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분류 전체보기

[크루그먼] 미국 집값거품이 꺼기기 시작했다는군요...

다시 영문이군요. 또 욕을 먹겠군요. 이 글은 오늘이 지나면 유료로 바뀔 것이어서 퍼다 놓습니다. (요약)번역을 하거나 어디 글쓸 때 인용을 할 필요가 있을 것 같아서요. 그럼...

뉴욕타임즈 칼럼이구요.

 

That Hissing Sound

Published: August 8, 2005

This is the way the bubble ends: not with a pop, but with a hiss.

Housing prices move much more slowly than stock prices. There are no Black Mondays, when prices fall 23 percent in a day. In fact, prices often keep rising for a while even after a housing boom goes bust.

So the news that the U.S. housing bubble is over won't come in the form of plunging prices; it will come in the form of falling sales and rising inventory, as sellers try to get prices that buyers are no longer willing to pay. And the process may already have started.

Of course, some people still deny that there's a housing bubble. Let me explain how we know that they're wrong.

One piece of evidence is the sense of frenzy about real estate, which irresistibly brings to mind the stock frenzy of 1999. Even some of the players are the same. The authors of the 1999 best seller "Dow 36,000" are now among the most vocal proponents of the view that there is no housing bubble.

Then there are the numbers. Many bubble deniers point to average prices for the country as a whole, which look worrisome but not totally crazy. When it comes to housing, however, the United States is really two countries, Flatland and the Zoned Zone.

In Flatland, which occupies the middle of the country, it's easy to build houses. When the demand for houses rises, Flatland metropolitan areas, which don't really have traditional downtowns, just sprawl some more. As a result, housing prices are basically determined by the cost of construction. In Flatland, a housing bubble can't even get started.

But in the Zoned Zone, which lies along the coasts, a combination of high population density and land-use restrictions - hence "zoned" - makes it hard to build new houses. So when people become willing to spend more on houses, say because of a fall in mortgage rates, some houses get built, but the prices of existing houses also go up. And if people think that prices will continue to rise, they become willing to spend even more, driving prices still higher, and so on. In other words, the Zoned Zone is prone to housing bubbles.

And Zoned Zone housing prices, which have risen much faster than the national average, clearly point to a bubble.

In the nation as a whole, housing prices rose about 50 percent between the first quarter of 2000 and the first quarter of 2005. But that average blends results from Flatland metropolitan areas like Houston and Atlanta, where prices rose 26 and 29 percent respectively, with results from Zoned Zone areas like New York, Miami and San Diego, where prices rose 77, 96 and 118 percent.

Nobody would pay San Diego prices without believing that prices will continue to rise. Rents rose much more slowly than prices: the Bureau of Labor Statistics index of "owners' equivalent rent" rose only 27 percent from late 1999 to late 2004. Business Week reports that by 2004 the cost of renting a house in San Diego was only 40 percent of the cost of owning a similar house - even taking into account low interest rates on mortgages. So it makes sense to buy in San Diego only if you believe that prices will keep rising rapidly, generating big capital gains. That's pretty much the definition of a bubble.

Bubbles end when people stop believing that big capital gains are a sure thing. That's what happened in San Diego at the end of its last housing bubble: after a rapid rise, house prices peaked in 1990. Soon there was a glut of houses on the market, and prices began falling. By 1996, they had declined about 25 percent after adjusting for inflation.

And that's what's happening in San Diego right now, after a rise in house prices that dwarfs the boom of the 1980's. The number of single-family houses and condos on the market has doubled over the past year. "Homes that a year or two ago sold virtually overnight - in many cases triggering bidding wars - are on the market for weeks," reports The Los Angeles Times. The same thing is happening in other formerly hot markets.

Meanwhile, the U.S. economy has become deeply dependent on the housing bubble. The economic recovery since 2001 has been disappointing in many ways, but it wouldn't have happened at all without soaring spending on residential construction, plus a surge in consumer spending largely based on mortgage refinancing. Did I mention that the personal savings rate has fallen to zero?

Now we're starting to hear a hissing sound, as the air begins to leak out of the bubble. And everyone - not just those who own Zoned Zone real estate - should be worried.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에콰도르 관련 기사

Ecuador Changes Presidents

by Mary Turck
April 21, 2005

“Que se vayan todos!” was the cry of thousands who filled the streets of Quito this week—“Throw them all out!” By day’s end April 20, Congress had thrown President Lucio Gutierrez out, but Vice President Alberto Palacio was sworn in, and it was not at all clear that the nation’s seventh president in nine years would do any better than his predecessors.
Gutierrez came to power on a left-wing political platform, with the support of the nation’s four-million-strong indigenous population, promising help for the poor. Instead, Gutierrez cut subsidies on food and cooking oil, and used the country’s oil export revenues to pay international debts rather than for relief for the country’s desperately poor population. The indigenous coalition that had supported him in 2002 denounced his betrayal and moved into opposition. Leftists generally abandoned the president.When he was charged with nepotism and corruption, Gutierrez had little support from those who elected him.

Last November, Gutierrez made enough deals with opposition members of Congress to narrowly escape impeachment on the corruption charges. In an apparent pay-back, Gutierrez fired 27 of the Supreme Court’s 31 justices in December, as well as members of the national electoral council, replacing them with his own choices. His transparently unconstitutional power grab angered the country, sending demonstrators into the streets to denounce this violationof the separation of powers.

The new, Gutierrez-appointed Supreme Court ruled March 31 that pending charges against ex-presidents Abdalá Bucaram and Gustavo Noboa must be terminated, thereby clearing the way for them to return from exile without fear of jail.

As Quito’s streets filled with angry protesters, Gutierrez called out the police, who fired smoke bombs and tear gas into the crowds, resulting in many injuries and at least one death on April 19. The Commander General of the Ecuador Police force, Jorge Poveda, resigned on April 20, saying he would not take part in further confrontation with the Ecuadoran people.

As Gutierrez fled into exile in the Brazilian Embassy, the new President Alberto Palacio proclaimed that, “the dictatorship, the immorality, the egotism and the fear have ended.” Palacio, a medical doctor, had earlier said that Ecuador was in a coma, and promised to cure the illness of the poor (but oil-exporting) nation of 13 million people.

Palacio acted immediately to suspend participation in the free trade talks now underway in Peru, but it was not clear that this was anything but a temporary measure to allow him to pick his own representative to the talks. Widespread popular opposition to a free trade agreement with the United States is just one of many issues facing the country, including:

1. Foreign debt, dollarization of the Ecuadoran economy in 2000,

2. Pressure from the Confederation of Indigenous Nationalities of Ecuador (CONAIE), the country’s biggest indigenous organization, along with other indigenous and campesino (farm workers) groups, to better support agriculture and services for the poor majority;

3. Opposition to U.S. militarization in the region, including the U.S. air base in the northern Ecuador city of Manta (a “forward operating location” for U.S. troops in South America) and U.S. participation in the war in Colombia and fumigation of coca crops;

4. Pending lawsuits against Texaco by Secoya Indians, who point to oily pits and sludge draining into the nation’s rivers as a result of earlier oil operations, and continuing opposition by indigenous nations to foreign oil company operations that pay off the central government while leaving Amazon peoples in poverty.

5. Banana workers who suffer serious human rights abuses, including union-busting, exposure to dangerous chemicals and widespread child labor.

The popular opposition to Gutierrez does not translate into popular support for his successor, Alberto Palacio. To gain that support, and to maintain a constitutional government, Palacio and Congress will have to move quickly to respond to the needs of the people.

Presidential timeline:
1996: Abdalá Bucaram elected
1997: Bucaram deposed by congress on grounds of mental incapacity; replaced by Fabian Alarcon
1998: Jamil Mahuad elected.
2000: Mahuad forced out of office by indigenous protestors after economic collapse; three-person junta is installed. Later, after U.S. pressure, Vice President Gustavo Noboa becomes president.
2002: Lucio Gutierrez elected.
2005: Gutierrez deposed by congress; Vice President Alberto Palacio becomes president.

Ecuador snapshot:
Population: 13 million
Languages: Spanish, indigenous languages
Gross domestic product: $1790 per capita
Currency: U.S. dollar
Main exports: oil and bananas

 

For further information and analysis, see:

La rebelión de Quito, publicado por Adital, 19 abril 2005

New President Says He Will Serve Out Term, published by Inter Press Service, 4/20/05

Ex-Ecuador Leader Granted Asylum, published by BBC, 4/21/05

President Thrown Out of Office, published by the Guardian, 4/21/05

Ecuador's President Ousted Amid Unrest, published by the Miami Herald, 4/21/05

Nuevo presidente de Ecuador anuncia que gobernará con el pueblo, publicado por La Hora, 21 abril 2005

Una jornada de celebraciones, protestas y saqueos en Quito, publicado por La Hora, 21 abril 2005

Ecuador suspende las negociaciones del TLC, publicado por La Hora, 21 abril 2005

Cronología de la crisis en Ecuador, publicado por La Jornada, 21 abril 2005

Alfredo Palacio, el nuevo presidente de Ecuador, habla en exclusiva con Correo, Publicado por Correo (Peru), 21 abril 2005

Ecuadorian Protests, published by Green Left Weekly, 4/19/05

Battle Rages With Ecuador Indians Over Oil, published by Reuters, 12/19/04

Widespread Labor Abuse on Banana Plantations, published by Human Rights Watch, 4/25/02

Political Turmoil in Ecuador (Connection to the Americas, February 2005)

Indigenous Groups Demand Presidential Resignation (Connection to the Americas, July 2004)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에콰도르 대통령 탄핵 당하고 대통령궁 빠져나가...

뉴욕타임즈 기사이구요, 번역은 시간이 없어서...^^;;

기사 내용은 97년 이후 쫒겨난 대통령이 3명이 될 정도로 정정 불안...

부패, 아이엠에프가 요구한 긴축정책 등이 원인...

이번 대통령은 민중들의 지지로 자리에 올랐는데 신자유주의자로 변신했구요,

탄핵당하지 않기 위해 과거 쫒겨난 대통령의 정당과의 연합, 이를 위한 대법원 재구성, 대법원을 자기 사람들로 채울려는 의회와 대통령의 계속된 싸움(다른 곳에서 본 내용), 그리고 대법원의 재 해산 등의 사건이 있었답니다.

 

부통령이 승계했는데 민중들이 이를 지지할 지 안할지는 모른다네요.

군 경이 돌아섰구요, 그 촉매는 의회의 탄핵과 민중들의 시위 및 2사람의 사망 등이었던 것 같습니다.

저번 사회포럼때 만난 프랑스 철학자 라비카는 챠베스의 예를 들면서 남미는 군인들 일부가 신자주의에 반대하는 민중들과 함께 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하던데 에콰도르에도 그런 군인들이 있는지 모르겠네요.

저번 사회포럼 때 에콰도르 농민운동가들(유명한 원주민농민 조직인 코나이와는 다른 농민조직 출신) 3사람을 만났는데 이들도 이번 싸움에 가담을 했을 것이라 생각하니 기분이 묘하네요. 당시 이들은 자국내 운동에 대해 매우 자신감이 있어 보였습니다.

암튼 이번 투쟁은 민중들이 확실히 사태를 장악했으면 합니다.

 

아 참 이 사람이 브라질 대사관으로 피신해 있다네요. 브라질은 망명을 받아들일 것이라네요. 군대에 데모진압을 명령했다고 해서  체포영장이 발부된 사람인데 룰라정부 참 거시기하네요.

 

Ecuador's Leader Flees and Vice President Replaces Him

By JUAN FORERO

Published: April 21, 2005

BOGOTÁ, Colombia, April 20 - President Lucio Gutiérrez of Ecuador fled his presidential palace on Wednesday after the Congress, meeting in special session, voted to remove him. The Congress then swore in Vice President Alfredo Palacio, a 66-year-old cardiologist, to replace Mr. Gutiérrez, 48, a former army colonel who had faced mounting street protests against what critics called an illegal overhaul of the Supreme Court.

Advertisement

Mr. Gutiérrez, who took office in January 2003, became the third president since 1997 to be ousted from power in the small but oil-rich Andean country, which has close economic ties to the United States. In 1997, Abdalá Bucaram was declared mentally unfit to govern and fled into exile. In 2000, President Jamil Mahuad was ousted in a coup supported by Mr. Gutiérrez, then an army colonel.

Ecuadorean protesters accused all three of corruption, mismanagement and a strong-arm governing style.

"Today, the dictatorship, the immorality, the arrogance and the fear have ended," Dr. Palacio said in a speech broadcast on Colombia's Caracol radio network. "From today, we will restore a republic with a government of the people."

Dr. Palacio did not say whether he would call new elections. It was also not clear if the majority of Congress and the Ecuadorean public would support him as he tries to steer the country out of paralysis. Ecuador does not have a Supreme Court - the Congress disbanded it on Sunday - and its myriad political parties are bitterly divided.

"Logic would have it that Palacio would stay the year and a half that remains, organize elections and construct the judicial system," said Adrián Bonilla, a political analyst in Quito, the capital.

Mr. Gutiérrez fled the presidential palace in a military helicopter, infuriating protesters who assumed he would flee the country, as have other former leaders. Demonstrators then closed down Quito's international airport to prevent his escape, while the attorney general's office announced that a warrant had been issued for his arrest for having ordered troops to use violence to put down anti-government demonstrations.

But Wednesday evening, Brazil issued a statement saying that Mr. Gutiérrez was in that country's embassy in Quito and that the Foreign Ministry was making the necessary arrangements to grant him asylum.

Mr. Gutiérrez, who had run for president as a populist friend of the poor, lost much of his public support almost as soon as he took office. Ecuadoreans were increasingly dissatisfied with his austere economic policies, which had produced a 6 percent growth rate in 2004 but also hardships for ordinary citizens.

But it was Mr. Gutiérrez's role in twice dismissing the Supreme Court, most recently last Friday, that helped create a firestorm he could not survive. An interim court installed by Mr. Gutiérrez's allies had cleared former President Bucaram of corruption charges, permitting his return to Quito earlier this month.

Protests picked up momentum on April 13, with demonstrators accusing Mr. Gutiérrez of a power grab. In Quito, where the protests began, a small FM radio station, La Luna, marshaled people for daily anti-government rallies. "I feel like we lit a fuse and that there was so much repressed anger that it just kept burning," said Ramiro Pozo, the news director at La Luna.

On Wednesday, anti-government lawmakers voted to end Mr. Gutiérrez's term based on a vague article in the Constitution that permits a president's removal for "abandonment of the post." The congressmen said that by disbanding the Supreme Court and calling for a state of emergency on Friday the president had violated the Constitution.

The president had insisted to reporters that he would not resign, but on Wednesday his political situation became untenable after the military withdrew its support. At a news conference, Gen. Víctor Hugo Rosero, head of the armed forces, said the military could not "remain indifferent before the pronouncements of the Ecuadorean people." Then the head of the national police force, Gen. Jorge Poveda, also resigned, saying, "I cannot continue to be a witness to the confrontation with the Ecuadorean people."

The police chief was referring to protests that turned violent Tuesday night as tens of thousands of protesters clashed with security forces, who used tear gas and high-pressure water hoses to disperse them. International radio reports said that two people had been killed, including a foreign news photographer.

Opposition members of Congress had been trying to oust Mr. Gutiérrez since late last year, accusing him of corruption and nepotism. In November, they failed to muster enough votes to impeach him. Mr. Gutiérrez had bested his opponents with the support of the Roldosista party, led by Mr. Bucaram, who had been in exile avoiding corruption charges since his ouster.

In return for Roldosista support, government opponents said, Mr. Gutiérrez's allies in Congress disbanded the Supreme Court and named a new one that, in March, cleared Mr. Bucaram. Mr. Bucaram was also being sought Wednesday night.

Carla D'Nan Bass in Quito and Mónica Trujillo in Bogotá contributed reporting for this article.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신자유주의 아래서 사회적 합의주의는 불가능하다

 국민일보(3월 24일) 청탁으로 썼습니다. 민주노총 이상학 정책연구원장과 찬반토론 형식의 기고였습니다. 그런데 신문에서는 제목이 달라졌더라구요. 물론 기자로부터 양해바란다는 이야기는 없었지요. 그럼...

---------------------------------------------------------------------------------

신자유주의 아래서 사회적 합의주의는 불가능하다


 


민주노총은 사회적 교섭 안건을 두고 두 차례 커다란 홍역을 치른 바 있다. 현재 민주노총은 위원장 직권으로 작년 말 이후 계속 불참해 온 노사정 대화를 제의해 놓고 있다. 민주노총의 언명과는 달리 민주노총은 일정한 사회적 합의주의를 추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나는 어떤 노조 중앙조직이 사회적 합의주의를 통해 조합원 전체의, 더 나아간다면 비조합원까지 포함하는 전 노동자의 정치경제적 사회문화적 지위를 개선시킬 수만 있다면 그 길을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것은 현재 불가능한 프로젝트라고 본다. 사실 사회적 합의주의를 통해 조합원의 지위를 개선시킨 사례는 그리 흔하지 않다. 5-60년대 자본주의 황금기 시기 서유럽 정도에서 그런 사례가 발견되지 않나 싶다. 그리고 이것도 높은 경제성장률 등의 조건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지 사회적 교섭 틀 구성이 주 원인은 아니었던 것으로 파악한다. 그 이외의 시기 혹은 지역에서도 지속적으로 사회적 합의주의는 노조에 의해서 추구되었는데 이는 거의 실패했다. 교섭테이블이 노조간부들의 입신양명의 수단이 되었는지는 모르겠으나, 조합원들의 이익을 침해하는 양보교섭 또는 노동자들에게 그 이익이 전혀 돌아오지 않는 생산성협약이 있었을 뿐이다. 그리고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뒤늦게 투쟁을 조직하려다 실패하여 조직이 분열에 휩싸이거나 약화된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비단 이는 다른 나라 이야기가 아니다. 김영삼 정권 이래 추구된 민주노총의 사회적 합의주의 추구의 실상은 정확히 이를 증언해 주고 있다.

사실 이렇게 진정한 사회적 합의주의가 불가능하게 된 이유는 70년대 이래 지속되고 있는 세계경제의 구조적 위기(과잉축적과 이윤율 저하) 그리고 이를 극복하겠다고 나선 신자유주의 정책 때문이라 하겠다. 신자유주의는 이윤율 회복을 위해, 이윤추구에 방해가 되는 노동의 권리, 환경에 대한 권리, 여성의 권리, 개도국의 발전에 대한 권리를 철저히 공격한다. 여기서 노조는 노동시장을 왜곡하는 제도이고, 노동의 신축화는 지상명제가 된다. 노동자는 적자 때문이 아니라 더 많은 흑자를 위해 언제든지 해고가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아이엠에프 위기 이후, 노무현 정부에 들어서서는 더욱 강화된 정부와 자본의 논리이다. 특별히 대사업장 정규직에 대한 공격은 역대 어느 정부보다 심한데, 노무현 대통령은 당선되자마자 정규직 해고가 더 자유로워져야 한다, 그것이 경제를 살리는 길이라고 했다.

이런 신자유주의적 처방이 경제를 되살려 일시적으로 해고된 노동자들을 더 튼튼한 일자리에 다시 복귀시키고 임금도 더 많이 지불하고 있는가? 전혀 그렇지 않다. ‘유일사상’으로 떠받들어진 신자유주의는 경제위기를 극복하기는커녕 세계를 금융자본의 투기판으로 만들어버린 지 오래다. 구조조정은 일상화되었지만 투자는 억제되고 있고, 거대한 투기거품이 만들어졌다가 붕괴하기도 하고, 일국 안에서나 세계적으로 부익부 빈익빈 현상만 심화되고 있다.

민주노총은 신자유주의자들로 변모한 우리사회의 소위 ‘개혁’세력들의 거짓 처방에 기대지 말고, 힘들지만 여성, 이주노동자 등 다양한 비정규직과의 아래로부터의 연대를 통해 자본에 대한 통제와 모든 노동자의 노동권 확보라는 전혀 새로운 길을 개척해 나가야 할 것이다. 민주노총에겐 사회적 합의주의 때문에 멈칫거릴 여유가 없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농민들의 쌀 추가개방에 대한 반대 투쟁을 지지한다.

사회진보연대 '사회화와 노동'에 실릴 글입니다. 내일(20일) 아침 올린다고 하니까 여기가 먼저 오르는 셈이네요. 내일은 농민들 투쟁에 가봐야겠습니다. 그럼... ----------------------------------------------------------------------------------- 농민들의 쌀 추가개방에 대한 반대 투쟁을 지지한다. 쌀 추가개방을 위한 정부의 쌀협상에 대한 전국농민회총연맹과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의 외로운 반대투쟁이 지속되고 있다. 협상시한이 9월말이라고 엄포를 놓다가 이 시한을 넘기자 이제는 “12월 23일까지는 협상결과를 세계무역기구(WTO)에 통보해야 한다”, “올해 안에 관세화유예가 안된다면 자동관세화가 된다”며 으름장을 놓는 정부와 협상이 채 마무리되기도 전에 쌀협상이 거의 끝난 것인 양 보도를 해대는 제도언론들 모두 쌀 추가개방 불가피론에 입각해 농업죽이기-농민살해에 공모하고 있다. 사실 영농기술이 아무리 좋다 하더라도, 농민들의 노동력가치를 아무리 낮춘다 해도, 미국 등 토지가 풍부한 나라들에 비해 농지가가 10-20배가 넘는 상황에서, 한국의 농업이 자유무역 경쟁에서 살아남기란 ‘나무에서 고기를 구하는 것’만큼 어려운 일일 것이다. 이를 이유로 한국의 역대정부는 지속적으로 농업을 축소시켜 왔다. 그래서 이제 곡물자급률은 25% 남짓하고(이것은 그나마 쌀이 보호되어 있어서이지 쌀을 제외하면 자급률은 5%내외라고 한다), 농민들, 특히 농업을 적극적으로 자신의 생업으로 생각하고 아직 농촌에 남아있는 젊은 농민들은 모두 빚더미에 올라 앉아 언제 파산을 선언할지 고민을 하고 있을 정도가 되었다. 이런 한국 농업의 이런 위기는 미국과 세계무역기구가 주도하는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무관하지 않다. 70년대를 기점으로 미국주도 세계경제와 미국경제는 과잉축적 이윤율 저하로 구조적 위기에 처한다. 80년대 초반 쌍둥이적자에 시달린 미국은 자신이 압도적으로 경쟁력을 갖고 있던 농업과 서비스까지 ‘자유무역’의 의제에 포함시켜 우루과이 라운드를 설치해 협상을 타결했고 세계무역기구를 출범시켰다. 미국은 꼭 이 때문만은 아니지만 90년대 장기호황을 구가하였다. 반면 한국농업은 지속적인 축소․쇄락의 길을 걸었다. 농민들의 자살은 잇달았다. 그런데도 정부는 미국과 세계무역기구의 압력에 굴복하여 이렇게 기진맥진해 있는 한국의 농업에 쌀 추가개방이라는 비수를 들이대고 있다. 미국은 자산계층의 과소비로 현재 또다시 쌍둥이 적자에 시달리고 있는데 그 희생양 중의 하나가 한국의 농민이 될 판이다. 소농이 근간을 이루고 있는 한국의 농업은 설상가상의 어려움에 처할 것이 불을 보듯 뻔해 보인다. 이는 이번 협상에서 최소시장 접근물량을 8%가 아니라 설령 7%나 6%로 낮춰도 마찬가지가 될 것이다. 농업이 WTO의 협상의 의제가 되어 자유무역의 대상이 되는 한 이번의 쌀 추가개방 및 시판허용 이후에도 관세화, 관세인하 등은 계속 이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이번 협상으로 농민들은 추가적인 어려움에 닥칠텐데 이는 토지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여전히 토지의 수익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있는 농지가가 폭락을 면치 못할 것이다. 혹 아직 논밭을 팔고 나면 빚은 갚을 수 있는 농민들이 있을지도 모르겠으나 이것이 앞으로는 불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런 사태를 내다보고 도시민들에게 소규모 농지를 구입하게 하여 농지가의 급격한 하락을 방지하고자 하나(연착륙 시도), 논농사로밖에 이용될 수 없는 토지 가격의 급격한 하락, 그로 인한 농민들의 몰락을 막을 수는 없을 것이다. 또한 쌀 추가개방으로 이한 정부의 탈농정책은 국민경제에 전혀 보탬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농민들이 ‘경쟁력이 없는’ 농업을 떠나 보다 생산적인 산업에 종사하여 한국경제 전체의 생산성을 높일 것이라는 비교우위론자들의 기대와는 달리, 대부분 고령인 농민들은 농업을 포기하고 아예 농촌빈민으로 남을 가능성이 훨씬 높기 때문이다. 즉 비교우위론에 입각한 정부의 추가적인 탈농정책은 비용은 비용대로 들이면서 효과는 없는, 그리고 그 이익은 주로 미국계 초국적 곡물메이저가 가져가는 반민족적인 정책이 될 것이다. 쌀농업의 축소 쇄락 이후 식량은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까? 그 가능성도 매우 희박하다. 우선 쌀의 국제 가격은 지금보다 훨씬 오를 것이다. 전체적으로 생산량이 줄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초국적 곡물 메이저들의 독점의 횡포 또한 기승을 부릴 것이다. 한편 많은 학자들이 경고하고 있는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재앙(이들에 의하면 향후 40년 내 지구 기온이 5-8도 오르고 이는 경작가능농지를 30%나 축소시킬 것이라 한다)이 겹친다면 아무리 높은 가격을 주어도 쌀을 확보하지 못할 수도 있을 것이다. 비교우위론에 의하면 ‘자유무역’에 참가하는 세계 모든 나라들은 이익을 얻는다. 그리고 환율의 변동을 통해 무역수지도 균형을 이룬다. 그러나 계속 심화되는 각국간의 무역수지 불균형, 개도국의 지속적인 금융위기, 국가간 및 일국내에서의 빈인빈 부익부 현상은 비교우위론에 입각한 ‘자유무역론’ 의 허구를 증명하고도 남는다. 더구나 과잉축적-이윤율 저하로 구조적 위기에 빠진 현재의 세계자본주의에서의 농업과 서비스까지 포함한 ‘자유무역론’은 미국 등 선진제국과 초국적 자본의 논리일 뿐이고, 이에 입각한 쌀 ‘추가개방론’은 초국적 곡물 메이저의 이익을 대변할 뿐이다. 그래서 이번 농민들의 쌀 추가개방 반대투쟁은 생존의 위기에 처해 있는 자신들의 생존권을 지키기 위한 투쟁이라는 점에서도, 전국민의 이해가 걸려있는 식량주권을 대변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지극히 정당하다 하겠다. 농민들은 그동안 2002년 고령의 할머니 할아버지 농민들을 포함하여 ‘30만’이 참가한 농민 시위, 한칠레 자유무역협정 반대 시위, 최근의 농기계 반납시위 등 숨가쁘게 달려 왔다. 그리고 2003년 멕시코 칸쿤에서 열린 제 5차 WTO 각료회의에서 자신의 온 몸을 내던져 농업과 소농을 지키려 한 이경해 열사가 있다(부침 자료 참조). 이들 모두를 무위로 돌릴 수는 없다. 농민들의 투쟁에 대한 연대가 절실한 이유라 하겠다. - 부침자료: 이경해 열사가 제네바 WTO 정무 앞에서 1달간 단식투쟁을 하면서 뿌린 성명서 - 이제 진실을 말하라, 그리고 농업을 WTO에서 제외시켜라 나는 56세, 한국에서 온 농민이며, 젊은 시절 희망을 가지고 동료들과 농민단체를 결성하여 우리의 문제들을 스스로 해결해보자 노력하였던, 그러나 결국 실패만을 거듭한 많은 농촌지도자중 하나이다. 우리는 우루과이라운드가 끝나고 곧 우리는 우리의 운명이 더 이상 우리 손에 있지 않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우리는 나약하게도 수백년 대대로 살아왔던 우리의 고향 농촌이 큰 파도로 붕괴되는 것을 그냥 지켜 볼 수밖에 없었다. 나는 용기를 내어 적극적으로 그 큰 파도의 근본과 이유가 어디에 있는지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제 그 결론에 도달함에 여기 제네바 WTO 정문 앞에서 나는 다음과 같이 온몸으로 절규한다. "누구를 위한 협상을 하고 있는가? 국민들인가 너희들 자신인가? 이제 허구적 논리와 외교적 수사로 가득 찬 WTO농업협상은 그만 하라. 농업을 WTO체제에서 제외시켜라!" 나는 농촌에서 태어나 농고와 농과대학을 졸업하고 험한 산간토지를 개간함으로써 스스로 낙농농장을 개척한 젊은 농군이었다. 계곡 아래 부친으로부터 물려받은 논에 쌀 농사도 지으면서. 나의 소중한 직업 - '농사'를 지으며 다른 동료들과 같이 단체를 만들고 이로써 우리 마을, 우리 지역사회와 국가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은 꿈과 희망을 가지고 우리는 새벽부터 달이 뜰 때까지 열심히 일을 하였고 혁신적인 영농기술과 경영을 배우는 데 게을리 하지 않았다. 우리는 어느 정도 목표를 달성했고 이를 다시 재투자하여 농사를 키워나갔다. 더욱이 영농후계자로서 우리는 식량안보와 지역사회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역할에 자부심을 가졌다. (지금은 어떠하냐고? 내 낙농 농장은 빚으로 문을 닫았고, 논만 좀 남았다) 그러나 이러한 우리의 순박하고 작은 가슴들은 우루과이라운드 협정이 가져다 줄 충격이 무엇인지 알게 되면서 한 순간 들끓는 두려움 속에 싸이고 말았다. 우리는 밤잠을 잘 수 없었고 WTO에 와 아더 던켈 사무총장을 만나기로 하여 결정, 여기에 온 적이 있다. 그에게 우리는 우리의 어려움을 진지하게 그러나 매우 조심스럽게 전하였다. 물론 우리의 요구는 외교적 수사와 함께 일축되었고, 우리의 작고 희미한 목소리로는 우리 앞에 선 '커다란 벽'을 무너뜨릴 수 없었다. (중략) 일찍이 농사짓기를 포기한 농민들은 도시의 빈민으로 전락하였고 이러한 악순환을 벗어나고자 끝까지 노력했던 농민들은 감당할 수 없는 부채로 도산할 수밖에 없었다. 물론 개중에 운이 좋은 사람들은 더 갈 수 있지만 종래 얼마나 버틸 수 있을지. 나는 하룻밤 새 정든 고향을 버리고 떠나버린 친구의 낡고 오래된 빈집을 돌아보고 그저 돌아오기만 바랄 뿐 어찌할 수 없었다. 한번 나는 감당할 수 없는 부채를 비관 농약을 마시고 자살한 집에 달려간 적이 있었지만 역시 그 부인의 울부짖음 소리만 들을 뿐 어찌할 수 없었다. 당신이라면 어떤 기분이었겠는가? (중략) 나는 지금, 인류는 지금 극소수 강대국과 그 대리인인 세계무역기구(WTO)와 이를 돕는 국제기금 그리고 다국적 기업의 상업적 로비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 반인류적이고 농민말살적인, 반환경적이고, 비민주적인 세계화의 위험에 빠져있다는 것을 시민들에게 경고하는 바이다. 즉시 이를 중단시켜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이 허구적인 신자유주의가 세계 각지의 다양한 농업을 말살시킬 것이며, 이로써 모든 인류에게 재앙이 초래될 수도 있음을. 나는 단호히 말하건대, 우루과이라운드는 몇몇 야망에 찬 정치집단들이 다국적 기업과 외눈박이 학자연하는 자들과 동조하여 자기들의 골치 아픈 농업문제를 다른 나라에 떠넘긴 한 판 사기 게임에 지나지 않는다. 이제 진실을 말하라. 그리고 원점으로 돌아가 농업을 WTO에서 제외시켜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전쟁과 신자유주의 금융세계화에 대한 투쟁을 강화하자

미디어 참세상에 기고를 강요당한 글입니다.

------------------------------------------

 

 

 

전쟁과 신자유주의 금융세계화애 대한 투쟁을 강화하자

 

들어가며

70년대 중반 미국주도 세계자본주의는 위기에 빠진다. 65년 경부터 하락하던 이윤율은 결국 경제위기를 야기하고 말았다. 5-60년대 미국주도 세계자본주의의 황금기는 그렇게 막을 내린다.

각국에서 신자유주의 정책이 도입된다. 케인스주의 시대에 억압된 소유-금융이 권력을 되찾으면서 발언을 하기 시작하였다. 노자타협은 해체되었고 노동의 신축화가 진행되었다. 사회복지는 축소되었고 공공부분에도 금융의 원리가 강제되었다. 외채위기를 당한 남미제국들은 구조조정을 진행하였다.

노동자와 주변-반주변의 희생을 기초로 하여 80년대 초반까지 지속적으로 하락하던 이윤율이 다시 상승하기 시작하였다. 물질적 팽창에 뒤이은 금융적 팽창이 시작되었다.

금융세계화는 두 단계를 거친다. 70년대 런던의 유로달러시장과 초민족적 은행(Transnational Bank; TNB)이 주도한 금융화가 고금리-달러강세로 외채위기로 한계를 드러냈다. 외채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베이커플랜(외채상환조건의 재조정)과 브래디 플랜(외채의 증권화)이 등장하였다.

그 결과 금융자본의 형태가 대부자본(은행신용)에서 가공자본(증권)으로 변하고, 신흥공업국은 이른바 초민족적 금융자본에게 엄청난 수익을 보장해주는 '신흥시장'으로 변모한다. 이어 90년대 뉴욕의 증권시장과 금융화한 초민족적 자본(Transnational Capital; TNC)이 주도하는 금융세계화가 시작되었다.

초민족적 법인자본은 지주회사를 핵심 조직으로 하는 '산업을 지배적 요소로 갖는 금융그룹'이다. 이들에게 직접투자와 증권투자는 더 이상 구별이 되지 않은데, 증권투자가 인수합병의 주요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금융세계화의 이득은 미국에게 집중되었다. 미국 자본은 90년대에 이윤율을 회복하고, 미국경제는 새로운 축적과 상당한 성장을 이룩하였다('좋은 시절'). 반면 일국적 세계적으로 부익부 빈익빈이 심화되었고, 세계의 많은 지역이 발전과 성장에서 배제되었다. 신자유주의적 금융세계화에 도전하거나 장애를 조성하는 집단적인 행동이 없을 수 없다.

1990년대 말 그 윤곽이 그려졌으며, 2002년 9월 17일 미국 부시 정부가 공표한 『미국의 국가안보전략』은 '부시 독트린'(전쟁억지론에서 예방전쟁론 또는 선제공격론으로의 전환)을 천명하였으며, 이에 따르면 "테러리스트적 폭력과 혼란"에 의해 야기되는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취해지는 예방적, 선제적 행동은 "인간적 존엄성의 협상할 수 없는 공동의 가치"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데, 이 가치는 "자유 민주주의 자유기업" 또는 "평화 민주주의 자유시장 자유무역"이라고 하고 있다.

현재 벌어지고 있는 전쟁은 신자유주의적 금융세계화의 '통치성'을 유지하는 것에 그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하겠다.

금융세계화와 미국경제

금융세계화로 미국이 어떤 이득을 얻고 있는지 알아보자. 최근 발표된 미국의 국제투자(직접투자, 주식, 국공채, 은행대출 등 일체) 잔액 대조표에 의하면 2003년 미국인에 의한 해외투자 잔액은 약 7조 2,003억 달러, 같은 해 미국 국내총생산 약 11조 40억 달러 대비 65.5%가 된다.

1976년도에는 이 수치가 약 4,570억 달러, 같은 해 미국 국내총생산 대비 25%였다. 2003년 외국인의 미국 내 투자는 약 9조 6,333억 달러, 같은 해 미국 국내총생산의 약 87.5%가 된다. 1976년도에는 이 수치가 약 2,921억 달러, 같은 해 미국 국내총생산 대비 16%였다.

그래서 미국의 순 국제투자 잔액[= 미국인의 해외투자 잔액 - 미국 내 외국인투자 잔액]은 1980년 약 3,608억 달러(국내총생산의 약 13%)로 최고치에 이르렀다가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1986년에 마이너스로 돌아갔다.

즉 미국 내 외국인투자 잔액이 미국인에 의한 해외투자 잔액보다 많아졌다는 것이다. 이런 흐름은 이후 더욱 강화되어 순 국제투자 잔액은 2003년 현재 약 -2조 4,307억 달러(국내총생산의 약 -22%)에 이르고 있다. 미국인에 의한 해외투자와 외국인의 미국 내 투자 모두 급격히 증가해 왔지만 외국인의 미국 내 투자 증가속도가 더 빠르다. 그리고 외국인의 미국 내 투자는 90년대 후반 즉 '아시아 위기' 이후 급격히 증가해 왔다.

미국인의 해외투자에서는 직접투자(1인이 10% 이상의 주식을 취득하는 경우) 비중이 높고, 외국인에 의한 미국 내 투자에는 주식 및 채권 투자 비중이 높은 반면 직접투자는 비중이 낮다. 한편 외국인의 미국 내 직접투자에서의 수익률은 99-2002년 시기에 경상가격 기준으로는 5.3%, 4.5%, 1.2%, 3.3%인데 반해, 미국인의 해외 직접투자에서의 수익률은 99-2002년 사이에 10.1%, 10.3%, 8.0%, 8.5%를 기록해 미국인의 해외 직접투자는 외국인의 미국 내 직접투자에 비해 두세 배 이상의 수익률을 올리고 있다. 이런 수익률 격차로 인하여 미국은 순 국제투자 잔액이 국내총생산의 -22%가 되고서도 자본소득 수지상의 역조는 거의 없다.

그래서 2000년의 경우 미국인의 해외 직접투자로부터의 이윤은 국내이윤의 53%에 달했고, 미국의 해외로부터의 총 금융소득(미국의 기업 가계 펀드의 직접투자, 포트폴리오 투자로부터 얻는 총 소득)의 국내 이윤에 대한 비율은 2000년에 100%에 달했다.

이 후자의 과거 수치들을 살펴보면 1948년 10%에서 70년대 말까지 조금씩 오르다가 78년에 45%가 되었고, 그 이후 이 수치는 급격히 치솟아 80년대 신자유주의 시기 이후 약 80%대를 유지하였다. 이 수치가 이렇게 높아진 데는 신자유주의적 반격의 효시인 79년의 (실질)금리 인상과 이후 거대해진 배당 때문이었다. 즉 신자유주의적 금융세계화는 미국의 해외로부터의 금융소득을 엄청나게 증대시켰다. 이것이 신자유주의 시대의 제국주의의 주된 특징이라 하겠다.

결국 미국으로서는 금융세계화로 인해 소비와 투자를 위한 자금을 값싸게 조달하고 있거니와, 정보기술에 기초한 독점력, 아이엠에프 세계은행 등 국제 금융기구의 매개, 각국 정부에 대한 직접적인 압력 등을 통해 해외 직접투자에서는 높은 수익을 내고 있다.

한국경제와 금융세계화

한국경제에서 신자유주의 금융세계화의 효과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을까? 재벌체제의 과잉축적으로 인한 이윤율 저하와 금융세계화 압력으로 아이엠에프 위기를 겪은 한국경제는 혹독한 신자유주의 구조조정을 실시하였고 금융세계화로의 편입을 심화하였다.

그 결과 98년 이후 2002년까지 약 1,153억 달러의 누적 상품수지 흑자를 냈고 이에 힘입어 약 906억 달러의 막대한 경상수지 흑자를 냈다. 이는 아이엠에프 초기 대폭적인 원화가치 하락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 및 내수 소비와 투자의 감소에 따른 수입의 감소, 실업과 비정규직으로 상징되는 노동의 불안정화에서 비롯한 노동비용의 하락으로 인한 수출증대 등이 원인이 되었다.

이런 막대한 경상수지 흑자라면 아이엠에프의 위기의 한 원인이었던 외채를 많이 갚고 한국경제가 이제 외국자본의 지배에서 상당히 벗어났을 법도 하다. 왜냐하면 경상수지(상품수지 서비스수지 소득수지) 흑자는 외채를 갚거나 외환보유고를 확충하거나 아니면 내국인의 해외투자를 늘리는 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외국자본의 지배는 줄어들지 않았고 최근에는 오히려 늘어나고 있다. 경상수지 흑자분과 외국인투자로 유입된 달러로 인해 외채가 약간 감소하고 그 나머지 대부분이 외환보유고로 쌓이면서 외채걱정은 없어졌지만, 국내에 직접투자와 주식투자를 위해 들어온 외국자본은 엄청난 투자수익과 투기이득을 올리면서 국내 외국인투자 잔액을 엄청난 속도로 불려나간 반면, 해외로 나간 내국인 직접투자와 주식투자는 원본도 유지하지 못하는 저조한 실적을 거두고 있기 때문이다.

단적으로 증권거래소 상장주식에서 98년부터 2003년 사이 외국자본이 얻은 평가이익만 해도 80조 이상이 될 것으로 추정이 되고 있고, 직접투자에서 외국자본이 얻은 이익 또한 이에 못지않다. 그래서 대외채권(외환보유고도 이것의 구성요소이다)과 대외채무에다 직접투자와 주식투자를 전부 감안한 2003년 순 국제투자 잔액 규모는 -1,000억불에 육박할 것으로 추측되는데, 그렇다고 한다면 2003년 순 국제투자 잔액 마이너스 규모는 엄청난 규모의 외채( 및 순국제투자의 마이너스)로 인해 외환위기가 발생한 아이엠에프 위기 당시의 순 국제투자 잔액 추정액 -858억 달러보다 더 커지게 된다.

즉 2003년의 순 국제투자 잔액은 아이엠에프 위기 당시보다 마이너스 규모가 약 142억불이 커진 것이 된다. 한국경제는 여전히 초민족적 자본의 볼모가 되어버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서 막대한 경상수지 흑자에서 생각할 수 있는 외국자본의 지배의 축소현상은 나타나지 않고, 그 지배형태가 외채형태에서 주식형태로 변하고 있으며('debt-equity swap' 또는 '외채 주식 전환') 그 지배력은 더욱 커지고 있다.

결국 한국은 아이엠에프 구조조정협약이 의도한대로 '신흥 시장'(emerging market)이 되었다. 한국의 공기업 금융기관 재벌기업들이 초민족적 금융자본의 투자/투기대상이 되면서 이들 기업들의 주식은 초민족적 자본의 손으로 넘어갔다.

위기 당시 막대한 외채를 짊어지고 있던 한국경제는 98년 이후 외채를 줄일 수 있었고 엄청난 규모의 외환보유고로 쌓을 수 있었다. 계속해서 수출이 수입보다 많아 막대한 상품수지 흑자가 났고, 외국인 직접투자와 주식투자를 통해서도 국내에 달러가 많이 유입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외채권이 대외채무보다 많아져 한국은 순 채권국가가 되었다.

그러나 외자유치를 한다고 금융세계화에 깊숙이 통합해 들어가면서 늘어난 외국인직접투자와 주식투자는 막대한 수익을 올리면서 자신의 몸집을 계속 불려나갔다. 그 결과 대외채무 및 대외채권과 직접투자와 주식투자를 전부 합해서 초민족적 금융자본의 한국경제에 대한 지배력을 따져보면 아이엠에프 위기를 겪을 당시에 비하여 전혀 줄지 않았고 오히려 늘어나고 있다. 외국자본의 형태가 외채에서 주식으로 변한 것이다. 단적으로 2004년 4월 현재 증권거래소 상장기업 주식의 43%(시가기준) 이상을 초민족적 금융자본이 장악하고 있다.

초민족적 금융자본의 엄청난 수익과 이에 따른 가치 상승은 주주자본주의 또는 금융의 원리의 철저한 관철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노동권과 공공서비스는 악화되고 엄격한 재정규율이 강제된다.

신자유주의 구조조정과 금융세계화로의 통합의 심화로 인한 초민족적 금융자본의 한국경제에 대한 지배력 증대는 이 외에도 경영권 간섭, 금융투기의 만연으로 인한 주식시장과 외환시장의 불안정화 등의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한국경제는 위기 이후 국가 부채가 급속히 늘고 있다.

투자와 성장 또한 애초의 기대를 벗어나고 있다. 투자부진과 저성장이 계속되고 있다. 이 과정 중에 금융투기 거품이 지속적으로 생겨났다가 붕괴되는 과정을 되풀이하고 있다. 한편 신자유주의 금융세계화에 편입된 계층들의 초민족적 소비행태와 생활양식도 문제가 되고 있는데, 사회의 양극화와 자본 및 두뇌유출이라는 경제적 문제도 낳고 있다.

나가며

1980년대 초반의 남미의 경제위기, 1994년 멕시코 페소화 위기,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2000/2001년 세계적인 증시 붕괴, 2002년의 아르헨티나와 터키의 금융위기 등은 신자유주의적 금융세계화에서 초래되었다.

경제위기를 당한 나라에서는 위기를 극복한다고 격렬한 신자유주의 구조조정이 진행되었고, 금융세계화로의 편입을 심화하였다. 그 결과는 대량해고와 불안정노동의 확산, 두뇌유출, 국부유출 및 정부부채의 증대, 부익부 빈익빈의 확산 등이었다. 2002년 아르헨티나 사태가 잘 말해주고 있다.

금융세계화와 더불어 '무한전쟁'도 지속되고 있는데 아프간과 이라크 침략 뒤에도 북한, 이란, 시리아, 베네수엘라, 쿠바, 콜럼비아 등 끊임없이 희생양을 찾고 있다. 이 새로운 전쟁은 식민지 쟁탈을 위한 고전적인 제국주의 전쟁이라기보다는 중심부가 금융세계화에서 주변부를 선별적으로 포섭하거나 배제(또는 심지어 절멸)하는 과정에서 야기되는 갈등을 관리하는 것이라 할 수 있고, 그 원인은 주변부에 대한 중심부의 신자유주의적 '공동지배'에 있다.

전쟁과 빈곤으로 수억의 민중들이 살해당하고 고통 속에 신음하고 있는 지금의 상황은 곧 도래할 '최종적 위기'의 시기, 즉 미국경제의 '좋은 시절'이 끝난 이후에 도래할 시기에 비하면 그래도 나은 상황이라고 해야 할까? 하나의 운동일 수밖에 없는 전쟁과 신자유주의적 금융세계화에 대한 반대운동에 박차를 가할 시점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