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상, 여강(麗江) 순례기 ~~

여강(麗江) 단상 ~~

 

4월은 꽃밭인가. 그런가, 정말 그런가. 3월부터 아니, 2월 초입부터 들려오는 꽃소식은 반갑기 그지없었다. 더구나 지난겨울은 그리도 춥지 않았던가. 그 추위 속에서, 꽁꽁 얼어붙고 움츠러들고 주름살이 깊었던 우리네 마음이며 살림살이다.

 

삽질 한파 소식이 여린 마음을 지닌 가슴마다에 장송곡처럼 울리고 있었다. 이, 얽힌 매듭처럼 촘촘하고, 강산을 회치듯이 훼손하는 포크 레인을 앞세운 정교한 시나리오에 우리들은 무력하기만 하다. 그리하여 우리의 가슴은 안타까움에 쓰라리다. 이렇듯 조여 오는 시대의 아픔 속에서 피어난 봄꽃은 우리에게 위안과 치유를 주는 것일까. 정말 그런 것일까.

 

        

 

아니다. 밑도 끝도 없는 언설을 펼치고 있는 나의 주장은 도시 타당하지 않다. 봄이 어김없이 환희와 위로를 가지고 우리에게 찾아 온 것은 맞다. 하지만 문제를 듬뿍 안고 있는 인간들이 문제다. 멀쩡한 강과 산을 파헤치다 못해서 송두리째 뒤엎는 만행을 서슴없이 저지르고 있는 우리에게, 봄은 다른 곳이 아닌 바로 이 시대, 이 야만의 대한민국에 찾아 온 것이 다.

 

        

 

        

 

우리는, 수 십 년 동안 눈앞의 개발 이기에만 눈이 뒤집혀 이윤창출에만 혈안이 되어 살아온 토건장이를 대통령으로 뽑았다. ‘잘사는 것이 무엇인지....’ 잘살게 해주겠다는 말에 혹해서 거짓과 사기와 반칙을 밥 먹듯이 자행하며 살아온 건설회사 사장 출신이었던 사람을 5년 동안 우리를 대신하여 나라를 이끌어갈 대통령으로 뽑았다.

 

어김없는 이 모든 사실이 천추의 한이 될지도 모른다. 작금의 문제가 벌어지도록 한 것은 우리들의 투표로 인해 빚어진 일이기에 국민들은 파괴의 덫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그리하여 사람들은 일말의 가책과 책임으로 포크레인과 삽질이 트레이드마크인 대통령이 명명백백, 빽빽하게 저지르는 상식을 초월한 짓거리에 가슴이 무거울 수밖에 없다.

 

어찌하여 우리는 아름다운 자연의 자태를 제대로 감상할 수 없는가, 우리의 잘못된 선택으로 인해서 강산이 토막 나고 할퀴고 파헤쳐져 수 천 년 동안 걱정 없이 잘 살아오던 동식물들이 멸종할지도 모르는 걱정에서 자유롭지 못한가. 지금 빠르게 속력을 내고 있는 삽질에 사라지고 멸종하는 천연기념물들의 주검이 구체적인 사실로 나타나기에 안타까워서 그럴 것이다.

 

         

 

        

 

지금 우리는 그 댓가를 바야흐로 톡톡히 치르고 있다. 어느덧 봄이 한창인데 토건족 대통령은 줄줄이 사탕처럼, 조기 두름처럼 엮어 시리즈로 이 나라 이강토를 포크레인과 삽질로 토막 나고 파헤쳐지면서 잘도 분탕질하는데 여념이 없다. 이런 작태에 하루가 다르게 훼손되는 4대강을 보면서 속앓이를 하고 있는 것이다.

 

4대강 사업은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을 깊이 파고 강변에 콘크리트 제방을 깔고 담을 쌓는 것이다. 이로 인해 수 만년 생명을 품고 흐르며 우리 삶의 터전이 되어 왔던 한반도의 핏줄이나 마찬가지인 강물이 거대한 인공수로가 되는 것이다. 복에 겨워서인가. 본래 자연이었던 강을 인공수로로 만드는 나라가 어디 있다냐.

 

물도 강도 못 가졌거나 부족한 나라에서 궁여지책으로 수천 년 전에 벌리던 토건사업이 운하(運河)였던 것이다. 아니면, 지금 토건장이 대통령이 따라하고 있는 미국이나 독일 같은 나라들은 이미 수십 년 전부터 그 시행착오와 오류를 인정하고 인공으로 쌓았던 댐과 보를 허물어 다시 자연 상태로 되돌리고 있는 것이 대세요. 엄연한 현실이다. 우리의 토건장이 대통령은 좋은 것은 못 배우고 어디서 나쁜 선례만 본떠다가 우리 강토에 대입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여강(麗江)은 죽어가고 있었다. 그 고장 사람들은 예로부터 금모래 은모래 반짝이는 남한강이 하도 아름다워서 오직 흥에 겨웠으면 여강(麗江)이라는 이름으로 불렀을까. 나는 지난 주말 ‘나눔문화’의 ‘여강 순례 길에서 이 모든 것을 똑똑히 보고 말았다. 지금 잘 살아있는 강을 살린다면서 하는 삽질은 4대강 죽이기 사업이고, 한반도는 이것으로 인해 대재앙을 예고하고 있다는 것을 말이다.

  

첫째, 대규모 준설로 강물의 흐름이 크게 바뀌어 홍수피해가 커질 것이다. 삽질장이 대통령은 지금 강의 본류를 준설하고 있지만, 홍수피해는 주로 강의 지류에서 일어났었다. 하여 강 본류의 준설은, 여름철 폭우로 인해 강물을 범람하게 할 것이고 주변 마을은 물론 서울과 부산까지 위협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이 경고를 한다.

 

둘째, 댐 설치는 식수대란을 불러올 염려가 크다. 특히 강의 곳곳을 10개의 보로 막게 되는 낙동강은 전기라는 인공의 방법을 쓰지 않으면 흐르지도 못하는 강이라서 물이 상류에서 바다까지 흐르는데 걸리는 시간은 20일에서 200일까지 걸린다고 한다. 고인 물은 썩기 마련이다. 이는 만고의 이치다. 낙동강은 비가 오면 흙탕물이 되고 비가 그치면 시퍼런 녹조현상이 일어날 것이다.

  

셋째는, 한반도의 지형과 생태계 자체가 바뀌게 된다. 독일의 라인강은 운하건설로 현재 운하 건설 전에 살던 동식물들이 대부분 멸종되었다고 한다.

 

4대강 사업은 인재(人災)가 될 것이다. 한 번 시행하면 복구가 불가능한 이 사업이 우리 땅엣 펼쳐진다니 앞으로 닥칠 비극이 두렵기만 하다.

 

4대강 사업에 들어붙은 업체는 현대건걸, 삼성, 대림건설, GS건설 등 4개 건설재벌들이다.

 

그렇다. 포크레인 세력들은 여리고 약한 사람들의 절규에 귀를 막고 난폭한 음주 운전자처럼 정신 나간 질주를 거듭하고 있었다. 전 세계에서도 한국, 그것도 바위늪구비에서만 집단 서식하는 멸종위기 2종인 단양쑥부쟁이는 그 마지막 쉼터를 잃고 있었다.

 

     

 

     

 

습지와 야산에서 평화롭게 살아가던 ‘표범장지뱀’ ‘삵’ ‘수달’ ‘수리부엉이’도 같은 운명에 처해 있다. 세계가 비록 평화로울지라도 지금 우리가 편치 못한 이유가 여기 있고, 아름다운 꽃을 보고도 진정으로 반길 수만은 없는 처지가 이 모든 것이다.

  

4대강 사업에 반대하는 이철제, 김종도 등 여주 민중미술인인 40여명은 때마침 신륵사 입구에서 펼친 설치미술전에서 사람이라는 말은 ‘살다’에서 나왔다. 그러므로 모든 살아있는 것은 사람이다. 4대강의 삽질로 더 이상 사람을 죽이지 말라고 절규하며 온 몸으로 현장 미술작업에 여념이 없었고 ‘나눔문화’에서는 순례의 깃발을 높이 쳐들고 여강을 감싸 안으며 따뜻함 마음을 모아서 바치는 고천문을 올리고 있었다.

 

목졸린 강물이 바둥거리는 소리와 죽음의 행진곡인 포트레인 삽질 소리에 피눈물로 절규하는 4대강을 젓줄 삼아 목숨을 이어가는 강, 바람, 금모래, 은모래, 흰목물떼새, 해돋이 산길, 여강길, 누치, 빼어난 경관으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세종대왕릉과 효종대왕릉이 댐공사로 지형변화를 일으켜 제명위기에 놓여 있으니 이를 지켜달라는 하늘에 바라는 발원문을 목 놓아 부르짖고 있었다. 머리에는 지혜를, 가슴엔 사랑을, 손에는 나눔을 실천하는 ‘나눔문화’ 다운 따뜻하고도 진솔한 발원의식을 치르고 있었다.

  

현재 남한강에는 우리나라에서만 사는 고유어종이 다수 서식하고 있고 특히 꾸구리는 차고 깨끗한 물에서만 사는 어종이라고 했다.(김익수 전북대 명예교수, 생물학) 이처럼 물이 차고 깨끗한 여강인데 무슨 물을 살린다고 파헤치느냐 말이다.

  

사정이 이러하니 찾아온 계절이 거저 주는 선물을 받지도 못하고, 꽃이 주는 부드러움과 위로의 메시지도 순수하게 느끼지 못한다. 다시 말해서 우리는 지금 자연이 들려주는 이야기에 귀를 기울일 수 있는 귀도 없고, 흐드러지게 핀 봄꽃의 아름다움을 제대로 바라볼 수 없는 눈도 없는 것이다.

 

           

 

그러나 보자. 움츠렸던 새잎들은 강철 같은 의지로 빛나고, 물을 머금은 얼굴은 산천을 연초록으로 물들게 할 것이다. 서로 앞 다투어 봄을 알리느라 하루가 다르게 훈풍을 몰고 온다. 자신들의 모든 것을 조건도 없이 주고 있다. 이러한 피조물, 봄꽃들이 피어 한 시절을 풍미하고 있다. 꽃은 꽃을 부르고 자연은 자연을 부른다. 우리도 하면 된다. 자연의 마음으로 꽃의 마음으로 강의 마음으로 사람을 부르고 사람다운 마음이면 된다.

  

그래, 그렇다. 강물이 강물답게 흐르도록 가만히 놔두면 좋겠다.

 

강물은 흘러야 한다.

'당신들은 어찌 이곳을 흩트리려 하십니까?'

 

 

엘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5/06 01:25 2010/05/06 01:25
트랙백 주소 : https://blog.jinbo.net/8434pjr/trackback/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