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린 시절, 개토는 거짓말을 밥먹듯이 자주 하는 축에 속하는 아이였다.
거짓말 한 번 했다하면, 아빠한테 개패듯이 맞으면서도,
그래서 늘 불안한 마음으로 살았으면서도, 개토는 거짓말을 멈출 수가 없었다.
개토는 근본적으로 나쁜 아이인 거라고, 스스로를 미워하면서
거부할 수 없는 운명적 사소한 거짓말로 삶을 지속하던 어느날,
제목을 기억할 수는 없지만 굉장한 구절이 담겨있던 책을 읽었던 것이다.
'거짓말을 많이 하는 아이는 작가가 될 소질을 가진 아이다'라는 것이 그 구절의 요지였다.

개토는 그 구절로 인해서 꿈을 바꾸기로 했다.
화가가 되고 싶었지만, 개토는 운명적으로 작가가 되어야 하는 것이구나,
소설가가 되어야 하는구나, 대단한 소설가가 될테다, 그래서,
나를 방구석으로 쥐몰듯이 몰아 빗자루로 패곤 하던
아빠에게 보란듯이 거짓말이 훌륭한 것, 아름다운 것이라는 것을 입증하리라.

아빠는,
거짓말이 얼마나 나쁜 것인가, 개토는 얼마나 비뚤어진 아이인가를
끊임없이 이야기함으로써 마치 어설픈 조각가처럼
개토의 마음을 보기흉하게 여기저기 깎아내고 상처주었던 것이다.

(생각해보면, 작가가 꼭 소설가여야할 필요는 없었건만...)

인간은 어째서 거짓말을 하는가? 하는 거창한 질문에는 대답할 수 없지만,
개토는 스스로를 표현하는 가장 훌륭한 수단이 거짓말이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거짓말에는 아름다운 점이 있다.
그 안에는 진실만으로는 담을 수 없는 수많은 은유와 호소와 슬픔, 유머가 진실을 포함하면서 담겨있다.
완벽한 거짓말에는 완벽한 진실보다 더 많은 내용이 포함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누구나 알다시피, 거짓말은 유리로 만든 도미노 같은 것이다.
가장 완벽한 거짓말조차도 그 본질적인 속성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
그러나 일반적인 상식과 달리, 하나의 전체를 이룬 거짓말이 사회적으로 무시당하게 되는 이유는
그것이 거짓임이 밝혀지기 때문이 아니라
그 거짓말이 하찮은 것이라는 사실이 밝혀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히틀러는 대중을 속이자면 거대한 거짓말을 하라고 하지 않았던가
사람들은 속는 것이 아니라 사실, 감탄하는 것이다.

2.
예술을 한다는, 혹은 표현을 직업으로 삼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완벽한 거짓말을 목표로 한다고 생각해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뉴로맨서>를 쓴 윌리엄 깁슨은 해커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기술을 이해하기 보다
그들의 이야기를 어떻게 시적으로 묘사할 것인가에 대해 생각했다고 한다.

가장 아름답고 완벽한 체계를 가진 거짓말을 만들어야 한다.
사람들은 그 안에서 진실을 발견하려고 애쓸 것이다.
그렇게 생각하면 현실의 그 무엇도 닮지 않은 예술,
가장 거짓이어야 하는 음악이야말로 가장 완벽한 예술이 될 수 있을지 모르겠다.

3.
사람들은 왜 퍼즐을 맞추는가?
맞추어진 퍼즐이 진실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4.
아는 만큼 보이고 보이는 것이 진실이다?
매트릭스를 읽으면서 사람들은,
그것이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을 영화로 형상화한 것이라고 하기도 하고
심지어 운동권을 위한 영화라고도 하고, 철학을 이야기 한다.
여성주의에 관심이 많은 개토는 <저수지의 개들>을 페미니즘 영화로 만들 수도 있다.

5.
여기에서 멈추는 순간,
그 거짓말은 하찮은 것이 된다.
개토는 매트릭스가 하찮은 거짓말임을 막연하게 느끼면서 속상해 한다.
매트릭스라는 거짓말은 진실보다 더 많은 것이 담겨있기는 커녕 진실조차 담아내고 있지 못한 것이다.

6.
천재를 발견한다는 것은 엄청난 희열이다.
그의 완벽한 거짓말은 진실과 그 이상의 것들로
나라는 작은 세상을 빛처럼, 오르가즘처럼 채워주며
그것을 구하는 것은 나의 가장 인간적인 본성이기 때문이다.
그안에서 반짝이는 무언가를 발견하고 희열을 준비하던 개토에게
매트릭스는 또하나의 하찮은 실망이다.

7.
무지하게 재미있는 매트릭스는
채워질 수 없는 허전함을 잠시 채워진 듯 잊게 해주고 무지하게 맛있는, 라면과 같은 영화였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3/11/26 15:51 2003/11/26 1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