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성공회대 신방과] 융합시대의 미디어산업 클럽 주소입니다.

대헌이가 세리 보고서도 올려두었으니, 아래 주소를 확인하세요.

club.cyworld.com/txmole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성명]"MBC 미디어 관련법 보도 중징계”는 즉각 철회되어야 한다!

[성명]"MBC 미디어 관련법 보도 중징계”는 즉각 철회되어야 한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MBC 미디어 관련법 보도 중징계”에 대한 문화연대의 입장-
 
언론자유와 양심적 언론노동자에 대한 보복성 탄압이 노골화되고 있다. 3월 4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위원장 박명진)는 전체회의를 열어 “MBC 미디어 관련법 보도”에 대한 무더기 중징계를 결정했다.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 제9조(균형성 및 공정성)제2항과 제14조(객관성)을 위반했다는 이유에서다. 이는 ‘언론악법’을 반대하는 언론ㆍ방송인의 입에 재갈을 물림으로써, MB 정권에 반대하는 국민적 여론을 침묵시키려는 간악한 정치적 술수에 불과하다.

MB정권의 취임 1년,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YTN “블랙투쟁”과 MBC PD수첩 광우병 관련 보도 등에 대한 무리한 정치심의를 단행함으로써 공공연히 언론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행위를 일삼아왔다. 각 사안에 대한 민주적 합의를 기본으로 하는 ‘합의제’ 기구임에도 불구하고 ‘합의’는 실종된 채, 친정부적 인사들의 장악에 의한 ‘표결만능주의’로 스스로의 위상을 추락시키고 있는 것이다.


또한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MB정권의 입맛에 맞는 ‘정치적 심의 쇼’를 멈추지 않음으로써, 언론자유를 목 조르고 언론노동자들의 정당한 권리를 침해하고 있다. 특히 이번 중징계는 분연히 일어섰던 언론노동자들의 총파업 투쟁을 단죄하자는 것에 다름없다. 어떠한 수를 써서라도 언론장악음모를 포기하지 않겠다는 이명박 정권의 의지를, 정권의 충실한 하수인으로써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대리한 것이다. 균형성과 공정성, 객관성을 거론할 자격이 스스로에게 가당키나 한 것인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야말로 전 국민적 심의를 받아야 마땅하다.


문화연대는 엄중히 경고한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MBC 미디어 관련법 보도” 중징계를 즉각 철회하라! 정권에 반대하는 언론에 대한 보복적 마녀사냥을 멈추고 양심적 언론노동자들에 대한 탄압을 즉시 중지하라! 언론자유를 훼손하고 민주주의를 파괴시키는 여타의 행위를 포기하고 정권에 기생하는 꼭두각시의 역할을 즉각 멈출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 우리의 정당한 요구가 관철되지 않을 시엔, 문화연대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해체와 심의위원들의 사퇴운동을 범국민적 운동으로 강력히 전개해 나갈 것임을 분명하게 경고하는 바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중앙대 대학원(문화산업론)/학부(비판컴) 블로그

문화연구학 대학원생 블로그는 창희씨가 수고해, 다음을 찾아가시면 됩니다. 다음 주 공지사항 있으니 살펴보십시오.

http://cafe.naver.com/culturalindustries.cafe
네이버에서 '문화산업론 2009'로 검색 가능


그리고, [비판커뮤니케이션] 수업은, 김슬기 학생이 만들었습니다. 아래 링크 확인해보세요.
http://cafe.naver.com/csc2009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프레시안 2009 위기의 KBS 해부] <2> 시사보도 프로그램, 어디로 가려나

"KBS,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KBS는 권력의 방송 장악 논란의 한복판에 있어왔다. 이병순 사장은 취임하면서 '관제 사장' 논란을 촉발시킨데 이어 내부에서는 '탐사보도팀 사실상 해체' 등 조직의 경직화, 자율성 약화 등의 비판이, KBS 바깥에서는 정권 홍보성 시사보도프로그램 논란, 막장 프로그램 논란 등이 일어왔다. 또 KBS 노동조합 등 KBS 구성원에 대해선 공영방송 KBS를 지킬 의지가 있느나는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이러한 논란은 '국민의 방송'이라는 칭호를 얻어온 KBS가 '공영방송'으로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겠느냐는 문제로 집약된다. 국민의 수신료로 운영되는 KBS가 과연 제기능을 하고 있느냐는 것. 이에 문화연대 미디어문화센터와 <프레시안>은 '2009 위기의 KBS 해부'라는 주제로 KBS를 진단, 감시하는 기획을 진행한다. 지난 23일전규찬 문화연대 미디어문화센터 소장의 "'우물 안 개구리' KBS의 죽음을 애도함" 을 시작으로 미디어문화센터의 학자들이 KBS의 프로그램, 조직 구조, 수신료 문제 등을 집중 파헤칠 예정이다. 두번째 필자는 이광석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외래교수가 이어받는다. 이 기획이 공영방송 논의 지평을 넓히고 더 나아가 KBS 내부의 논의도 끌어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 편집자주

  프레시안

이병순의 KBS, '대한뉘우스'가 돌아왔다

[2009 위기의 KBS 해부]<2>시사보도 프로그램, 어디로 가려나


/이광석

지난 해 10월 중순경 국정감사 자리에서 이병순 사장은 이상한 말을 했다. 그는 공영방송 KBS가 추구해야 할 가치를 '기계적인 중립주의' 혹은 '기계적인 공정성'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공정성이나 중립성에 대한 주장만큼 현실에서 편향되고 치우쳐 사용되는 논리가 없다. 세상에 가치 편향이 없는 보도라는 것이 가능한가? 공정이니 중립이란 공허한 말잔치는, 탐사 보도를 기초로 사건의 진실에 좀 더 근접했을 때만이 그 적정값을 얻는다.

그는 '기계적'이란 요상한 수사까지 덧붙였다. 덩치나 혹은 맷집에 상관없이 똑같이, 그리고 상황의 맥락을 거두절미한 기계적 중립의 논리야말로 편파의 근원이다. 필자가 보기에 '기계적'이란 말은, 군사 독재시절에도 보기 힘든 지난해 8월 8일 KBS 경찰 난입쇼에 맞섰던 KBS 사원행동 기자들과 PD들을 중징계한 것과 같은 상황을 지칭할 때 쓰는 말이다. 다시 11월, '기계적 중립주의'를 위해 KBS 간판 시사프로그램 <시사투나잇>은 문을 닫았다. '기계적인 공정성'을 위해, 조중동 보수신문과의 '기계적 중립'을 위해 <미디어포커스> 또한 사라졌다.

결국 '기계적'이라 함은 바로 관제 폭력의 정당성을 기리기 위해 고안된 수사학의 정치이고, 중립과 공정성이란 이 허구의 껍질 속에 감쳐둔 관제화의 다른 이름이다. 그렇게 KBS의 간판 시사프로그램들이 역사 속으로 줄줄이 사라지거나 다른 이름으로 거세됐다. 공영 방송 KBS의 철학 그리고 중립, 공정성의 가치는 사망 신고를 했다. 그리고, 화면 밖에선, 마지막 사라지는 방송의 엔딩 크레딧을 보며 담당 PD들, 기자들, 앵커들은 비통함의 눈물을 흘렸다.

시사보도 위기의 시대, '대한뉘우스'의 시대

이 명박 정권 1년, KBS 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시사보도 위기의 시기였다. 상황 추이로 보자면 그 반역의 세월은 앞으로 더 길어질 듯 보인다. '낙하산 인사' 구본홍 YTN 사장을 통한 시사 보도채널 방송 장악기도, '광우병' 파동 이후 아직까지 검찰의 재수사 표적이 되고 있는 MBC, 시사평론가 정관용 씨의 방송 하차 등 열거하기 부끄러울 정도로 언론 위기와 정론의 상실 시대다. 성역 없는 비판과 올곧은 진실을 밝히는 시사프로그램들이 가을 방송 개편이란 명목으로 사라지고, 또 다른 이름을 달고 순한 양들이 되어 등장했다. 말랑말랑하고 기이한 '시사 멜로' 프로그램들이 생겨나고, 기존에 연명하던 것들 또한 그 비슷한 길을 걷기 시작한다.

지 난해 있었던 비상식의 반역들이 가져온 효과는, 이미 여러 곳에서 불거져 나온다. 최근 KBS <뉴스9>에서 용산 참사 보도를 의도적으로 희석한 것이나 보신각 타종행사 생중계를 조작한 것 등은 그 시작에 불과했다. KBS의 <시사기획 쌈>같은 프로그램들은 도를 넘어서고 있다. 지난달 말 방영된 '대통령 취임 1년-남은 4년의 길'은 확실히 '대한뉘우스'의 부활이었다. 그 험했던 시절 '대한뉘우스'와 '땡전뉴스'의 불쾌감이, 21세기를 사는 우리에게 그대로 전해진다면 이는 뭐가 한참 잘못된 꼴이다. 이 프로그램을 만든 KBS 보도제작국의 권순범 탐사보도팀장은 현 정부에 너무 우호적이지 않느냐는 질문에, "국민의 방송이자 공영방송인 KBS에 맞게 중립적인 방송이었다"고 답했다 한다. 역시 KBS 이병순 사장처럼 '기계적' 중립주의에 충실하다. 이런 정황이면 KBS에 국민의 방송이나 공영방송의 명패를 주는 것도 심히 부담스럽다.



▲ KBS <시사기획 쌈>이 지난 24일 방영한 '대통령 취임 1년-남은 4년의 길' 프로그램 화면. 정권 홍보 방송이라는 비판이 일었다. ⓒKBS

KBS 시사보도프로그램이 살 길

KBS 시사프로그램의 위기는, 실지 현재 대한민국 언론의 위기이자 표현의 자유의 참담한 현주소이기도 하다. 허나, KBS 시사 프로그램의 연성화 경향은 이미 몇 년 전부터 심각한 문제로 꾸준히 문제 제기됐었다. <취재파일4321>은 여전히, 종부세의 쟁점을 회피하고 부자들의 고통을 다루거나, 용산 참사를 외면하면서 철거민의 애환을 주제로 다룬다. 비슷한 시점에, <추적 60분>은 강호순 특집을 부각시키면서 용산 참사도 미네르바도 없는 기이한 사회 고발 프로그램의 역할을 다했다. <뉴스 9>과 <시사기획 쌈>은 그 방법의 타당성에 의문을 불러왔던 이대통령 국정운영 지지율 상승과 관련된 여론조사로 비판을 받았다. <시사 투나잇>을 대체했던 <생방송 시사 360>은, 첫 방송부터 '미네르바'와 관련된 사실 관계 왜곡으로 누리꾼들의 원성을 샀다. 시사와 보도의 알맹이 없는, 깍지들의 향연이다.

해외의 소위 권위 있는 BBC의 <파노라마>와 <쟁점(Hardtalk)>이나 미국 CBS의 <60분>과 똑같은 시사보도 프로그램을 KBS에 강요하는 것이 아니다. 적어도 시민들의 고단한 삶을 만져주고 권력 남용의 끈을 끊고 사회 진보의 명제를 함께 고민하도록 돕는, 그런 '공영방송'에서 생산되는 시사보도 프로그램을 바랄 뿐이다. 이러한 보도 철학과 비전이 KBS 방송사 내에 유지될 수 없다면, 공공의 주파수를 반납하고 방송을 접어야 한다. 아니면 한나라당의 시나리오대로 관제와 관영 방송의 길을 받아들여 연명하는 법도 있겠다.

KBS 시사보도 프로그램은, 이렇듯 21세기 신권위주의형 '대한뉘우스'의 수준으로 전락하고 있다. 진정 KBS 시사보도가 공영 방송이란 이름을 걸려면 적어도 다음과 같아야 한다. 용산 참사의 화염 속에 죽임당한 이들의 목소리를 뉴스를 통해 프레이밍하는 내부 현실을 자성해야 한다. 미디어 관련법 개정 처리 시한의 '100일' 간 유예가, 타협의 미덕이 아닌 시간벌기와 힘빼기의 불온한 정치 술수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정치와 권력의 논리가 미디어 산업 경쟁과 대민 방송 서비스 질 제고의 빈약한 논리로 둔갑하는 정황도 알려야 한다. 정론을 향한 내부의 자성 없인 밖의 개혁 또한 어렵다는 점을 깊게 깨달을 필요가 있다. 그것이 KBS 시사보도 프로그램이 점점 나락으로 떨어지는 길을 막는 법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미디어스: 언론자유의 공황(恐惶) - 이종임

언론자유의 공황(恐惶)


[미디어운동場] 문화연대

 

2009년 02월 27일 (금) 11:22:54 이종임/문화연대 미디어문화센터 운영위원 mediaus@mediaus.co.kr


지난 25일 한나라당의 언론관계법 직권상정을 규탄하는 MBC의 총파업기사를 접하고 나니 마음이 더욱 심란하다. 현재의 이 시기를 어떻게 넘기느냐에 따라 방송 아니 언론의 기능이, 정체성의 향방이 결정될 것이기 때문이다. 현 정부가 제시하고 있는 언론관계법이 통과될 경우 작년부터 계속 진행되어온 KBS, YTN, OBS 사태의 여파가  더욱 고착화되는 상황은 불 보듯 자명하다. 방송을 평가하는 잣대가 자본의 논리로 시작되고 끝나는 평가기준은 더욱 강화될 것이다. 사회의 공익성, 공공성을 유지하는 데 무엇보다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방송이 공익적 서비스보다는 소유구조로서, 수익구조모델로서만 사유되고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재 방송언론에서 보여주고 있는 총체적 위기와 함께 ‘언론악법’이 통과될 경우 발생할 치명적 문제와 상황을 논의하기 위해 지난 20일 ‘MB정권 1년, 언론자유의 공황’이라는 주제로 대토론회가 열렸다.

   
 
‘언론사유화 저지 및 미디어 공공성확대를 위한 사회행동(이하 미디어 행동)’ 주최로 경향신문 대회의실에서 열린 이날 토론회에서는 현재 권력의 지형이 자본 중심의 계급권력을 세우는 형태로 진행되고 있는 것과 함께 이 권력이 언론에서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에 대해 열띤 토론이 벌어졌다.

첫 번째 발제를 맡은 조준상 공공미디어 연구소 소장은 대중의 불안심리와 카리스마에 대한 정서적 열망을 대외적으로 적을 찾아 그것을 매개로 제국주의로 전환시키는 고전적 파시즘의 특징이 현재의 상황에서 또 다른 형태로 그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미 정치권, 학계에서 끊임없이 ‘파시즘’이라는 단어를 통해 현 정권을 설명하고 있는 이유 역시 현 정부의 정치스타일이 ‘비민주적으로 계획하고 권위주의적으로 관철’시키는 상황들이 반복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토론자로 나선 이광석 박사는 고전적 파시즘이라는 개념과 논리를 현재의 상황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개념적 세분화와 해석이 필요하며, 현실에 대한 이론적 적용을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분석과정이 전제되어야 함을 제안했다. 김민웅 성공회대 교수 역시 파시즘의 목적은 자본을 권력화, 영속화시키는 것이며, 이를 위해 교육과 언론지형을 변화시키려는 것이 현실이라면서 사회의 최전선에 있는 언론인들이 이를 놓치지 말고 철저히 고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오병일 진보네트워크 활동가는 촛불정국을 기점으로 공개적으로 전면화되고 있는 사이버모욕죄, 통신비밀보호법 등은 과거 노무현 정권에서 수행되었던 정책의 연장선상에서 사유하고 비판해야 할 문제라는 연속성을 제언하기도 하였다.

두 번째 발제를 맡은 이기형 경희대 언론정보학부 교수는 미디어를 통해서 전파되고 부유하는 말과 담론들에 대해 실망과 허망함, 냉소감을 느낄 수밖에 없는 저널리즘적 상황을 비판하면서 온전한 저널리즘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지 못하는 현 상황을 ‘공공성, 언론자유의 심각한 위기’라 명명하였다. 특히 국정원법 개정, 시위 집단 소송법 제정, 미네르바 구속, 용산사태를 ‘군포연쇄살인사건’수사로 덮어버리는 보도행태, 공적인 대담의 장에서 이 논의를 홍보하기 위해 과장과 의도성이 감지되는 학문적인 자료가 산업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채 ‘캔두이즘’으로 문화산업의 성장을 꾀하는 데 활용되고 있는 상황을 우려하였다. 정부기관과 청와대가 만들어내는 각종 메시지와 담론들을 포함하는 일방통행식 언어들은 지배와 억압, 소통의 부재시대를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시민사회와 지식공동체가 암울하고 불온한 현실에 대한 비판과 자성, 개입과 연대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는 것이다.

양문석 언론개혁시민연대 사무총장은 특히 언론이 하나의 사건을 덮어버리기 위해 다른 사건을 배치하는, 프레임이 프레임을 대체하는 ‘프레임 전쟁’과 같은 보도행태는 비판받아야 하며, 언론의 기능, 저널리즘적 기능의 회복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재국 경향신문 미디어팀장은 위기의 언론을 이끌 수 있는 단서를 마련하지 못하면 언론자유는 그야말로 공황상태를 벗지 못할 것이라며 학계 및 언론계의 철저한 반성을 요구했다. 최상재 전국언론노동조합 위원장, 고재열 시사인 기자, 시민논객인 김지윤 고려대 학생 등 발제자와 토론자 모두 현재 언론 상황의 위기에 대해 모두 공감하였으며, 시민사회와 지식공동체의 개입과 연대를 통해 현재의 난국을 헤쳐 나갈 수 있는 방법으로서의 사회적 합의기구 제안에 입을 모았다.

결국 좌우를 넘는 사회적 합의기구를 통해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고 대중과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가는 것이 현재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빠른 길이 될 것이다.

또한 침묵하는 지식공동체가 이제는 깨어나 MBC, YTN, OBS노조의 파업 등 방송종사자들만이 위기로 내몰리고 있는 현재의 상황을 직접적으로 비판함으로써 지배와 억압을 개입과 연대로 돌릴 수 있는 매개체로써의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 문 화연대는 문화권리 앞에서 예민하고 당당한, 당신의 불온한 상상력과 진보적 감수성을 위한 동반자이자 놀이터입니다. 국민 모두가 문화권리를 실현하고 문화민주주의가 확대되는 문화사회를, 문화연대는 고민하고 실천합니다. ‘억압이 아닌 자유’, ‘차별이 아닌 평등’, ‘경쟁이 아닌 평화’가 우리 삶에 보장되고, 문화를 둘러싼 사회적 공공성과 다양성이 확대되고 시민과 민중의 일상적 삶의 권리가 마침내 실현되는 그 순간을 위해 문화연대는 문화사회를 향한 무모한 도전과 발칙한 행동을 결코, 멈추지 않겠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진보네트워크센터 논평] 용산 참사현장에 등장한 CCTV

[진보네트워크센터 논평]
 
용산 참사현장에 등장한 CCTV

-- CCTV의 집회시위 채증의혹 분명히 밝혀져야

 
24일 저녁 방영된 MBC PD수첩 <여성강력범죄, CCTV가 해결사?> 편은 참으로 충격적이다. 이날 방송에서는 지난 1월 20일 용산참사 당일 저녁에 열린 긴급촛불집회 당시, 민간업체의 이동식 CCTV가 현장에서 사용되었다는 의혹이 다루어졌다.
 
방송에 따르면 모업체는 당시 CCTV 4대를 이용하여 촛불집회 참가자들은 물론 경찰 병력 등 "참사현장" 주변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었다. 더욱 충격적인 사실은 이날 촬영이 경찰의 요청에 의한 것이라는 얘기를 들은 사람도 있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이 CCTV는 공공기관 CCTV의 허용 범위를 벗어난 채증용이 아니었을까?
 
그러나 해당업체는 당시 촬영이 '홍보용'이었다고 해명하였다. 더불어 경찰의 요청도 없었고 CCTV 기록을 경찰에 제공하지도 않았다며 일체의 의혹을 부인하였다. 그러나 이 업체의 해명은 탐탁치 않은 구석이 있다. 어째서 끔찍하고 불운한 사고가 일어났던 장소 주변에서, 저녁 집회가 열린 시점에 이 업체는 홍보를 해야만 했을까?
 
혹시 우리 사회 곳곳에 설치된 CCTV - 추산되기로는 15만 여대에 달하는 공공기관 CCTV와 집계조차 되지 않는 수백만 대의 민간 CCTV - 가 집회시위 참가자들을 기록하고 정부를 비판하는 이들을 감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지 않을 수 없다.
 
최근 연쇄살인범 검거 후 여러 지자체와 기관에서 CCTV를 확대하겠다고 나섰다. 그러나 CCTV로 인한 범죄예방 효과는 확실히 입증된 것이 아니며, 오히려 경찰 등 공공기관이 이를 오남용할 우려가 매우 크다. 경찰은 이미 지난해 촛불집회에서 교통단속용으로 설치된 공공기관 CCTV를 채증용으로 사용했다는 의혹을 받아 왔다. 이런 의혹이 충분한 개연성을 갖추는 이유는, 우리 주변에 만연한 CCTV가 실제로 인권침해적으로 보급되어 왔기 때문이다.
 
아주 최근까지 우리 사회는 CCTV 촬영기록을 인터넷에 유포시켜도 제재할 수 있는 아무런 법률적 근거를 갖고 있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02년 강남구가 CCTV 수백대를 설치한 후 경찰과 지자체는 경쟁적으로 CCTV를 설치, 운용해 왔다. 국가인권위원회의 권고와 인권시민단체들의 계속된 요구 속에서 비로소 2007년 11월 <공공기관의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법률>에 근거조항 몇개 생기긴 하였으나 여전히 썩 좋은 상황이 아니다. CCTV 설치 전에 이해당사자들은 충분히 의견을 개진하고 있는가? CCTV를 거부할 수 있는 권리는 보장받고 있는가? CCTV가 함부로 줌이나 회전되고 있지는 않은가? 몰래 대화를 녹음하고 있지는 않은가? 정보주체는 CCTV 기록물에 대한 열람, 정정, 삭제 청구권을 충분히 행사할 수 있는가? 무엇보다 누가 이 모든 운용실태를 독립적이고 공정하게 감독하고 있는가? 그나마 공공기관 CCTV는 따져볼 법률이라도 존재하지만 민간 CCTV는 완벽한 법의 사각지대로 존재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CCTV 확대는 우려스런 상황임이 분명하다. 갈수록 첨단기능화되어 가는 전자감시장비들에 대하여 경각심을 갖지 못한다면 우리 사회는 첨단감시국가의 나락에 빠질 것이다.
 
용산 참사현장에 등장한 CCTV는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그것이 경찰의 요청에 따른 촬영이었다는 의혹이 사실이라면 도저히 용납받지 못할 일이다. 설령 업체의 홍보용 촬영이 사실이었다 하더라도 추모촛불집회에 참가하였다는 이유로 시민들의 정보인권이 침해된 것에 대하여 책임을 져야 함은 물론이다.

2009년 2월 25일

 
진보네트워크센터



* PD수첩 방송: 2월 24일(화) 밤 11시 10분

■ 생생이슈 <여성강력범죄, CCTV가 해결사? >
최 근 강력범 검거에 CCTV(폐쇄회로텔레비전)가 결정적 단서를 제공하는 사례가 증가하자, 경기도를 비롯한 지자체 곳곳에서 강력범죄 예방의 일환으로 방범용 CCTV설치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수억 원의 설치비와 차후 유지비용에도 불구하고 일반 시민들은 CCTV설치를 환영하는 분위기지만 폭발적 증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대한민국 CCTV 열풍, 과연 흉악 범죄로부터 우리를 지키는 최선의 해결책인지 짚어본다.

강력범죄 뒤에 숨겨진 CCTV의 또 다른 얼굴
2009 년 대한민국을 공포에 떨게 한 연쇄살인범 강호순 검거의 일등공신은 바로 CCTV였다. 실종지 인근 CCTV에 찍힌 7천여 대의 차량기록 분석결과 범인검거에 성공한 것이다. 하지만 되짚어 보면 강호순은 마지막 범행 후 성포동 은행 CCTV에 현금인출 모습을 의도적으로 노출, 기존 범죄와의 연관성을 오인하도록 해 오히려 수사방향에 혼선을 주었다. 

지난 1월 20일 용산참사 당일 저녁에 열린 긴급촛불집회 당시, 민간업체의 이동식 CCTV가 현장에서 사용되었다는 의혹을 취재했다. 또한 24일 용산현장에서 발생한 전경버스 방화범 검거를 위해 경찰이 분향소가 마련된 병원 CCTV를 확보해 문상 온 조문객을 조사하여 조문객으로부터 강하게 항의받기도 하였다.
 
현재 전국적으로 공공기관의 CCTV 15만여 대, 민간부문까지 합하면 300만여 대에 이르는 CCTV가 설치되어 있지만 관련법규 미흡으로 법의 사각지대에 놓여있어 인권침해에 대한 우려가 심각하다. 

CCTV, 과연 범죄예방에도 효과 있는 것일까?
CCTV 에 의한 강력범 검거소식과 증거화면이 등장할 때마다 시민들의 신뢰는 커져가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범죄예방 효용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최근 교도소에 수감된 200명의 강력범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 연구기관의 조사에 따르면 절반 이상이 범행 시 CCTV설치 여부에 개의치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논문모집] Policy and Internet: Call for Papers


Policy and Internet: Call for Papers


INVITATION TO CONTRIBUTE TO THE FIRST MAJOR PEER-REVIEWED JOURNAL INVESTIGATING THE IMPLICATIONS OF THE INTERNET FOR PUBLIC POLICY:


The Oxford Internet Institute (OII), the Policy Studies Organization (PSO), and Berkeley Electronic Press are proud to announce Policy and Internet, the first major peer-reviewed multi-disciplinary journal investigating the implications of the Internet and associated technologies for public policy.

The Internet is now embedded in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life, bringing with it new practices, norms and structures. The societal shift enabled by the Internet enables new kinds of policy innovation and creativity: and raises new challenges and risks for policy-making and analysis. It requires rigorous empirical investigation, theoretical development and methodological innovation across academic disciplines. Policy and Internet will become the premier arena for advancing policy research and shaping the policy agenda in the digital era.

Policy and Internet invites papers reporting world class research and scholarship on any asp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et and public policy. The journal is fully multi-disciplinary in scope. Topics will range across policy sectors and regions of the world, including generalised, sectoral or country-specific policy effects.


Find further details and make submissions at:
http://www.bepress.com/pso_internet1

Download PDF Call for Papers (pdf, 30kb):
http://www.bepress.com/pso_internet/call_for_papers.pdf2

Professor Helen Margetts, Editor in Chief
David Sutcliffe, Managing Editor

Policy and Internet
http://www.bepress.com/pso_internet1


Editorial Board:

Andreas Busch (University of Göttingen)
Manuel Castells (Open University of Catalonia)
Paul DiMaggio (Princeton University)
Patrick Dunleavy (LSE)
Nicholas Economides (New York University)
Hernan Galperi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Andrew Graham (University of Oxford)
Robert Hahn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Matthew Hindman (Arizona State University)
Sonia Livingstone (LSE)
Lee W. McKnight (Syracuse University)
Milton Mueller (Syracuse University)
Howard Rheingold (UC Berkeley)
Angela Sasse (UCL)
AnnaLee Saxenian (UC Berkeley)
Stuart Shulman (UMass, Amherst)
J.P. Singh (Georgetown University)
Joseph Straubhaar (University of Texas)
Hal Varian (UC, Berkeley)
Thierry Vedel (Sciences Po - IEP)
Philip Weiser (University of Colorado)
Jonathan Zittrain (Harvard University)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논문모집] UDC call for papers






CALL FOR PAPERS


Celebrating its 30th anniversary, the Union for Democratic Communications is
renewing its unique founding commitment to the application of critical
paradigms at a convergence of scholarship, pedagogy, and media activism.

A renewed commitment to "the critical" as well as "the convergence" is all
the more appropriate at a moment in time when a range of 'Aftermaths" appear
to be in play:

   * Aftermath of an age in which a neo-conservative ideology dominated
many aspects of social, political, and professional life - lately much
reduced by the contradictions in its own attempts at reproduction.
   * Aftermath of an age of environmentally unsustainable political
economies.
   * Aftermath of an age of monolithic mainstream media dominance where
multiple resistances on a plethora of digital platforms are in play and ripe
for critical discussion.
   * Aftermath of a regional decline. The international space of
Buffalo/Niagara offer an example of urban areas laid most low by the
neo-conservative agenda that have, ironically, offered spaces for a new
flowering of media alternatives and critical social justice pedagogies.

We seek submissions from critical perspectives that interrogate media
institutions and technologies, economic structures, cultural processes, and
audiences; offer case studies in critical pedagogy; and examine and
demonstrate media activism.

Final Submission Deadline is March 15th, 2009. Earlier submissions will be
reviewed on a monthly basis.

For panel and paper abstract submissions or other conference inquiries,
please contact UDC2009@gmail.com

DOWNLOAD Printable (PDF) Version of the Call for Papers:
http://mediastudy.com/udc.pdf

Up to date conference information is available at:
http://www.buffalostate.edu/udc/

Please distribute this call widely through your networks.



**********************
The Union for Democratic Communications is a group of communications
researchers, theorists, educators, journalists, media producers, policy
analysts, and activists. The UDC is dedicated to the critical study of
communications establishments and its policies;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democratically controlled media; the fostering of
alternative, oppositional, independent, and experimental production; and the
development of democratic communications systems at local, region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The purpose of this listserv is to provide a forum for announcements
relating to the organization's goals and objectives. There is no charge for
posting announcements, but they will be posted one time only. Send
submissions to UDC-L@lists.psu.edu.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저널발행] the inaugural issue of the Global Media Journal -- Canadian Edition

** 모스코와 베이브의 글이 있어 읽을만하네요.  **

From: Mahmoud Eid [mailto:meid@uottawa.ca]

We are pleased to announce the inaugural issue of the Global Media Journal -- Canadian Edition
(Available at: http://www.gmj.uottawa.ca/current-issue_e.html)
 
Mapping Communication and Media Studies in Canada
 

2008, Volume 1, Issue 1 (Inaugural Issue)

 

Mapping Communication and Media Studies in Canada

Editors: Mahmoud Eid and Daniel Paré

 

 

 

TOC:

PDF

A Message from the Founder

 

 

Full Text:

HTML

PDF

Editorial: Mapping Communication and Media Studies in Canada

Mahmoud Eid and Daniel Paré

 

 

Full Text:

HTML

PDF

Innis and the Emergence of Canadian Communication/Media Studies

Robert E. Babe

 

Abstract

Full Text:

HTML

PDF

Marshall McLuhan’s Theory of Communication: The Yegg

 

Abstract

Full Text:

HTML

PDF

Current Trends in the Political Economy of Communication

Vincent Mosco

 

Abstract

Full Text:

HTML

PDF

Industries culturelles, économie créative et société de l’information

 

Abstract

Full Text:

HTML

PDF

Politics and Emerging Media: The Revenge of Publicity

Darin Barney

 

Abstract

Full Text:

HTML

PDF

Public Interest Activism in Canadian ICT Policy: Blowin’ in the Policy Winds

 

Abstract

Full Text:

HTML

PDF

Feminist Approaches to Journalism Studies: Canadian Perspectives

Gertrude J. Robinson

 

Abstract

Full Text:

HTML

PDF

Global Journalism Ethics: Widening the Conceptual Base

 

Abstract

Full Text:

HTML

PDF

 
 
Dr. Mahmoud Eid & Dr. Daniel Paré
Editors
Global Media Journal -- Canadian Edition | http://www.gmj.uottawa.ca
University of Ottawa
554 King Edward Avenue
Ottawa, Ontario K1N 6N5 Canada
Fax: 1-613-562-5240
E-mail: gmj@uOttawa.ca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컨퍼런스] Free Software and Beyond

Free Software and Beyond

The World of Peer Production

4th Oekonux Conference

in cooperation with

P2P Foundation

http://www.oekonux-conference.org/

Invitation

Project Oekonux researches the economical, political and social forms of Free Software and similar forms of production we collectively call peer production. In Project Oekonux, different people with different reasons and different approaches get together to build something new. A lot of participants want to know, whether and if so, how, the peer production can serve as a basis for a new society.

For the 4th Oekonux Conference Project Oekonux cooperates with the P2P Foundation. The Foundation for Peer to Peer Alternatives researches, documents and promotes P2P practices in every domain of social life. It's a global cyber-collective and aims to be a knowledge and internetworking platform for open/free, participatory, and commons-oriented initiatives on a global scale.

During the past decade the phenomenon of Free Software has become successful and well-known. It is still amazing how in the realm of software the creativity of so many volunteers leads to products which are useful for the whole mankind. Ten years after Project Oekonux was founded the world has changed. As expected by us the principles of the development of Free Software are spreading out to other fields. Wikipedia and Open Access are two of the most interesting examples among many. It is time to look at peer production from a broader perspective.

The 4th Oekonux conference

Free Software and Beyond

The World of Peer Production

takes up this development and widens the perspective from Free Software to other fields of peer production. Project Oekonux and P2P Foundation are proud to welcome nearly 30 invited contributors which will share their experience, studies and insights with us on the following topics

Please see the program page for detailed information and some more contributions.

After the inspiration of the 1st, 2nd and 3rd Oekonux Conference we hope and expect that in an open atmosphere critical voices as much as the enthusiasm of the hackers of all kinds once more will merge into a creative process. We hope and expect, that again the wide range of presentations contributed by international participants from science and practice will lead to new insights and broader understanding for all. We hope and expect, that as before we will have a lot of fun :-) .

4th Oekonux Conference

March 27th-29th, 2009

University of Manchester

Please register for free

http://www.oekonux-conference.org/registration.html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