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책을 공유합니다 - 25

 

2008년 거대한 촛불의 용광로가 펼쳐지던 그곳에서는 배우지 못하고 가진 것 없는 사람들도 당당하게 역사와 사회의 주체가 됐습니다.

그러면서 말 한마디 제대로 하지 못한 채 짓눌려 살아오기만 했던 이들은 많이 배우고 많이 가진 자들에게 자신감 있게 얘기할 수 있었습니다.

“우리가 우스워 보이냐?”

 

시간이 흘러서 촛불은 사그러들었고, 많은 이들이 구속 되고 벌금을 물어야했습니다.

배우지 못하고 가진 것 없는 사람들은 다시 말 한마디 제대로 하지 못한 채 짓눌리기 시작했습니다.

많이 배우고 많이 가진 자들이 자신감 있게 얘기를 합니다.

“세상이 우스워 보이냐?”

 

세상은 냉혹합니다.

그런 세상에서 살아가기 위한 방법은...

‘죽거나 비굴해지거나’

 

역사를 들먹이지 않더라도 삶은 깁니다.

긴 호흡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끝임 없이 발버둥 쳐야 합니다.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서 발버둥 치든...

가슴 속에 자리 잡은 인간으로서의 기억을 놓치지 않기 위해 발버둥 치든...

 

아래 적어 놓은 책들 중에 보고 싶은 책이 있으신 분은 저에게 메일을 주십시오.

보고 싶은 책과 받아볼 수 있는 주소를 적어서 메일을 주시면 보내드리겠습니다.

본인이 아니더라도 주위에 이런 책들이 필요한 곳이 있으면 알려주십시오.

책들이 공유될 수 있는 공간이라면 보내드리겠습니다.

김성민 smkim18@hanmail.net

 

오발탄 (문학과 지성사, 2010년판) : 일제로부터 해방된 세상에 공산당이 쳐들어와서 남쪽으로 내려온 사람들은 새로운 환경에서 살아가야 했습니다. 얼마 후 전쟁이 벌어지고 폐허 위에서 다시 살아남기 위한 사람들의 몸부림이 이어집니다. 이범선은 그런 혼란과 폐허 속의 부조리한 사회를 냉철하게 소설로 그려냅니다. 공산주의가 싫다고 부조리한 자본주의 남한을 합리화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떠도는 지식인의 시각으로는 삶의 풍부함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합니다. 그것이 영화 오발탄과 소설 오발탄의 차이입니다.

 

비밀의 화원 (시공주니어, 2004년판) : 부모를 잃고 먼 친척 집으로 와야 했던 소녀와 사랑하는 이들 잃고 마음의 문을 닫아버린 사내가 비밀의 화원을 가꾸면서 서로의 상처를 쓰다듬습니다. 어린이용 소설치고는 꽤 세밀하고 감성적이고 감동적입니다. 그래서 이 책에 나온 지 백 년이 넘었지만 아직도 많은 이들이 찾고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나 귀족적이어서 많이 불편합니다.

 

레디메이드 인생 (문학과 지성사, 2010년판) : 일제시대를 살아가면서 현실을 때로는 풍자적으로, 때로는 비관적으로 그렸던 채만식의 소설은 다른 누구의 소설과 다른 그만의 냄새를 강하게 풍깁니다. 사회주의자를 지지하는 현실주의자였던 그는 일제 말기 자신의 변절을 솔직히 고백하고, 해방된 세상에서 좌도 우도 아닌 철저한 현실의 입장을 유지하려 노력합니다. 하지만 좀 옹색합니다.

 

밥과 장미 (삶이 보이는 창, 2010년판) : 무수한 노동자들이 가슴 한가득 억울한 사연을 갖고, 또 한쪽 가슴 한가득 눈물을 감춘 채 싸우고 있습니다. 작가 오도엽이 사진기와 녹음기를 들고 그들을 찾아가서 그들의 얘기를 듣고 정리했습니다. 쉬워 보이지만 결코 쉽지 않은 오도엽의 작업을 모아서 책으로 내놓았습니다. 너무 많은 사연들을 짧은 글들 속에 담아내려다보니 너무 압축해버렸습니다. 그래서 비슷한 얘기들이 나열되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끝나지 않는 전시 (삶이 보이는 창, 2010년판) : 용산철거민들의 투쟁에는 많은 사람들이 간절한 마음을 갖고 그들이 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연대했습니다. 미술인들 역시 그림과 조작과 전시와 행위로 그 누구 못지않게 뛰어난 연대투쟁을 벌였습니다. 미술인인들이 1년 가까이 진행했던 다양한 연대의 몸짓들을 모아서 나온 책입니다. 평면적으로 그들의 작품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행위를 글과 사진으로 보여주고 있어서 더 역동적입니다.

 

아름다운 집 (들녘, 2004년판) : 언론인 손석춘이 특이하게 소설을 썼습니다. 남로당 출신의 북한의 혁명가라는 특이한 소재였습니다. 혁명의 꿈을 안고 붓과 총을 들었던 젊은이는 해방 이후 북한에서 그 혁명이 타락되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늙어갑니다. 타락한 북한에 대한 얘기를 혁명가의 시선으로 끌어간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그러기에 소설이라는 형식을 취했지만 역사적 기록의 나열이라는 성격이 강합니다. 그리고 밖에서 바라보는 자유주의적 시각도 강하게 풍기는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혼돈을 향하여 한걸음 (창작과 비평사, 1997년판) : 삼청교육대, 사창가, 고아원, 공장 등은 이 사회에서 폭력과 억압이 가장 생생한 모습을 보이는 공간입니다. 최인석의 소설은 그 곳에서 일어나는 폭력과 억압을 몸서리쳐지도록 사실적으로 그려냅니다. 그리고 그곳에서 벋어나려는 사람들의 몸부림도 더욱 사실적으로 그려냅니다. 하지만 그들이 몸부림치면 칠수록 폭력과 억압을 더 거세어지고, 그들이 그곳을 벗어난다 해도 세상은 더욱 폭력적이고 억압적입니다. 최인석의 소설이 허무주의나 비관주의로 빠지지 않는 힘을 그 처절함에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