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쇠고기? 어떤 쇠고기

밤새 글을 쓰고, 머리 식힐 겸 네이버 뉴스를 봤다.
거기에 첫기사. 아침부터 잡담하게 만드는 뉴스.
엠비씨 보도.

홈에버에서 미국산 쇠고기를 호주산으로 속여 팔았단다.
사람들도 관리 감독, 그런 것으로 될 일이 아니라는 것을 모르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막상 사례를 접하고 나니, 웃기고 슬픈 일이다.


=============================================================
[뉴스데스크] ◀ANC▶

대형할인마트에서 미국 쇠고기를 호주산으로 속여 판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쇠고기 산지를 속이는 일이 이렇게 쉽다면 앞으로 한우 둔갑을 막을 수 있을지 걱정스럽습니다.

김지경 기자가 보여 드리겠습니다.

◀VCR▶

인천시 남동구 구월동 홈에버 매장입니다.

광우병 위험이 없는 호주산 제품이라며
양념에 재운 쇠고기를 팔고 있습니다.

◀SYN▶ 쇠고기 판매 직원
"(미국산은 없어요?) 미국산은 아예 안
들여오지요. (전혀 없나요?) 안 들여오지요."

식품의 원산지를 관리하는
농산물 품질관리원 단속원과 함께 가서
다시 물어봤습니다.

◀SYN▶ 쇠고기 판매 직원
"(품질관리원에서 무작위 검사 나왔거든요.
이거 원산지 맞아요?) 이쪽에 있는 것만
호주산이구요, 이건 미국산이에요."

창고 안으로 들어가봤습니다.

판매를 앞두고 해동을 시작한
미국산 쇠고기 네상자가 발견됩니다.

◀SYN▶ 쇠고기 판매 직원
"(이것도 판매를 하려고 해동을 시작하신
거네요?) 예, 이것도..."

이 쇠고기는 등 뼈 조각이 발견되면서
미국산 쇠고기의 수입이 금지되기 직전인,
작년 10월초에 들여온 겁니다.

유통기한이 거의 끝나가는데도
광우병에 대한 우려로 판매가 힘들어지자
호주산인 것처럼 속여 판 겁니다.

◀SYN▶
"미국산같은 경우는 반값 이하로
판매를 하더라도 판매가 거의 안 되는 수준입니다.
(유통기한) 그 전에 판매를 해야하는 것이고..."

홈에버에서는 협력업체 직원의 실수이며,
평소 위생사를 통해 원산지를 철저하게
검사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INT▶이순원/홈에버 구월동지점 식품팀장
"위생사가 하루에 최소 두 번 원산지 정보를
확인합니다. 어제 판매가 시작된 그 물건에
대해서는 판매 경위가 어떻게 된건지 조사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위생사가 출근하지 않는 날에는
검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SYN▶ 홈에버 위생사
"제가 없으면 과장님이 좀 봐주시고 이렇게
상호 보완이 돼야하는데, 거기서 약간 문제가 있었던 같습니다."

농산물과 수산물, 축산물의 원산지를
허위 표시했다가 적발되면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정부는 지난 달
미국산 쇠고기 수입 고시 방침을 밝히면서
국민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전담팀까지 꾸려 원산지 허위 표시 단속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업계에선 원산지를 속이는 것은
손쉬운 방법으로 외부에선 알기 힘들다고
말합니다.

◀INT▶ 이재복 팀장 / 농산물 품질관리원 원산지팀
"전문가인 저희가 봐도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거든요. 특히 고기를 양념을 한다든가 끓인
상태가 된다고 하면 정말 어렵거든요..."

제품에 적힌 원산지 표시를 보고
쇠고기를 살 수밖에 없는 소비자 입장에선
불안할 수 밖에 없는 현실입니다.


======================================================

이 보도에서, 대기업은 믿을 게 못된다거나 미국산 소고기가 저렇게 팔리고 있으니
쇠고기 못먹게 됐다고 분노하는 사람들 있을 것이다.
그런데 미안하게도,
소비자 입장에선 모든 게 불안할 수밖에 없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문제를 두고 초반에 촛불집회가 확산될 때
미친소 미친소 하면서 소에게 자신의 불안을 덮어씌우는 사람들이 많아보였는데
다행히 이제 그런 사람들 많지 않은 것 같다.
그리고 검역주권 검역주권 하는 사람들도 많앗는데
다행히 이제 그런 방식도 상당히 불안하다는 것을, 아니 불가능하다는 것을 사람들이 아는 것 같다.
물론 저렇게, 포장지만 보고 호주산 쇠고기일거라 굳게 믿고 사는 사람들이 아직도 있지만-

 

내가 정작 싸우고 싶은 것은
소비자, 감시, 국가의 검역 같은 것들이다.

난 소비자라는 개념이 말할 수 없이 공허해보인다. 검역주권이란 것도 일종의 소비자 주권인데 
그런 것들이 먹거리와 입을 거리와 살 곳에 대해
위험 요소들에 대해 규정하는 것도 일면 들어볼만 하지만 우리가 그것을 소비자의 시선으로만 본다면
그것이 놓여있는 상황, 배치 자체를 무시한 채 공포에 질릴 뿐이다.

한층 강화된 법, 규제, 감시, 처벌 앞에서 더 한층 하하한층 지고한 법, 규제, 감시, 처벌이 필요한 걸까?


대안에 대해.
일부는 채식, 생협 등을 말하고 있다.
훌륭하다고 생각한다.
다만, 채식과 생협에 대해서도 소비자로서 접근하는 이상 답은 없다고 본다.

그리고 이미 그렇게 넘어가고 있는 듯 하다.

강릉 동생네, 제부가 생협에 취직을 하면서 많이 망설이는 것을 봤다.

그는 취직도 하기 전에 생협운동 하는 주변의 사람들이 지쳐가는 모습을 본 듯하다.

사람들이 유기농 유기농 하지만, 스스로 유기농업을 아끼는 마음이 없고

자기한테 맞춰진 물건들만 골라가려 하는 바람에 생산물이 부족해진다는 건 안봐도 알 것 같다.
앞으로 식량의 안전성이 사람들의 관심이 되면서 그 사업성은 더 커질 것이지만
사람들이 소비자로 접근하는 이상, 농사짓는 사람, 물건 만드는 사람, 그걸 날라주는 사람 모두

지쳐나가떨어질 것 같다.

 

엊그제 피자매연대 이사를 하면서, 얼마전까지 피자매활동가를 했던 육*와 이야기를 하다가

활동이 힘들고 어쩌고 하다가

피자매연대를 무슨 인터넷쇼핑몰처럼 여기는 사람들에 대한 증오가 가장 힘들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어후.

나는 어떻게 하면 더 세련되게 면생리대를 만들까를 고민했었는데- ㅋ

사실 워크샾에서 만나는 사람들은 그런 걸 물어본다.

피자매연대의 활동의 부진에 대해서도, 면생리대가 아직 많이 불편하기 때문에 실천하기 힘들어서라고도 하고.

그것도 그거긴 한데.

그런데도 역시 젤로 힘든 것은

사람들이 여전히 소비자로 있다는 것이다.

식약청에 자꾸 기대려고하는 사람들에 대해

그 말도 안되는 과학에 똥침을 가하는 몇 가지 사례들을 제시한 후에도

여전이 뒤가 찜찜한 것이.

사람들이 자기 몸에 대해, 자기 몸으로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 젤로 무서운 것이다...

 

 

 

동거녀는 홈패션이 로망이고

나는 텃밭 가꾸기가 로망인데

이걸 로망이 아니라 현실이 될 순 없나.

어디론가 훌쩍 떠나버리고도 싶고. 돈도 없고... 하여튼.

 

소비자주의 혁파 운동으로서의 DIY 만세!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