 센터들이든 등등, 물론 온라인의 다양한 공간이든, 이미 분화되어 있고 이미 '네트워크'를 이룬 형태로 움직이고 있다. 여기 진보넷에도 엄청 많지 않은가? 다만, 기존 대중정당과 정치조직, 대중노동운동 등이 뒤 늦게 참여하고 있을 뿐이다. 과연 이들은 이런 흐름들('사회적 의제', '여성의제' 등의 모호한 표현과 대상을 넘어서는 영역들)과의 '거대한 균열'과 스스로가 실행해왔던 배제를 극복할 수 잇을까? 노동(계급)과 다양한 ;적대들'은 현실에서 결합할 수 있을까? 확신할 수는 없다. 하지만 최소한 필요한 것은 더 낮고 소박한 자세로 일상을 수없이 많은 다층적 조직으로 엮어내고, 작은 운동과 조직들을 다양한 곳에서 다양한 형태로 시도하는 실천들이다. 그것이 분명 내적 모순들과 한계가 있고 실패를 '예견'하더라도, 보다 진보적인 가치 -- 일단 이것의 형태가 '민주', '자유', '평등' 등이 뭐가 될지는 미지의 x로 남겨두더라도 -- 를 깊게 착근시킬 근거들을 마련해야 하는 것이다. 지난 촛불에서 상상력이 부족했던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에서 서로-주체간 '인간적' 교류가 부족했던 것이다. '인간적' 교류는 푸코의 말마따나 권력이 편재한 만큼이나 사실상 편재해 있다. 사실상 교류는 권력의 배치에 포섭되어 있다는 점에서, '대항권력'의 교류로 전환시킬 지점들이 부족했던 것이다. 권력이 있는 곳에 저항이 있다고 하더라도, 저항은 자신을 반복할 신체-지점들을 요구하고 '불가능하지만' 그곳에 뿌리박고 있다.  바로 여기가 우리가 뛸/뛰어들 곳이다. 그러한 지점들을 증식시키고 배치를 전환시키는 것 말이다. 우선, 우리는 사회적 신체들을 증식시켜야 한다.  이미 많은이들이 곳곳에서 터전을 짓고 있다. 이제 서서히 이러한 터밭들이 풍성해질 때, 모종들이 뿌리를 내릴 것이다. 그 과정이 무던히도 힘들고 견뎌야할 일도, 특히 농군들 사이와 '원주민'들과 사이에서 생기는 어려움도 너무나 많을 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이러한 터짓기는 매우 '기나긴 혁명'이 될 것이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9/04/25 23:25 2009/04/25 23:25

이 글의 트랙백 주소 :: http://blog.jinbo.net/simppo/trackback/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