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분류 전체보기

590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5/04/27
    <초대> 고양시 정치포럼
    풀소리
  2. 2005/04/26
    삼악산 산행을 뒤로 미루고...(2)
    풀소리
  3. 2005/04/23
    고양시 정치포럼에 초대합니다.(2)
    풀소리

<초대> 고양시 정치포럼

민주노동당, 더 이상 진보가 아니다!

 

3월 포럼 보기(북핵 문제)
고양시위원회 정치포럼 게시판 바로가기
---------------

4월 정치포럼에 초대

 

일 시 : 2005. 4. 28(목) 오후 8시

장 소 : 민주노동당 고양시위원회 (약도보기 클릭)


<진행>

1부 : 발제 : 8:00 - 9:00

2부 : 토론 : 9:00 - 10:30

3부 : 뒤풀이 : 10:30 -

 

* 발제자 :

 - 이동성 (고양시위원회 대의원)

 - 김정진 (변호사, 중앙당 법제실장)

 - 최병천 (심상정 국회의원 보좌관)


* 발제는 약 1시간, 토론은 약 1시간 30분 - 2시간 진행될 것입니다.

* 뒤풀이는 10시 30분 쯤 늦어지면 11시에 시작할 예정입니다.

 

- 뒤풀이에라도 오실 수 있는 분들은 오시기 바랍니다. 뒤풀이에서 오고가는 토론도 영양가 만땅입니다.

 

<뒤풀이 장소> : 황해도 해장국 - 아래 약도 참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삼악산 산행을 뒤로 미루고...

1.

이번달 진보블로거 산행모임에 꼭 함께 가고 싶었다.

산행 후기들을 읽으니 더욱 아쉽다.

 

아직 낯가림이 남아있는 난 새로운 모임에 잘 적응하지 못한다. 그래도 진보블로거들에게는 쉽게 적응할 것 같다.

 

산행팀에는 이미 잘 알고 있는 산오리도 있으니 이참에 끼어보려고 했는데, 아내의 1박2일 수련회와 겹쳤다. 모처럼 가는 아내의 수련회인지라, 더욱이 지역에서 수련회를 열기에 아이와 함께 그리로 가기로 했다.



「민주노동당 경기도당 경기북부협의회 분회활동가 수련회」 긴 이름의 수련회다. 아내는 분회장이고 활동사례 발표자로 선정되었으므로 당연히 참가해야 했다.

  3층 창문밖으로 날 불러낸 산벚

 

2
오후 4시까지 가야 한다고 해 버스 타고, 택시 타고 가까스로 4시까지 도착하니 수련회장은 썰렁하다. 원래 5시인데, 준비하라고 일찍 오라고 하였다나...

 

아이와 함께 옆에 있는 승마장에서 말구경도 하고 이리저리 다니다보니 놀이방 선생님이 오셨다. 아이는 어느새 놀이방 선생님을 따라 여기저기 돌아다닌다.

   놀이방 선생님을 따라 즐겁게 노는 아이들

 

행사 준비를 돕다 밖을 보니 3층 창너머로 벚꽃이 한창이다. 그 너머로 아이들이 선생님을 따라 뛰어놀고 있다. 나는 카메라를 챙겨들고 아이들 있는 곳으로 갔다. 아이들은 나이차가 많이 나는 것 같은데도 서로 잘 어울려 논다. 선생님이 잘하셔서겠지만 말이다. 아이들 사진을 많이 찍으려던 생각을 바꿨다. 선생님이 내가 옆에 있는 게 신경이 쓰이나 보다.

    초록빛 오리나무 이파리와 뒤섞인 산벚

 

이왕 나온 김에 금정굴로 방향을 잡았다. 오르는 길에는 진달래가 한창이고, 벚꽃은 이제 막 피어나는 것에서부터 흐드러지게 핀 것까지 꽃천지를 만들고 있다. 떡갈나무는 이제 새순을 내놓고 있지만 오리나무는 이미 잎새가 제법 크고, 초록의 그늘을 만든다. 초록과 어우러진 벚꽃은 또 다른 시원한 맛을 낸다.

    금정굴 현장/ 아래 프른 천막 밑이 아직도 시신들이 뭍혀있는 수직굴이다.

 

3.
사진 몇 장 찍으니 금정굴이다. 살육. 광기어린 살육의 현장이다. 금정굴은 불과 고개마루에서 30M 높이의 언덕 정상에 나 있는 수직갱이다. 일제시대때 금 채굴을 위해 팠던 굴이라 얻은 보통명사가 고유명사가 된 굴이다. 금정굴은 또한 한국전쟁 때 치안부재 상황을 이용해 경찰들이 부역자(?) 가족들을 약 400-2,000명(추정)을 처형해 매장한 아픔의 현장이기도 하다.

금정굴 홈페이지(바로가기)

   시신들이 쌓여있는 서울대병원/ 금정굴에는 아직도 얼마나 많은 유골이 있는지 알지 못한다.

 

여기서 죽은이들은 세상이 바뀌어도 크게 두려울 게 없는 순박한 사람들이었다는 게 증언자들의 말이다. 인공치하에서 경찰 등이 문제삼을 만한 사람들은 이미 북으로 넘어간 이후였기 때문이다. 그런 이들이 두릅으로 묶여서 즉결처분 후 수직갱 밑으로 내던져졌다. 반백년이라는 세월이 흘렀음에도 죽인이들은 유지행세를 하며 살고, 죽은이들의 가족들은 모습조차 드러내지 못하고, 모습을 드러내는 이조차 여의도 날바닥에서 진실을 규명해달라고 외쳐야 하는 게 오늘 우리 사회의 현실이다.

 

4.
분회활동가수련회는 좌석이 모자랄 정도로 성황이다. 미우니고우니 해도 민주노동당에 대한 애정은 아직도 높기만 한가보다. 덕분에 모처럼 재미있게 교육도 받고, 뒷풀이에 정담도 나눴다.

    성황을 이룬 수련회 참가자

 

가까운 고양시나 파주시에서 당원들은 밤새 거의 다 도망가고, 아침에 남은 이들은 대부분 멀리 의정부, 구리시에서 온 당원들이다. 남아 있는 당원들이라도 해장국은 먹어야지. 난 사람들을 인솔하여 금정굴을 넘어 도보로 식당으로 함께 갔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고양시 정치포럼에 초대합니다.

고양시위원회 4월 정치포럼에 초대합니다!

3월 포럼 보기(북핵 문제)
고양시위원회 정치포럼 게시판 바로가기
---------------

4월 정치포럼에 초대

당이 참 많이 커졌습니다.

 

1년 예산이 100억원이 넘어가고, 당원은 8만을 육박합니다.
'우리를 대변하는 당 국회의원 1명만 있으면' 하던 때가 불과 몇 년 전인데, 10명의 국회의원을 냈습니다.

 

일부에서는 벌써 집권을 얘기합니다. 정말 꿈만 같습니다.
그러나 속을 들여다보면 그리 좋아만 할 수 없습니다.
우리가 당을 만들고, 그리고 권력을 갖고자 한 것은
노동자와 농민, 서민의 이해와 요구를 중심으로, 노동자 농민, 서민을 위하는 권력을 원했기 때문입니다. 단지 '집권' 또는 '권력'만을 원했다면 열린우리당이나 한나라당으로 가야했겠지요.

 

지난 총선에서 우리는 13%라는 경이적인 지지를 얻었습니다. 단 1명의 국회의원도 없는 상태에서 정말 기적같은 지지를 받았습니다.
이 수치는 노동자가, 농민이, 서민이, 바로 우리 시민들이 무엇을 원하고 있는가, 우리 사회는 무엇이 부족한지를 대변해주는 수치이고도 했으며, 우리 민주노동당이 이미 우리 사회 수준을 훨씬 뛰어넘어 새로운 사회를 갈구하는 시민들의 변혁 에너지를 한없이 받을 수 있겠구나 하는, 진정 부픈 꿈을 갖게 하는 징표이기도 했습니다.

 

우리 당의 현재 모습은 어떤가 봅니다. 시민들의 변혁 에너지를 받아 안기는커녕 8만 당원들의 힘조차 제대로 모아가지 못하고 있는 게 오늘의 현실이 아닌가 합니다. 헌신적인 당원들이 점차 힘을 잃어가고, 실망하는 당의 모습으로 변해가고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당원 동지 여러분!
당을 당답게, 진보정당을 진보정당답게 만들어나갑시다. 누구라도 현재가 위기라고 생각하면 함께 나섭시다. 당원 동지여러분을 고양시위원회 4월 정치포럼에 초대합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